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에 대한 줄곧 비관적인 전망을 쏟아낸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지난 20일 세계 경제 회복이 “매우 볼품없게(very ugly)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경제회복 조짐을 지적했던 루비니 교수는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경제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나 그 폭은 기대이하에 머물 것이라고 내다봤다. 루비니 교수는 “향후 수년간 경제 성장률은 1%대에 머물 것이며 내년에는 11%에 달하는 실업률과 함께 경제 회복 속도도 더뎌질 것”이라며 “실제로는 이미 경기침체기가 끝났음에도 실물경제는 여전히 침체에 있는 것으로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루비니 교수는 경기침체가 올해 중 끝날 것이라는 지난주 발언과 관련 “나는 경기 침체가 24개월간 지속될 것이라고 줄곧 말해왔다”며 “2007년 12월에 경기침체가 시작된 만큼 올 12월까지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고 거듭 주장했다. 루비니 교수는 금융시스템이 자유낙하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면서 느린 U 자 모양의 회복세가 일어나고 있으나 경제 난제들이 해결되지 못할 경우 W형의 더블딥(이중침체)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연말께 추가 경기부양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으며 노동집약적인 사회 간접자본 시설 프로젝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루비니 교수는 ‘어느 나라가 가장 먼저 침체를 벗어날 것인가’에 대해 “미국”이라고 답하면서도 “신흥시장들 역시 모종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론(비우량 주택담보 대출) 다음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다.” 미국 경제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3조5000억 달러 규모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새로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시한폭탄’(Time Bomb)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미 의회 합동경제위원장을 맡고 있는 캐럴린 말로니 민주당 하원의원은 최근 청문회에서 “7000억 달러 상당의 상업부동산 모기지가 내년 말까지 차환(借換)돼야 하는 실정”이라며 “그럼에도 (차환에 대한)이렇다 할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말로니 의원은 “아무 것도 안하는 것이 대안일 수 없다”면서 “계속 방치되면 신용 위기에서 어렵사리 헤어나기 시작한 은행들은 물론 쇼핑센터와 호텔 등을 마비시켜 또 다른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디폴트(채무 불이행)는 지난달 말 5315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많은 호텔과 유통센터가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 캐피털 어낼리틱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상업용 부동산 담보 채권(CMBS) 손실이 900억 달러 가량이며 전체 금융시장 손실에 9~1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청문회에 참석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존 그린리 금융관리 국장보는 “지난 1분기 말 잔고 기준으로 미국 은행들이 모두 1조8000억 달러를 상업 부동산 담보로 대출했다”면서 “이 중 7% 가량이 부실채권”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의 부실금융채권구제프로그램(TALF)으로 은행 신용 경색이 완화됐으나 다른 문제들이 여전히 심각하다”면서 “상업 부동산 외에 크레디트 카드와 산업채권 부실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2분기 미국의 임대 사무실 공실률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사무실에 대한 수요마저 감소한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오피스 공실률은 15.9%로 전년 대비 2.7%포인트 급증했다. 미국 부동산 조사기관 레이스(Reis Inc.)는 2005년 이후로 이번이 가장 높은 수치라고 전했다. 오피스 공실률이 이렇게 높아진 것은 대규모 실업난 때문이다. 지난 5월 미국 실업률은 9.5%로 1983년 이후로 가장 높았다. 대량해고, 임금삭감, 소비위축 등의 상황이 높은 실업률과 맞물리면서 부동산 임대시장에도 찬물을 끼얹고 있는 것이다. 실제 사무실 임대 수요는 6분기 연속 감소추세다. 임대료 역시 1.4% 떨어져 1평방피트당 28.43달러 수준이다. 레이스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실거주자가 지불하는 임대료는 2.7% 하락해 건물주들이 1~2개월은 임대료 없이 계약을 진행하기도 한다. 레이스의 빅토르 캘러녹 연구소장은 “사무실 임대 환경이 극심한 압력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워싱턴주가 10%로 가장 높은 공실률을 기록했으며 버밍햄, 앨라배마, 뉴욕, 내시빌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주택시장도 상황이 안좋긴 마찬가지다. 경기침체 영향으로 집값이 떨어질 대로 떨어진 미국 부동산 시장은 현재 가격이 떨어진 것은 물론 거래물량마저 급감해 적잖은 집주인들이 매수자를 찾기 위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특히 비용부담을 고려하는 실용적인 구매자들이 늘면서 가격이 싼 작은 집은 거래가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지만 면적이 넓은 고가주택들은 가격 급락과 거래량 감소를 피할 길이 없어졌다. 부동산 임대시장도 된서리를 맞았다. 특히 LA에서는 임대주택 공실률이 높아지고 임대료는 하락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주택 소유주들이 상당한 출혈을 감수하며 임차인들과 계약 협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처럼 판매도 안 되고 임대도 잘 되지 않는 상황이지만 올 상반기 일부 주택소유주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참신하면서도 파격적인 판매 마케팅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최근 미국의 고급 아파트시장에서 유행하는 마케팅은 ‘임차 후 매입(Rent to Buy)’이다. 이는 매수결정을 망설이는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1년 정도를 임차기간으로 잡아 계약을 성사시키는 것이다. 매물로 나온 집에서 임차료를 지불하며 살아본 후, 기간이 끝나는 시기에 매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마케팅의 요지이다. 임차기간을 거쳐 집을 사기로 결정한 수요자는 기간 중 냈던 임차료가 모두 계약금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주택가격에서 계약금을 차감한 나머지 금액만 지불하면 된다. 여기에 집주인들은 매수 유도책으로 1년 임차기간 중 2개월을 공짜로 빌려주는 혜택을 마련해 수요자들의 임차료 부담을 덜어 고객잡기에 혈안이다. 고가의 부동산은 매입하려던 사람들도 결정하는데 있어 신중해지는 경향이 있다. 임차 후 매입 작전은 일단 주택에 거주하면서 매입 결정을 늦출 수 있도록 해서 고객의 매입부담을 덜어준다는 평가다. 한편 실업률이 높아진 미국 사회. 자동차 판매시장에서 현대자동차의 ‘실직자 마케팅’이 성공을 거두자 최근 미국 시장의 여러 분야에서 유사한 ‘실직자 마케팅’이 등장하고 있다. 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4월 캘리포니아부동산중개협회(CAR)는 직장을 잃은 고객의 할부금을 대신 내주는 ‘실직자 마케팅’을 실시했다. 신규 고객이 직장을 잃게 되면 최대 6개월에 걸쳐 한 달에 최고 1500달러의 할부금을 지원해 주는 것이 주요 내용으로 최근의 힘든 부동산 시장 경기를 실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