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의 정상회담(6월10일)이 열리기 직전인 지난 8일 백악관 부시 대통령 집무실에 한 통의 서신이 놓였다. NKFC로부터 온 서신이었다. “인공위성이 찍은 북한은 지구상에서 가장 캄캄한 지역이다. 인권상황도 가장 심각하다”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 놓여진 서신의 한 구절이다. 또 이 서신에는 “노무현 대통령은 자신이 인권변호사임을 밝히고 있지만, 이번 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북한인권에 대해 비난하는 것을 막으려 할지 모른다”고 상기시켰다. 그리고 “우리들은 각하에게 이번 회담을 통해 미국정부의 강한 입장을 노 대통령에게 주지시켜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
노 대통령은 오찬회담을 통해 먼저 ‘6자회담을 위해 북한인권사항 거론은 신중히 접근하겠다”고 운을 띄었다.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북한인권사항에 대한 비난성 발언을 사전에 봉쇄하려는 작전이었다. 미국 ‘인권법’으로 외교강행 부시 대통령이 이번에 강철환 씨를 직접 만난 것은 북한인권문제에 보다 관심을 갖고 향후 미국의 주요 대북 의제 가운데 하나로 삼겠다는 전망을 낳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외교안보 전문가는 “부시 대통령이 굳이 인권 문제를 짚은 목적은 고도의 인내심을 발휘했는데도 북한이 전향적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 인권 문제와 연관될 수밖에 없는 체제와 정권의 문제까지 거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려 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
美 언론 정상회담 ‘추가조치’ 관심 미국 언론들은 지난 11일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일제히 보도하면서 한국언론 보도와는 다른 시각을 보여 주목을 보였다. 한국언론들은 “북핵문제에 한 목소리”라면서 한국의 주장이 많이 반영된 것을 부각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