發行人 칼럼 – 코리아 타운 주민의회 “똑바로 알고 참여하자”

이 뉴스를 공유하기

제임스 한 LA 시장은 지난해 9월 소수계 언론과의 인터뷰 자리에서 “주민의회”에 대하여 바른 이해를 촉구한 바 있다.

제임스 한 시장은 “주민의회는 엄밀히 단순히 봉사하는 자리다”라며 “누군가가 이를 차지하기 위해 재력 등을 동원하는 등 불법을 자행한다면 주민의회를 구성해 민의를 반영하자는 원래의 취지와는 전혀 상반되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라고 엄중히 경고했던 것이다.

이 같은 제임스 한 LA 시장의 발언이 주목 받았던 점은 한인사회 등 일부 지역사회에서 ‘주민의회’ 구성을 앞두고 쓸데없는 잡음이 일기시작한 것을 간파한 발언이었다는 데에 있다.

특히 한인사회는 “주민의회” 의원직을 무슨 커다란 감투인 양 경쟁이 벌어졌고, 이를 장악하기 위해 금전살포 등 과열분위기가 조장되자 제임스 한 시장 또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는 후문이다.

여기서 한인 커뮤니티의 지도급 인사들의 어설픈 행동(?)을 짚어보자. 전.현직 한인 단체장들은 한인회관에 모여 소위 주민의회와 관련해 ‘전담반’을 구성했다. 이 같은 ‘전담반’에는 서영석 전 LA 한인회장, 챨스 김 한미연합회 사무총장, 에리카 김 LA 한인 상공회의소 회장, 잰 정 가주 한인건설협회 부회장, 다니엘 오 LA 한인요식협회 고문, 김도희 한인 건강정보센터 코디네이터 그리고 정문석 동양 선교교회 장로 등 7명을 선정한 바 있다. 물론 이 같은 ‘전담반’의 취지는 ‘주민의회’의 활성화를 위해 타 커뮤니티와의 교류 협력과 한인사회에 대한 바른 이해와 홍보 등을 담은 큰(?) 뜻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12월 선거를 앞두고 실제적으로 이들 ‘전담반’이 했던 일은 어떻게 보면 자신들을 포함한 일부 후보자들이 모두 당선되는 방법 쪽으로 모색했다. 결국 이 같은 행동이 주민의회 선거 역사상 처음으로 무산되는 결과를 양산 했다고 볼 수 있다. LA 역사상 ‘주민의회’ 선거가 무산된 일은 한인타운이 포함되어 있는 ‘윌셔센터-코리아 타운 주민의회’에서 처음 발생한 일이었다.

한인사회 일부 지도급 인사들은 ‘주민의회’에 대해서 처음부터 망상 아닌 망상을 지니고 있었다. 가장 큰 망상은 ‘주민의회’ 자체 기능에 대한 오류였다. 또한 구성원에 대한 바른 이해도 턱없이 부족했다. ‘전담반’ 구성원들이나 일부 후보자들은 물론 대다수 한인 언론사와 많은 한인들이 ‘주민의회’에 대해 철저한 검증 및 이해가 부족했다. ‘전담반’이 해야 했던 일은 LA 시당국으로부터 ‘주민의회’에 대한 철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아 한인사회에 제대로 알려 주었어야 했다.

‘주민의회’는 영어로 Neighborhood Council이다. 쉽게 말하면 “동네 사랑방 모임” 정도이다. LA 시 규정에 의하면 ‘주민의회’는 ‘비 정치적 기구’(Non-political organization)이라고 못 박고 있다. LA 시의회는 분명히 정치적 기구이지만 ‘주민의회’는 ‘비 정치적 기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한인들은 이를 확대 해석해 시 의회의 하부 조직 비슷한, 말하자면 한국의 지방자치 제도에 있는 구 의회급 정도로 잘못 간주한 것 같다.

즉 정치적 기구와 비정치적 기구의 차이조차 이해치 못하고, 시의회를 City Council로 불리고 주민의회는 Neighborhood Council로 불린다는 점을 들어 공히 Council이 들어간다는 생각에 ‘의회’라는 명칭으로 쉽게 해석해 버린 것 같다는 얘기다. 보다 쉽게 말하자면 ‘주민의회’ 보다는 ‘주민위원회’ 또는 ‘주민평의회’ 아니면 ‘주민협의회’ 정도로 해석해 호칭했음이 옳았다.

한인사회 일부 언론과 후보자들도 처음부터 “주민의회”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당시 신문기사를 보면 “주민의회” 구성원 명칭을 “대의원” 또는 “이사”로 불렀다. 이 같은 명칭의 혼선은 ‘주민의회’ 구성원을 영어로 ‘Board of Directors’라고 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서 “위원” 또는 “평의원” 정도로 불러도 무방한 것을 좀 더 격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단어를 찾다 보니 “대의원”이나 “이사” 직책으로 격상(?)한 것으로 보여진다. 일반적으로 법인체 이사회에서는 ‘Board of Directors’를 ‘이사’라고 부르는 것이 상례다.

하지만 기구가 ‘주민의회’가 되다 보니 ‘이사’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자 언제부터인가 이를 ‘대의원’으로 고쳐 부르고, 신문이나 방송 언론사들도 ‘대의원’으로 보도하는 대열에 합류한 것이 아닌가라는 자책을 해본다. 이렇듯 기구 자체의 기본적 개념도 알지 못했기에 첫 단추부터 잘못 꿰어 지게 되었고, 이 여파로 혼선만 야기되어 선거 자체가 혼탁 과열현상을 띄었던 것이다.

당시 일부 신문보도를 보면 “주민의회 과반수를 한인으로…” 또는 “한인파워 집결” 등의 표현을 써가며 마치 한국 내 총선을 치루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주민의회’는 ‘동네 사랑방’ 혹은 ‘반상회 모임’ 수준의 기구로 폄하하는 이도 있으나 엄연히 LA 시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을 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는 시의회의 결의사항이나 결정사항에 민의를 반영시켜’견제’의 미덕을 가미하기 위해 설치된 기구이다.

LA 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여러 형태로 자신들의 의견을 시 당국에 표시할 수 있다. 헌법에 보장된 규정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하거나 자신들이 속한 단체를 통해서 시 당국에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바로 LA 시가 ‘주민의회’를 설치한 근본적 취지는 ‘좀 더 효율적으로 다양한 주민들의 여론을 수렴해보자’는 대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근 ‘주민의회’에 입후보했던 사람들이 속속 출마를 포기하는 분위기라고 한다. 애초 생각했던 “주민의회”가 아니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다. 또는 이미지가 많이 나빠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모두가 자업자득이다. 하루빨리 ‘주민의회’에 대한 ‘감투욕’과 ‘망상’을 버려야 한다. 순수하게 타운발전과 이웃 주민들과의 공동번영을 꿈꾸는 뜻 있는 보통 주민들의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 부디 명심하자. “주민의회”는 말 그대로 봉사직임을…

연 훈<본보 발행인> [email protected]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