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택경기 침체가 2007년 세계경제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잇달아 제기 되면서 지난 해 3.8% 보다 낮은 3.2% 성장에 머물 것으로 AP통신이 유엔의 ‘2007년 세계경제 동향 연례 보고서’를 인용 보도하면서 주택 경기 부진으로 소비증가가 줄어 들면서 미국의 경제 성장률은 2.2%에 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일본과 유럽이 경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 경제의 성장세를 이끌 정도로 충분치 않다’고 지적하며 ‘미국의 집값이 지금처럼 급락한다면 세계 경제는 위험할 정도로 심각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일본과 유럽 등 선진국들은 2007년 2%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16일 워싱턴을 비롯해 라스베가스, 마이아미, 보스톤 등 대 도시의 공동주택과 콘도미니움 시장이 2006년 중반부터 침체 국면에 돌입 매물이 쌓이고 가격도 하락하면서 임대로 전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많은 대도시에서 공동주택 건설업자들이 대출을 축소하고 일부 은행들은 공동주택의 공사를 착공하기도 전에 매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부동산 조사기관인 델타어소시에이츠의 통계에 따르면 워싱턴의 작년 말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공동주택 매물이 2만4천200여 채에 달해 2005년 초반의 1만3천채보다 1만 채 이상 증가했으며 작년 4분기에 팔린 주택은 663채에 불과해 2005년 1.4분기의 3천520채에 비해 무려 70%이상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미부동산중개인협회에 따르면 미국 전체에서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공동주택 판매 감소율은 13.6%에 달해 단독주택의 10.7%에 비해 높았었다. 또한 판매되지 않은 재고 증가율은 공동주택이 38.1%, 단독주택이 29.6%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고 분석 비교 보도했다. 이에 따라 대다수의 건설업자들은 현재의 공동주택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면서 당분간 임대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 경우 임대료가 지나치게 하락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정부가 투자목적의 해외부동산 취득 한도를 개인 당 100만 달러에서 300만 달러로 확대했지만 정작 투자가들은 허울뿐인 투자한도 확대에 대해 달갑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3일 ‘특단의 환율 대책’의 일환으로 해외부동산 확대방안을 발표, 민간의 해외투자•부동산투자 및 기업 해외진출을 활성화 시킨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일반 투자가 입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해외펀드에 대한 비과세와 해외부동산 투자한도 확대라고 볼 수 있다. 해외부동산 투자가 1인당 300만 달러로 확대됨에 따라 투자 목적으로 대형 저택이나 상가, 땅을 사는 것도 가능하고 미성년자에 대한 투자한도도 없앴기 때문에 증여세 등 세금만 제대로 냈다면 4인 가족 기준으로 1200만 달러까지도 투자할 수 있다. |
한국정부 ‘해외투자 활성화’ 조치의 속셈과 겉셈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