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대중기념관의 내부 전경. |
|
박정희 기념관 지원비를 회수해 김대중 기념관에 지원하는 양상이 벌어져 국내에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노무현 정부는 이미 박정희 기념사업에 지원한 200억원을 도로 회수하는 한편, 김대중 기념사업에는 60억원을 지원하기로 해 일반 시민들의 비난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네티즌들은 “박정희가 ‘왕따’를 당하고 있다”면서 “DJ에게 잘 보이려는 노무현의 속셈이 엿보인다”라고 비꼬기도 했다. 박정희 기념사업과 김대중 기념사업을 비교 해본다.-<편집자>
한국 정부는 최근 국무회의에서 ‘전직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김대중 전 대통령 기념사업에 2005년 20억, 2006년 25억, 2007년 15억, 3년 간 총 6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전직 대통령예우에 관한 법률’ 제5조의2항은 “전직대통령을 위한 기념사업을 민간단체 등이 추진하는 경우에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동교동에 위치한 ‘김대중 도서관’에서는 총 124억을 들여 김 전 대통령에 관한 사료와 기록을 수집, 전시, 출판 등의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기념사업은 정부의 지원이 끊겨 난항을 겪고 있다. 한때 김대중 정부가 박정희 기념관 건립에 200억원의 지원을 약속한 바 있으나 지금은 행정자치부에서 지원했던 200억원을 되돌려 달라고 하고 있어 박정희 기념 사업회에서는 행정자치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준비 중이다.
박정희 기념 사업회는 김대중 전 대통령 기념사업 국비 지원에 대해 최대한 말을 아끼고 있으나 두 전대통령에 대한 정부의 태도가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신혜식 독립신문 대표는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 발전 공로를 누구나 인정하고 그것이 민주화의 초석이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정희 기념관 설립을 위해 지원을 약속한 200억원 조차 회수하려 하는 이 정부가 일부 좌익 시민단체의 의견에 끌려 대북 불법 송금 사건의 주범인 김대중 전 대통령 기념사업을 지원하는 것은 역사와 민족 앞에 죄를 짓는 것”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그는 “독립신문과 애국 시민단체는 김대중 전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반대하는 국민운동을 전개해나갈 것이며 더불어 정부는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 건립사업을 지원할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서정갑 예비역대령연합회 회장은 “조국 근대화에 기여한 바가 커 국민 절대다수의 지지를 받는 박 대통령 기념관을 제치고 대남 테러기관(북한)에 국민 세금을 몰래 갖다 준 대통령의 기념관을 세운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김대중 정권이 북한에 국민의 혈세를 바쳐 핵을 개발, 우리의 심장을 겨누고 있는데 김대중 전 대통령을 법정에 세우지는 못할 망정 기념관을 지어주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미 약속을 했으면 박정희 대통령부터 지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라며 “정부의 유머이기를 바라지만 이런 괴상한 유머는 있을 수 없고 국민들이 용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그럴 돈이 있으면 불우이웃이나 최근 급증하는 생활고로 자살하는 사람들을 도와주거나 강원도 산불로 고통 받는 이재민들을 지원하는데 우선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한편, 자유진영의 시민 단체들은 긴급회의를 갖고 조만간 김대중 기념사업을 반대하는 대규모 규탄 집회를 가질 예정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