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벗은 산과 들에 나무를 심기 위해 학생 군인 공무원이 총동원되고 많은 국민들이 동참하였다. 그 결과 지금의 한국의 산하는 여름이면 아프리카를 방불케 하는 밀림이 우거진다. 또 이날이면 조상님들의 산소를 돌보려고 자손들이 묘소를 찾아 전국의 개인묘지 및 공동묘지는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청명 한식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다. 24절기 중 청명과 한식은 청명 다음날이나 같은 날이 되는데 올해는 4월5일이 청명과 한식이 그리고 식목일이 겹치게 된다. 청명이란? 1년 24절기의 하나로 태양의 황경이 15°에 있을 때를 말하며 춘분과 곡우 사이의 절기이다. 농가에서는 이 날을 기하여 논농사의 준비작업인 논둑의 가래질을 시작한다. 중국에서는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분하여 처음 5일에는 오동나무가 꽃피기 시작하고 다음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마지막 5일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한국은 청명을 전후한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하여 공휴일로 삼고 있는데 대개 한식과 식목일이 겹쳐진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청명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다.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 3백60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라 했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인 것이다. 이렇게 하여 온 백성이 한 불을 씀으로써 동심일체를 다지고 같은 운명체로서 국가 의식을 다졌던 것이다. 청명 한식이면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 시집 장가 갈 때 농짝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오동나무를 심었다한다. 이날 보통 성묘를 간다. 우리 조상들만큼 성묘를 자주 하는 민족도 없을 것이다. 옛날에는 일년에 네 번 봄에는 청명, 여름에는 중원(음7월15일) 가을에는 추석 겨울에는 동지날, 눈길을 밟으며 찾아뵙고 산소 위의 눈을 쓸어 내렸다. 한식이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음력으로는 대개 2월이 되고 간혹 3월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2005년은 4월5일(음력 2월27일)이 한식이다. 설날과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중의 하나이다.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매년 봄에 나라에서 새 불을 만들어 쓸 때 그에 앞서 어느 기간동안 묵은 불을 일전 금단하던 예속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중국의 옛 풍속으로 이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그 유래를 찾기도 한다. 한식 날 나라에서는 종묘와 각 능원에 제향하고 민간에서는 여러 가지 술과 과일을 마련하여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한다. 만약 무덤이 헐었다면 다시 잔디를 입히는데 이것을 개사초라 한다. 이날 성묘하는 습관은 신라 때 중국 당나라에서 전해진 것이다. 고려시대 때 한식은 대표적 명절의 하나로 숭상되어 관리에게 성묘를 허락하고 죄수의 금형을 실시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더욱 그 민속적 권위가 중시되어 조정에서는 향연을 베풀기도 하였으나 근세에 들어와서는 성묘의외의 행사는 폐지되었다. 한식날 민간에서는 이 날을 전후로 하여 쑥탕 쑥떡을 해먹었다. 한식날 먹는 메밀국수를 한식면이라 하고 한식날 무렵 잡은 조기를 한식사리라 한다. 요즘 사람들은 사소한 일을 잊어버리고 만다. 한식은 4대 명절 중 하나이지만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또한, 개자추 전설에는 중국 진나라의 문공이 국란을 당하여 개자추 등 여러 신하를 데리고 국외로 탈출하여 방랑할 때, 배가 고파서 거의 죽게 된 문공을 개자추가 자기 넓적다리 살을 베어 구워 먹여 살린 일이 있었다. 뒤에 왕위에 오른 문공이 개자추의 은덕을 생각하여 높은 벼슬을 시키려 하였으나 개자추는 그를 마다하고 면산에 숨어 아무리 불러도 나오지 않으므로 개자추를 나오게 할 목적으로 면산에 불을 질렀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나오지 않고 홀어머니와 함께 버드나무 밑에서 불에 타죽고 말았다. 그 뒤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타죽은 사람에게 더운밥을 주는 것은 도의에 어긋난다 하여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이날 문에 버드나무를 꽂기도 하고 들에서 잡신제인 야제를 지내 그 영혼을 위로하기도 한다. 특히 개자추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비가 내리는 한식을 물한식이라고 하며 한식날 비가 오면 그 해에는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다. 성묘란? 조상의 무덤을 찾아가 돌보는 것을 말한다. 전묘(展墓) 배분(拜墳) 배소례(拜掃禮) 상묘의(上墓儀)라고도 한다. 주자의 가례에 성묘는 묘제(墓祭)의 한 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본래는 성묘에 제례의 절차가 합쳐져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에서 성묘는 봄·가을에 묘를 손질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가 당나라 이후에 봄의 성묘는 한식 가을의 성묘는 10월1일로 고정되었고 그 뒤 제례의 형식이 첨가되어 묘제로 발전하였다. 한국의 경우 대체로 16세기 중반까지는 성묘가 묘제와 관계없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가례의 영향에 따라 묘제의 형식으로 발전한 것으로 짐작된다. 성묘의 형식은 분묘의 손질과 배례로 나누어지며 주로 설·한식·추석에 행해진다. 설에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의 묘에 고하며 한식에는 겨울 동안 무너진 산소를 살펴보고 추석에는 햇과일과 곡식을 조상께 바치는 의미를 가진다. 한식날 무엇을 하는지, 무엇을 먹는지, 왜 하는지도 모르는 사람들도 많고 오랜 이민생활에서 잊고 지낸 사람들도 많다. 앞으로는 달력에 꼭 표시해 두어 잊혀지지 않기를 필자는 바라며……………… <자비원 지안 스님 213-268-2986> |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