“중앙-나라 은행 합병說” 나돌더니… 이제는 “한미 -나라 은행 합…

이 뉴스를 공유하기
















“나라은행(행장 양 호)과 중앙은행(행장 김선홍)이 조만간 합병한다”는 소문이 금융街에 심심찮게 번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들어서는 ‘한미-나라간 합병說’도 나돌고 있어 그 진위여부에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는 데에는 최근 윌셔은행(행장 민수봉)이 뉴욕소재 ‘리버티 은행’을 전격 인수하는 등 인수합병(M&A) 바람이 가시화되면서 한인 은행권들의 지각변동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미은행의 손성원 행장은 지난 6월 LA 비즈니스 저널과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5년 내 한미은행을 포함한 2개의 한인은행만이 살아 남을 것이다”라는 폭탄선언으로 화제를 불러모으기도 했는데, 현재 금융권의 분위기는 일종의 ‘합종연횡’을 통한 ‘덩치 불리기’로 더 이상 ‘커뮤니티 은행’이 아닌 ‘주류은행’으로의 도약을 꾀하는 것을 반기는 분위기다.

약 35억 달러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한미은행에 맞서, “나라-중앙간의 합병으로 한미은행에 걸맞는 대형은행으로 도약한다”는 것이 그간 줄기차게 제기되어온 ‘나라-중앙 합병說‘의 요체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한미-나라… 한미-중앙’ 시나리오가 흘러나오면서 “50억 달러 자산의 초대형 공룡은행의 탄생이 임박했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더욱이 한인 은행업계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미-나라간의 합병說이 나돌자 금융권은 적잖이 놀라는 눈치다.

사실 미국 내 한인 커뮤니티의 경제력 또한 만만치 않게 급성장한데다가 이들 두 은행들은 이러한 한인 커뮤니티 경제력을 발판 삼아 미국 서부와 동부지역에서 순수 한인 커뮤니티 자본으로 이뤄진 ‘커뮤니티 은행’ 가운데에서는 ‘Top’을 달리고 있다. 그간 금융권에서는 “LA에서 강점을 지닌 한미은행과 뉴욕에서 강점을 지닌 나라은행이 합병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가장 클 것이다”라는 관측이 큰 설득력을 얻어왔던 것도 사실.

하지만 나스닥 상장 4대 한인은행들 중 윌셔은행을 제외한 한미-나라-중앙의 경우 공히 금융감독국으로부터 ‘MOU’를 받은 상태라, 이들의 합병 시나리오는 해당 은행들이 징계상태에서 벗어나야 가능한 사안인지라 ‘MOU 해제’ 시점을 앞둔 빅4 은행들간의 ‘물밑협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박상균<취재부 기자> [email protected]


한인 금융 街에 때아닌 ‘합병說’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병바람’은 이미 어느 정도 예견되어왔던 터라, 오히려 관심사는 한인 은행권들이 어떤 식으로 합종연횡을 꾀할 지 여부로 쏠리고 있는 모습이다.

그 가운데에도 특히 나스닥 상장 4대은행들의 움직임에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 지난 윌셔은행의 뉴욕소재 리버티 은행 전격인수 성공의 뒷배경에는 이들 빅4은행들이 처한 상황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물이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미(BSA 규정위반 관련), 중앙(회계보고 관련), 나라(회계보고 관련) 등은 현재 금융감독국으로부터 ‘MOU(징계)’를 받고 있는 상태라 ‘합병’과 관련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 윌셔은행 측이 ‘리버티 은행’ 인수에 손쉽게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당초 한미-중앙-나라 등이 탐을 내었던 ‘리버티 은행’의 인수가는 지난해 2천만 달러 선까지 치솟기도 했으나, 이들 은행들이 MOU로 말미암아 ‘인수자 자격’을 자동적으로 상실한 모양새가 되어버렸던 것.

이렇듯 선택의 폭이 줄어든데다가 지속된 경영난으로 다급해진 리버티 은행 측은 제 발로 윌셔은행 측을 찾아와 약 1,500만 달러의 오퍼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항간에는 윌셔 측이 “1,300만 달러 선까지 인수가를 낮출 수도 있었다며 아쉬워했다”는 후문마저 들리고 있다. 

















 

MOU가 풀리는 시점에
대형 빅딜 성사된다

“뮤추얼 펀드 등
기관투자자들의 선택이 중요”


현재 금융 街의 쟁점은 ‘한미-나라-중앙’ 등이 금융 감독국으로부터 받은 MOU가 풀리는 시점에서 대규모 빅딜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흘러나오고 있는 ‘나라-중앙 합병說’ 또한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양측 고위 임원진들의 ‘사전조율’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러한 가운데 나라은행 L 모 이사와 한미은행 L 모 이사 간의 ‘한미-나라 합병조율說’이 불거져 나오면서 ‘초대형 은행의 탄생이 임박한 것이 아니냐’라는 섣부른(?) ‘축포’가 터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미-나라’간 합병 시나리오에 대해 한인 금융권 고위급 모 인사는 “한인 대주주들의 지분이 비교적 떨어지는 한미은행과 나라은행의 현 상황을 비쳐볼 때 이러한 ‘합병 시나리오’가 몇몇 이사진의 조율로 이뤄질 사안이 아니다”라며 “자신들이 퍼뜨리는 한낱 소문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현재 나스닥 상장 4대은행들의 경우를 따져볼 때 ‘내부임원 및 5% 이상의 대주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지분분포’를 보면 윌셔(약48%), 중앙(약40%), 한미(약19%), 나라(약18%) 순으로 되어 있다.

윌셔-중앙의 경우 기존 대주주들의 지분구조가 의사결정권을 지배할 수 있는 약 50% 선에 근접하고 있으나, 한미-나라의 경우 한인 대주주들이 다수 포함된 내부자들의 지분구조가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나스닥 상장 한인은행들의 최대주주(Major Holders) 군은 크게 둘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내부 임원들을 비롯 5%대 지분을 소유한 대주주들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 금융기관들이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적잖은 추가비용을 발생시키고, 주식교환 및 인수자금이 투입되는 ‘합병안’?대해서는 빅4은행의 경우 외부 투자기관들의 절대적 협조를 필수적으로 수반해야한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제기되고 있는 ‘합병 시나리오’들은 대부분 일부 대주주들의 사적만남에서 흘러나오고 있어 그 신빙성 여부가 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과연 ‘빅딜’은 성사될 것인가














캘리포니아 주내에 한인은행들의 수가 두자리 수를 넘어선지 이미 오래다. 더군다나 몇몇 신설은행들의 탄생도 끊임없이 예고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인은행들간의 합병을 통한 ‘덩치 키우기’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실제로 수많은 ‘물밑협상’이 한창 진행 중에 있다는 데에 이견을 달 이는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대부분의 은행권 관계자들은 “향후에도 중소형 은행들간의 소규모 합병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매우 높다”며  “시장 세분화에 따른 특화된 은행으로의 변신을 위해서는 합병만이 해결책이다”라는 데에 공감의 입을 모으고 있다.

한인타운 내 경제규모는 매년 급성장을 하고 있으며, 본국 자본의 유입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지면서 그 규모는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당연히 한인 금융권의 급성장 또한 충분히 예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초대형 은행’의 탄생 또한 그리 멀지 않았다라는 분위기가 금융 街에 확산되고 있는 것. 

아무튼 현재 한인 은행권에는 ‘빅딜성사’를 앞두고 어떤 시나리오가 전개될 지를 놓고 무수한 말들이 양산되고 있다. 한미-나라-중앙-윌셔 등 4대 나스닥 상장사들의 선택은 무엇일지 궁금할 따름이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