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괴담에 ‘목소리 공포’가 없다?

이 뉴스를 공유하기














 ▲ 사진설명
 여고괴담-목이 악보에 찔려 살해당하는 장면

요즘 한국영화가 침체기라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흥행이 잘 되는 영화가 드물고 또 잘 만들어진 영화도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대로 그냥 <친절한 금자씨>와 <외출>의 뚜껑이 열리기만을 기다려야 할까요?



매년 여름에 등장하던 공포영화의 맥을 잇고 있는 두 영화 <분홍신>과 <여고괴담 네번째 이야기-목소리>도 썩 기대에 부흥하는 영화는 아닙니다. 과거 걸출한 신인 박기형과 안병기 감독을 배출한 한국 공포영화 장르는 요즘 플롯이나 기법 면에서 진부함을 이겨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중 지난 <여고괴담 세번째 이야기-여우령>의 부진을 씻어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여고괴담 네번째 이야기-목소리>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영화가 잘 만들어졌는지 아닌지를 떠나서 이 영화의 예고편이나 포스터 등을 보고 있노라면 과연 관객을 끌기 위해 만든 것인지 약간 의구심이 듭니다. “죽은 친구가 말을 건다”는 컨셉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TV 예고편은 단지 소리만 질러대는 여고생의 얼굴만 들이대고 있고, 영언의 얼굴을 클로즈업한 포스터에서는 이 영화에서 새롭게 시도(?)했다는 ‘사운드 공포’의 어떤 감성도 느끼기 힘듭니다.



학교를 떠도는 목소리 유령 이야기


그렇다면 영화는 어떨까요? 지금 이 순간에도 열심히 무대인사를 하며 영화홍보에 막바지일 제작진들을 생각하면 무심하게 활자로 한마디 뱉는 것은 너무 무책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좀더 대안이 있는 비판을 하는 것이 신인들에게도 도움이 되겠지요.


일단 스토리부터 들어가 보겠습니다. 천상의 목소리를 가진 여고생 영언(김옥빈 분)은 어느날 학교에서 살해당합니다. 하지만 누가 범인인지 알지 못한 채 그녀는 유령으로 학교를 떠돕니다. 아무도 그녀를 볼 수 없지만 단 한 명 그녀의 단짝친구 선민(서지혜 분)만이 그녀의 목소리를 듣습니다.


그들은 이제 누가 영언을 죽였는지 파헤치기 시작합니다. 유력한 용의자로 음악선생(김서형 분)이 떠오르지만 심증만 있을 뿐 왜 그랬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때 마침 같은 반의 초아(차예련 분)가 선민에게 다가와 영언의 말을 믿지 말라고 충고해줍니다. 영언-선민-초아의 여고생 삼각관계 속에서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지는데 그것은 이 학교를 떠도는 목소리 유령에 관한 것입니다.


이 영화로 데뷔한 최익환 감독은 <여고괴담> 1편의 조감독을 했고, <나는 왜 권투심판이 되려하는가>라는 어린아이 시점의 독특한 단편영화를 만들었습니다. <모텔 선인장>에서 후반작업 코디네이터를 했던 경험을 살려 <영화 후반작업>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던 그는 이론과 현장경험을 갖춘 신인입니다.


또 주연배우 세 명 역시 CF에서 활약한 서지혜, 차예련을 비롯, 네이버 얼짱 출신인 김옥빈 등 모두 TV와 인터넷을 통해 얼굴을 알린 뒤 영화에 처음 데뷔한 신인입니다. 역대 <여고괴담> 출신 여자 연예인들이 그랬듯이 이들도 스타의 꿈을 키우고 있겠죠.


작은 규모 영화가 상상력도 부족하다면…


이 영화의 장점은 오프닝 타이틀과 간간히 사용된 시각효과입니다. 죽은 영언이 과거를 알게 되는 특수한 공간, 마치 학교 내의 웜홀처럼 펼쳐지는 그 공간의 처리는 자연스럽고 신비로워 보입니다. 또 죽은 영언을 친근한 귀신으로 만든 것도 괜찮았습니다. 귀신이면서도 무서움이 많은 여린 이미지가 <여고괴담>이라는 여학생 컨셉트에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또 초아가 선민과 죽은 영언을 이간질시킨다는 설정이 독특합니다. 영언은 죽었지만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학교를 맴돌고, 이 설정을 좀더 밀고 나갔다면 아마 더 파워풀한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여고괴담 네번째 이야기-목소리>의 가장 아쉬운 점은 이 영화가 흡입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지나치게 엘리트적이고, 또 사건이 너무 없습니다. 예산이 적다보니 영화의 규모가 작은 것은 이해하겠는데, 그렇다면 애초부터 작은 규모의 영화가 만들어낼 수 있는 풍부한 상상력을 발휘했어야 했는데 이 영화는 너무 빈약하고 또 너무 딱딱합니다.


영언 역을 맡은 김옥빈의 몸은 좀처럼 움직이지 않습니다. 아무리 죽은 여고생이라지만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영화가 전반적으로 느리고 건조하기 때문에 더 그렇게 느껴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건조함에 덧붙여 이 영화는 시퀀스와 신의 구성이 애초부터 잘못되어 있던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합니다. 끊어줘야 할 부분에서 끊지 못하고 이어야 할 부분에서 툭툭 끊깁니다. 특별한 의도가 있는 게 아닌 다음에야 장르영화를 표방한 <여고괴담> 시리즈에서 스토리조차 이해하기 힘들게 플롯이 짜여져 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라스트 신은 왜 그렇게 황급히 끝내는지 러닝타임에 쫓기는 듯한 느낌입니다. 이것은 많은 신인감독들이 시행착오를 겪었던 부분이기도 하지요.


기대에 못 미친 사운드 공포


또 이 영화가 표방한 사운드 공포라는 것도 기대에 못 미칩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감독 스스로 인터뷰에서 밝혔더군요. 새롭게 사운드를 만들어봤지만 그다지 무섭지 않아서 기존의 소리를 확대해서 사용했다고요.


하지만 제 생각에는 이 영화에 사운드 공포를 실험할 만한 장면이 별로 없었던 것이 더 큰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영언이 천상의 목소리를 가진 주인공으로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노랫소리는 공포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또 합창반에서 다양한 악기로 놀랄 만한 사운드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은데도 아쉽게 이런 장면은 없더군요. 영언이 공포에 떠는 지하 보일러실에서 굉음과 목소리가 섞여 기괴한 사운드가 나올 것을 기대했던 저의 바람은 그냥 소망이었을까요?


이밖에도 이 영화에는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다음에 나올 <여고괴담 다섯번째 이야기>를 위해서 건설적인 비판은 이 정도에서 접기로 하겠습니다. 영화를 잘 만든다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니지요. 충무로에 모처럼 등장한 이론과 현장경험을 겸비한 최익환 감독이 시행착오 끝에 더 나은 차기작을 만들기를 기대해봅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