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개편론 힘겨루기

이 뉴스를 공유하기

민주당 신주류의 청와대 개편론을 둘러싸고 여권 내부에 미묘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여권내 역학관계와 긴밀한 함수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신주류 주장의 표면적 이유는 총선 승리를 위한 386 차출이다. 더불어 국정 혼선의 마무리를 위한 청와대의 전문성 강화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다. 정권 출범 이후 386 핵심 측근들은 계속해서 문재인(文在寅)민정수석을 부산에 출마시켜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다녔다. 文수석이 경쟁력 있는 후보라는 점을 내세웠지만 실은 文수석을 견제하는 의미가 강했다는 게 양쪽을 다 아는 사람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그럼에도 文수석의 권력 내 입지가 강화되자 386 측근들은 청와대 내 역학구도의 변화를 꾀했다. 그들은 문희상(文喜相)비서실장에게 자신들의 힘을 얹히면서 결과론적이지만 文수석을 중심으로 한 부산파 인사들을 포위해갔다. 명분은 비서실장 중심의 시스템 구축이었다. 다만 文실장은 그런 상황 속에서도 중심을 잡아가려 애를 썼다는 청와대 내부 소식통의 전언이다.

민주당 신주류의 386 차출 주장은 그런 상황에서 나왔다. 그들은 청와대의 대대적인 개편까지 주장했다. 정무기능과 홍보기능의 문제점까지 지적하고 있다. 결국은 비서실 전체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얼핏 보면 신주류의 주장이 여권 내 파워 게임의 연장에서 나온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신주류 인사들은 그것과는 결코 상관없으며 오직 총선 승리를 위한 충정이라고 주장한다. 그들 주장에 일부 청와대 핵심 인사들이 동조하고 있는 것은 그들이 나름대로 명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신주류의 개편 주장에 청와대의 반응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달랐다. 유인태(柳寅泰)정무수석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일을 잘 못 하니까 쫓아내려고 하는 모양이지…”라고 냉소적으로 반응했다. 이광재 국정상황실장도 며칠 전 “총선에 나가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다시피 했다. 386에 의해 연말 투입설이 나돌았던 文수석도 “정치는 하지 않겠다는 뜻을 대통령에게 여러 차례 전달한 바 있다”고 거듭 말했다.

총선 징발설에 거론된 사람들은 대부분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결국 문제의 핵심은 총선 승리를 위한 징발이란 포장에 싸여 누가 청와대를 떠나느냐로 집약되고 있다.마치 밀어 내기 경쟁처럼 되고 말았다.

이수호.강민석 기자

출처 : 중앙일보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