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머스 보험사 한인 에이전트 “그런일 없다” 발뺌
“믿는 도끼에 발등…” 보험사기 행각 요주의
보험사기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개개인에게 보험이란 사고나 재앙이 왔을 때 그 피해를 줄여 주거나 막아 줄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험제도를 악용해 선량한 소비자를 우롱하는 보험사기가 이미 한계를 넘어서 ‘신종 사기극’으로 번지고 있어 이를 고발하려 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보험사기 행각’은 이미 각종 매스컴을 통해 알려진 대로 의료계와 자동차 업계뿐만 아니라 주택/사업체까지 광범위하게 번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최근 치솟는 자동차 가스가격이나 다른 물가의 급등과 함께 보험료까지 덩달아 치솟으면서 부쩍 가벼워진 지갑 걱정을 할 수밖에 없는 소비자들이 조금이라도 저렴한 보험을 선택하려는 심리가 작용하기 마련이다. 즉 처음 보험을 가입할 때만 주의를 기울이고 가입 후에는 무사안일 주의로 ‘믿는다’는 점을 악용해 대규모 사기를 저지르는 신종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것.
이렇듯 보험사기의 가장 큰 폐단은 사고나 재해를 당해 실의에 빠진 사람들을 속된 말로 두 번 죽이는 일이라는 점이다. 피해자들은 매달 보험료를 내고서도 막상 사고를 당한 뒤 보험혜택을 전혀 받지 못해 “대규모의 피해를 당한 경우 파산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다”고 일부 피해자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연방정부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지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 내에서 적발된 무면허 보험사는 144개사로 주요 25개사 보험이 무려 7개 주에서 활개를 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곳 남가주 지역에서 보험사기로 적발된 회사 수는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80개 사. 지난 2000년부터 2년 동안 적발된 45개 사를 이미 훨씬 상회하는 수치로 알려졌다.
김대길<취재부 기자> chriskim@sundayjournalusa.com
파머스 보험 한인 에이전트에 가게 보험들고 보험료까지 냈는데 보험가입은 되어있지 않아 사기행각 들통나자 보험료 되돌려주며
현재 남 가주의 한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인 보험회사들의 가장 큰 구조적인 문제는 회사 대표나 몇몇 에이전트들을 제외하고는, 한인 회사 내에 상당 수의 에이전트들이 무면허로,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에이전트의 이름을 이용해 케이스를 제출하는 등에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무면허 에이전트들의 전문적 지식 부족과 그에 따른 책임감 결여는 매달 꼬박꼬박 보험료를 납부하면서도 그에 합당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피해가 고스란히 고객에게 돌아온다는 데에 심각한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 실명을 밝히기를 거부한 한 한인은 ‘파머스’ 보험사 에이전트인 C모 씨를 통해 3년 전쯤 자신이 경영하는 리커 스토어의 사업체 보험을 들었는데 놀랄 일을 겪었다며 하소연했다. 올해 초 어김없이 1년 치 보험액의 일부인 600 달러를 자신의 첵을 사용해 C모 씨 회사 이름으로 보냈다는 것이다. 천운인지 불행인지 지난 3년 동한 아무런 재해나 피해를 입지 않았던 그는 새로이 바뀐 건물주와의 재계약 건 때문에 보험증서와 다른 관련된 서류를 C모 씨에게 요구했다는 것이다. 항상 모든 게 잘 되어 있고 걱정하지 말라고 안심시켰던 조 씨가 요구한 서류를 차일피일 미루는 데에 의심을 품은 그는 급기야 영어에 능통한 아들을 통해서 파머스 보험회사에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결과 이 한인의 사업체 보험은 이미 작년 말에 만료가 된 상태고 더 이상 보험연장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태를 직감한 C모 씨는 받았던 원금을 돌려주면서 기사화하는 등 ‘알리지 말아달라’고 애원, 모종 암묵적 합의까지 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의 제보를 토대로 확인취재를 하기 위해 C모 씨와 직접 전화 통화를 시도한 결과 “저희 회사는 단 한번도 보험사기와 관련된 일이 발생한 일이 없다”며 황급히 전화를 끊어 버렸다. 보험사기행각 사례들
일반적으로 고객들은 매달 보험료 납부의 번거로움 때문에 6 개월이나 길게는 1 년 치를 미리 선불하게 마련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기간동안에 보험을 취소하면 남은 돈을 돌려 받을 수 없다는 설명을 에이전트에게서 처음 가입 시 듣기 마련이다. 그러나 본보의 취재 결과 이것은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바로 이러한 보이지 않는 틈을 악용해 각종 보험사기극이 펼쳐지고 있다. 대형 보험회사의 경우에는 보험취소 시기와 맞물려 남은 잔액을 고객 본인에게 직접 발송한다. 그 반면 그 외 다른 보험회사들은 해당 에이전트들에게 남은 잔액을 보내게 된다. 즉 남은 기간 동안의 보험금 잔액을 받을 수 없다고 가입 시 설명하는 에이전트들은 십중팔구 고객들에게 당연히 가야 될 금액을 본인들이 유용하려는 목적을 품고 있는 것이다. 다단계로 구성된 지능적 범죄
또 다른 자동차 보험사기는 보험의 PIP(Personal Injury Protection) 커버리지를 이용한 과다 진료비 청구 등이다. PIP 규정을 보면 자동차 사고의 가해, 피해 여부를 떠나 5만 달러까지 진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보험사기극 등을 통해 이런 조항을 악용하는 것은 보험료 인상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전체 보험 가입자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게 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보험사기 행태는 심지어 의사와 변호사, 정비업소, 보험사 에이전트등이 서로 암암리에 결탁하여 충격을 안겨 주고 있다. 자동차 사고나 기타 다른 상해 사고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진료 비와 차량 수리비 등을 높게 책정, 그에 따른 부당 이익을 서로 나눠 먹기 식으로 챙기고 있다. 한인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동차 사고가 발생한 뒤 변호사나 의사가 피해자에게 소송을 제기하도록 강권, 부당 이익을 챙기는 일이 한인사회에서도 많이 있다”며 그 실태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보험국에 따르면 지난해 811건의 자동차 보험사기가 적발됐다. 이는 역대 최고 수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