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제주 4·3 보고서」의 내용 구성은 “제주 4·3 특별법”의 규정에도 반할 뿐만 아니라, 사리면에서도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성명서에서 제주 4·3 사건의 본질은 “남로당 등 공산계열의 제주도공산화를 위한 폭동”에 있으며, “인권침해”는 우리가 주목하고 비판해야 할 매우 중요한 사실이기는 하지만 이는 군경이 동 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종적인 부작용이라는 사실인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 같은 주장과는 달리 김대중 정권의 비호를 받은 조사 위원들은 “4.3항쟁은 제주 도민들의 자주정신에 의한 것”이라면서 “제주 4.3항쟁은 자치 조직인 인민위원회를 부정하고, 제주 도민들을 살상한 미 군정의 횡포, 그리고 남한 단독정부수립에 반대하여 일으킨 항쟁”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당시 극우 조직인 서북청년단은 민중들을 학살하고, 어린이까지도 학살하였으며, 당시 이승만은 흔히, 4.3항쟁은 공산항쟁으로 불려져 왔으며, 우익의 우익을 위한 드라마인 야인시대에서도 공산 항쟁인 것처럼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이승만정권이 미국의 지원을 받기 위해 제주 도민들을 공산반도라고 하면서, 학살을 명한 사건이라는 데 최근 재조명된 4.3항쟁의 의미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들 조사 위원들은1945년 해방과 더불어 제주도민은 자치행정 기구인 인민위원회를 설립했다며 이는 미군정도 인정했듯이 제주도 전역을 지배한 사실상의 정부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인민위원회는 공산프락치들이 장악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들 조사위원들이 작성한 보고서를 근거로 김대중 정부 당시 진보와 친북 사이트는 4.3사건을 “제주도민의 민주항쟁”으로 왜곡시키면서 희생자들(공산 프락치 포함)을 “민주화를 위한 유공자”로 정하고 이들의 유족들에게 정부가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실정에 과거 군과 경찰에 복무한 많은 사람들은 “나라의 명령으로 공산폭동을 진압한 우리가 학살범이냐”면서 반발하고 있다.
노 대통령의 4.3사건 사과 발언에 대한 반박 성명서
화해와 협력에 대해서 누가 반대하고 거부할 것인가? 그러나 대통령이 4.3 사건의 본질과 진상에 눈을 감은 채 포장된 평화와 인권만을 위해 화해와 협력을 강조한다면 그것은 대통령의 국가통수권을 포기하는 행위가 될 것이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 할 책임이 있음으로 대통령은 4.3사건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서 사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50년이 지난 오늘의 시점에 와서 꼭 사과를 할 필요가 있다면 최소한 제주4.3사건의 배후에 대한민국의 건국을 부정하고 방해했던 남로당의 선동과 지시와 지원이 있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그 진압과정에서 발생한 억울한 희생자들에 대해 사과해야 옳았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여 7명의 장관과 12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당수 위원 중에는 4.3사건을 최초의 통일시도로 보는 견해도 있었음을 밝히지 않을 수 없다. 군과 경찰을 대표하는 3명의 민간 위원들은 지난 10월 15일에 통과된 「제주 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가 무장폭동의 과잉진압에만 초점을 맞춘 채 공산무장반란이라는 사건의 본질을 덮고 무장봉기로 둔갑하여 기술 함으로서 동 보고서의 채택의결을 거부하고 현장에서 사퇴를 선언했음을 밝히면서 노 대통령의 발언이 대한민국의 정통성 부정으로 연결되지 않기를 바란다.
2003년 10월 31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