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다이어트(어린이)
미국의 비만 통계를 보면, 1991년과 2001년 사이 건강에 이롭다고 새로 만들어진 음식 메뉴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럼에도 미국의 비만 성인은 23%에서 31%로 증가했다. 미 보건당국의 2002년 통계에 매년 3%씩 비만 인구가 증가했고 같은 기간에 저칼로리 음식과 음료 소비는 48%에서 60%로 급증해 매년 2.3%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건강에 좋다고 하는 음식 소비는 매년 6%씩 증가했다. 건강에 좋다는 음식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비만율은 줄이지 못하는 실정이다. WHO에서도 비만 자체를 질환으로 인식하고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하며 비만을 줄이는 것이 만성 질환의 예방에도 중요하고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비만에 대한 국가적 관심도 높아지고 개개인의 관심도 높아졌고 저칼로리 음식도 많아 졌어도 비만은 줄어들고 있지 않는다.
어린이 다이어트 소아비만이 처음으로 사회문제가 된 것은 10여년 전의 일이다. 그동안 소아비만인 어린이는 3~4 배나 증가했으며 최근에 두드러진 현상은 비만아의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소아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보다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부족에 의한 것이다. 즉, 많이 먹고 적게 움직이는 것이 비만의 원흉이고 움직임이 부족하여 기초대사량이 감소하면 남아도는 에너지가 지방으로 변하여 몸 구석구석에 쌓이게 된다. 소아비만의 치료에 있어서 특히 고려해야 할 사항은 소아는 어른과 달리 현재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키가 커지고 있으므로 체중을 줄이려고 하는 것을 비만치료의 목표로 삼을 것이 아니라 일단 체중이 더 불어나지 않도록 하고, 성장에 도움이 되는 음식(단백질과 칼슘 등)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면서 운동을 시키게 되면 성장호르몬 분비가 촉진되어서 키가 커짐에 따라서 자연히 비만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아는 절제력이 부족하므로 식사조절과 운동을 강요하기보다는 가족의 협조도 필요한 사항이다.
<어린이 비만 대책> (1) 식사조절 : 다이어트를 시작했을 때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건강하게 살을 빼는 것이다. 무턱대고 식사량만 줄이면 영양이 부족하거나 편중되어 발육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체 세포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비타민 B₁이 부족하면 키가 자라지 않을 수 있고, 칼슘과 비타민 C와 비타민 D 결핍은 뼈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지방은 과잉섭취 할 때 문제가 되지만 비타민의 흡수나 세포증식을 돕는 영양소이므로 필요량은 반드시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체중 감량의 기본은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적당량 골고루 섭취하면서 전체 칼로리를 억제하는 것이다. 합리적인 식단은 아이의 건강을 지켜주고, 체중감량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2) 운동 : 단시간에 많은 힘을 내거나 단시간에 행하는 운동은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쓰게 되나 가벼운 운동을 장시간 행하게 되면 체내에 축적된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쓰게 되므로 비만치료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다. 소아 비만아들에게 적합한 운동으로는 활기차고 지속적인 에어로빅 운동으로서 자전거 타기, 속보, 계단오르기, 크로스컨트리 스키(기계이용) 등이 있으며 무엇보다 재미있고 활기찬 내용이 좋다. 소아에 있어서의 운동은 혼자하는 운동보다 친구들과 함께 하는 것이 좋으며 최소한 1주일에 3~5회, 최대 심박수의 60~75%정도의 강도가 좋다.
<어린이 다이어트 지침> (1) 자신의 날씬한 모습을 상상하며 바른 식생활과 운동법을 몸에 배도록 한다. 약속을 조금씩 어기더라도 나무라지 말고 꾸준히 노력하도록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2) 어머니와 같이 시장을 보고 조리, 식탁준비, 설거지를 도와 영양, 위생, 바른 식생활의 기본지식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한다. (3) 칼로리가 낮고 영양가는 높은 자연식품을 위주로 식단을 구성하고 고칼로리 인스턴트 식품은 아예 집에 두지 않는다. 잘 보이는 곳에는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둔다. (4) 아침은 꼭 먹고 저녁식사 후에는 간식을 삼가고, 식사시간과 간식시간을 정해서 규칙적으로 먹는다. 물을 많이 마시고 우유도 하루 두잔 씩 마신다. 그러나 탄산음료는 금물이다. (5) 식사 후 3분 이내에 이 닦는 습관을 길러 다음 식사나 간식시간 까지 입안을 깨끗이 유지한다. 그래야 무언가 먹고 싶다는 유혹도 피할 수 있다. 책상이나 TV앞, 잠자리에서 먹는 것은 금물이다.
(비만 상담을 무료로 해 드립니다. 323-735-9841 GM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