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형철 프로 |
|
발상을 바꾸면 나도 100타를 깰 수 있다
골프에 처음 입문해서 수년이 지났지만 아직 보기플레이는 커녕 100타를 훨씬 넘어 심지어 스코어를 세는 걸 포기하고 라운딩을 하는 골퍼들이 많다. 나는 언제쯤 100이란 스코어를 깨보나… 주변에서는 나보다 늦게 시작해서 또 나보다도 운동신경이 훨씬 뒤떨어진 것 같은데 벌써 100을 돌파했다고 자랑이 대단하다. 그러나 나는 아직 100개는 커녕 감히 스코어를 입밖에 내지 못하고, 레슨프로를 찾아 가서 본격적으로 배워야 하나? 아니면 대충 심심풀이로 골프를 즐겨야 하나, 기로에 서지만 그게 상대적이고 또 주변에 같이 라운딩하는 동료가 있다면 경쟁심이 붙지 않을 수 없다. 또 플레이를 하다 보면 조금이나마 내기골프가 빠질 수 없다. 핸디를 받고 치기에도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고 마냥 받기도 그들의 눈총이 있으니 나중에는 아예 스크레치로 붙자는데 마냥 기량만 탓할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러다 보면 맥이 풀려 골프의 흥미를 잃게 되어 결국은 클럽과 멀어지는 것이다. 왜 스코어가 줄지 않는 것일까? 물론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려운 답이다. 하지만 몇가지만 생각을 바꾸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우선 티샷은 물론이고 세컨샷이라도 핀이 보이기만 하면 거리와 상관없이 핀을 노리고 치는 것이 문제이다. 마치 바람에 펄럭이는 깃발이 핀을 향해 돌진하는 성난 투우처럼 무턱대고 돌진한다. 이래서는 좋은 스코어가 나올리가 없다. 티샷 이란 평소 본인의 기량인 본인의 드라이버거리와 어느 지점이 세컨샷 하기가 좋은지 결정해 놓고 샷을 하는 것이다. 400야드 넘는 멀리 보이는 깃발이 마치 한번에 올릴 생각으로 티샷을 하면 그스윙이 온전하겠는가? 거창하게 홀 매니지먼트(Management)를 하자는게 아니라 본인의 능력을 직시하고 무리한 스윙을 하지 말자는 것이다. 세컨샷도 거리를 생각하지 않고 무리하게 우드나, 롱아이언으로 ‘모 아니면 도’ 라는 식의 스윙으로는 곤란하다. 열번 쳐서 한 두번 성공할 확률이라면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한가지는 핀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는 것이다. 핀을 노리지 말라는 것은 티샷이나 세컨샷에서만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핀까지의 거리가 100야드가 되지 않는 거리에서도 어프러치의 발상을 바꿀 필요가 있다. 특히 50야드 이내 일 때는 핀에 붙여야 하는 거리다. 무슨 소리야? 어프로치를 붙이지 못하니까 100을 깨지 못하는 것 아니야! 어프로치할 때 핀을 노리지 말라는 것이 될 법이나 한말이냐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것은 그린에, 그리고 핀에 가까울수록 마음이 급해지고 샷 자체가 리듬을 잃는다. 골프에 유명한 격언이 있다. ”티샷은 한 점을 노리고 핀을 향한 샷(어프로치 등)은 하나의 존(zone)을 노려라”라는 말이다. 그린을 노리는 샷은 너무 핀을 의식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핀까지 50야드 라면 10% 약 5야드 반경으로 원을 향해 하는 것이 좋다. 너무 핀에 집중하다 보면 긴장이 되고 힘이 들어가 상체가 숙여져 결국은 뒷땅을 치던가 또는 너무 빨라 공의 머리를 쳐서 결국은 흔히 말하는 온탕, 냉탕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어프로치는 존(zone)을 향하는 것이 기본적으로도 편하고 또 그러다 보면 핀에 붙이는 결과가 자주 나타난다. 또 하나의 스코어메이크중 하나는 어디까지나 낙관적인 태도를 잃지 않는 것이다. 한 홀에서 터무니없이 더블파를 한다던가 또는 티샷의 실수로 평정심을 잃고 상심하여 그 영향이 다음 홀이나 샷으로 연결되면 안된다. 왜냐하면 지금 나의 목표가 이븐플레이나 언더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질 않는가. 100을 깨는 정도의 목표는 약간의 미스는 얼마든지 허용할 수 있다. 그럼으로 본인에게 좀더 너그러워질 필요가 있다. 그래야 아직 많이 남은 홀들이 즐겁고, 좋은 스코어로 마무리 할 수 있다. 다음 한가지는 긴장에 관한 이야기다. 대다수 비기너들이 연습장에서는 그래도 왠만큼 맞는데 코스에 나가면 영 안맞는다는 골퍼가 있다. 아무래도 100을 깨지 못하는 골퍼들에 있어서 다름아닌 긴장이 큰 적이 될 수 있다. 긴장을 한다는 것은 어드레스를 하고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이다. 물론 샷을 빨리 하라는 뜻은 아니지만 어드레스 까지는 여유를 갖지만 일단 어드레스를 하였다면 곧 치라는 것이다. 긴장을 피하는 좋은 방법이다. 어떻게 해서든지 핀에 바짝 붙이고 싶을 때, 즉 어프로치를 할 때 아마추어들은 보통 때보다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 그러면 몸이 앞으로 점점 수그러진다. 다시 말하자면 신중하게 치자 실수하면 안된다고 생각할수록 눈이 볼을 따라가게 된다 볼에 빨려 들어가고 그래서 몸이 자연스레 앞으로 수그러져 대개 실패로 연결된다. 이것이 어프로치샷의 실패하는 원인이다. 어드레스 할 때까지는 약간의 시간을 들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어드레스 후에는 바로 샷으로 연결 되어야 한다. 어드레스를 하고 머뭇거리면 그만큼 스스로 긴장을 증폭시키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스코어는 숏게임에서 좌우된다. 드라이버나 세컨샷은 쓰리온 이던 포온 이던 별 문제없지만 어프로치나 퍼터는 곧 스코어메이크 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평소에 연습할 시간이 없다면 필드에 나가는 날이라도 1시간 정도 일찍 나가 연습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많이 하는 것 만이 100타는 물론 멀지 않아 보기플레이어 대열에 서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