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가주의 찬바람이 남가주를 몰아치고 있다. “북가주 실리콘 밸리의 한국인 대부”로 불리는 이종문(78) 나라은행 이사장이 코리아타운의 은행가를 휘젖고 있다. 나라은행의 최대주주라는 세도와 돈의 위력을 과시하듯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은행장의 목을 가차없이 내리치고 있다. 국내에서 이종문 이사장은 미국에서 벤처기업가로 거부가 되어 “백만장자 자선사업가”로 잘 알려져 있으나, 나라은행 직원들에게는 “저승사자”처럼 보이는 인물이다. 최근의 나라은행 파동은 이종문 이사장을 우두머리로 박기서, 백제순 등 일부 이사들이 한패가 되어 양호 행장을 포함해 직원들을 달달 볶았다고 한다. 은행가에서는 이종문 이사장이 나라은행에서 한 때 자신과 죽이 맞은 벤자민 홍 신임 새한은행장과 과거 나라은행과 아시아나은행의 합병처럼 짝짜꿍으로 이번에도 두 은행을 합병해 거액의 이익을 챙기려는 야심을 품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과연 은행가의 “두 노욕”의 끝은 어디까지인가. 특별취재반 |
이종문 이사장이 이번 양호 행장의 목을 친 것처럼 행장 갈아치우는 것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01년 8월 당시 북가주 아시아나은행에 이사장인 이종문씨는 LA에서 영입한 박광순 행장(현 미래은행장)을 8개월만에 해임했다. 당시 박광순 행장은 이종문 이사장과의 갈등을 견디지 못했다고 한다.그 후 이종문 이사장은 자신의 아시아나은행과 나라은행와 합병한 뒤 나라 행장이 된 홍승훈 행장(현 아이비은행장)을 3개월만에 해고시켜 나라은행 사상 최단명 행장 기록을 남기게 했다. 5년 동안에 3명의 행장 목을 친 것이다. 박기서는 최소 투자이사 이종문 이사장과 함께 양호 행장을 들볶은 박기서 이사는 실지로 많은 돈을 은행에 투자하지 않은 인물인데 벤자민 홍 전행장이 영입해 온 이사이다. 그는 이사들 중에서 가장 적은 투자를 하면서도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인물로 비춰지고 있다. 이사들의 투자분을 보면 이종문(217만주), 김용환(70만주), 존 박(42만주), 백제선(10만주), 박기서(9만주)이사 순으로 그가 꼴지이다. 현재 건축설계사 사무실을 운영하면서 한미박물관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데 여기서도 직원들을 들볶아 말이 많았던 인물이다. 박기서 이사와 백제선 이사는 당초 나라은행 소유지분이 없었으나 그동안 받은 스탁옵션이 12만주로 늘어나 16일 종가기준으로 200여만달러의 자산가치를 소유하게됐다.
사실 양호 행장은 나라은행에 취임하면서 전임 벤자민 홍 행장이 저질른 회계상 오류를 시정하느라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만 했다. 여기에 벤자민 홍의 최측근 민 김 전무 등을 포함한 전위대 직원들의 비협조도 큰 짐이 되었다. 은행의 발전을 위해 구조조정을 단행하려 해도 이종문 이사장을 포함 박기서 이사와 백제순 이사 등의 조직적인 방해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존 박 이사와 김용환 이사 등은 “이사회가 너무 경영진을 간섭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여 이종문 이사장 일파 이사들과 대립각이 세워지게 됐다. 나라의 외부 컨설팅 그룹측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들 2명의 이사 자질을 문제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질문제에는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한다는 내용도 있다고 했다. 한인은행의 특성을 완전히 무시한 언어 문제는 개인의 험담으로까지 비춰지게 되기도 했다고 한다. 이종문 이사장은 이사회 참석시 은행비용으로 최고급 호텔과 1등석 비행기를 이용해왔다고 한다. 행장 목을 치는 것이 다반사인 이종문 이사장은 동포사회를 보는 눈도 달랐다. 지난 2003년 나라은행과 아시아나 은행의 합병계획이 발표됐을 때 북가주 한인사회 일각에서 “아시아나 은행이 한인사회와의 ‘30만주 환원’약속을 져버린 배신행위”이라며 “법적 대응도 강구하겠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은행이 합병하는 과정에서 동포사회가 단체소송을 검토하기는 당시로는 처음이다. 아시아나 은행 활성화를 위해 참여했던 북가주 한인사회의 일부 고문들과 이사들은 이종문 이사장이 북가주 한인사회와의 약속을 위반해 일방적인 합병을 추진했다며 은행과 이사장을 상대로 단체소송을 검토했었다. 컴퓨터 분야에서 거대한 부를 축적한 이종문 당시 아시아나 은행 이사장은 실리콘밸리 한인상공회의소 회장이 되면서 지역 한인사회참여에도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동포사회를 얕보는 이종문 그러다가 이종문 이사장은 주주들의 내분으로 바람잘 날이 없는 아시아나 은행에 발을 들여 놓게 됐다. 그는 이사장이 되면서 300만 달러를 은행에 투자하고 말썽 많은 주주들의 주식을 매입해 은행 정상화에 나름대로 노력했다. 또 한인사회에 대하여 ‘은행에서 번 돈은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종문 이사장은 동포사회에 대하여 ‘30만주 환원(300만 달러어치)’을 공약하면서 동포사회가 은행을 키워 주도록 호소했다. 한인사회와의 유대와 은행 활성화를 위해 동포사회 유지들을 은행고문이나 이사로 영입했다.
이종문 이사장은 자신의 힘으로는 은행 경영이 한계에 다 달았음을 실감했다. 주위에서도 “은행에서 손을 떼는 것이 낫다”라는 권유를 많이 받게 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2003년 느닷없이 ‘나라은행과의 합병’이란 소식이 터져 나온 것이다. 아시아나 은행의 고문 중의 한 사람은 “아시아나 은행은 북가주 동포사회의 자존심이 걸린 금융기관이다. 우리들은 은행 활성화를 위해 열심히 뛰었는데 우리와는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은행을 팔아 버린 행위는 배신이다”면서 “특히 이종문 이사장은 대주주로서 30만주 사회환원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시아나 은행 초창기에 이사로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이 은행을 설립하기 위해 약 10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쳤는데 하루 아침에 은행을 팔아 버리다니 무책임하다”면서 “은행 경영진이 책임을 지고 물러 나고 새로 구조조정을 하여 은행을 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일부 고문들과 이사들의 법적소송 움직임에 대해 지역의 한 변호사는 고문들의 주장대로 아시아나 은행이 고문제도를 도입하면서 은행의 실적이 양호하면 30만주를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면 이번 케이스는 사기혐의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을 내 놓았다고 했다. 당시 합병을 두고 아시아나 은행의 일부 주주들이 반기를 들었다는 점에 대해 이종문 이사장측은 “자칫하면 휴지조각이 돼 버릴 아시아나 주식을 합병으로 오히려 주가상승을 시켰는데 무슨 소리냐”고 반문했다고 한다. 일부 한인들도 ‘30만주 한인사회 환원’이라는 공약에 대해서는 은행이 발전적 확장으로 이종문 이사장이 계속 나라은행의 최고실력자가 되기 때문에 기대해보자는 입장도 보였다. 하지만 이같은 북가주 동포들의 염원이 실현됐는지는 의심스럽다. 합병의 미스테리 지금까지도 당시 왜 나라은행과 이종문 이사장이 주도하는 아시아나은행이 합병했는지는 미스테리에 가깝다. 당시 나라은행과 아시아나 은행의 합병은 토마스 정 이사장, 벤자민 홍 행장과 아시아나 은행의 이종문 이사장과의 개인적 친분관계에 의한 모종의 결탁이 있었다는 설이 설득력 있게 나돌면서 각본에 의한 시나리오로 분석되고 있는 것이다. (다음호에 계속) |
이종문은 누구인가? 이종문 나라은행 이사장은 은행가이기 보다는 컴퓨터 베처기업인 암벡스(AmBex) 회장으로 더 잘 알려진 인물이다. 미주한인들에게는 1994년 샌프란시스코의 아시아미술관이 재정난에 빠지자 개인 기부로는 최고액인 1500만 달러를 기부하면서 미국 언론과 한국언론에 대서특필 되면서부터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