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회심의 프로젝트로 기획한 ‘2009인천세계도시축전’(위원장 진대제) LA때문에 싸구려로 전락할 위기에 몰렸다. 하루 수 십 만의 관람객이 찾는 수준높은 축전에 LA가 상식 이하의 행사기획으로 분위기를 흐리고 있는 까닭이다. 지난주 <선데이저널>이 ‘축전 개막 열흘이 지나도록 LA전기관은 개관조차 못 하고 있다’고 보도하자 조직위원회가 서둘러 해당 전시관 개관 공사를 마무리하고 일반에 공개했지만 관람객들의 반응은 차갑다 못해 냉혹했다. 오랫동안 심혈을 기울여 축전을 준비한 다른 도시들과 달리 초라하기 이를 데 없는 내부 설계와 수준이하의 전시내용으로 관객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현지 분위기에 따르면 LA 전시관은 말이 좋아 전시관이지 인터넷 백과사전만도 못하다는 말이 공공연히 돌고 있다. 전시된 사진 위에 붙은 이름은 철자가 상당부분 잘못됐을 뿐 아니라 아예 설명조차 없는 전시물도 적지 않다.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이번 LA전시관 문제로 문책을 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전시관 설치와 운영을 책임지기로 했던 LA한인회 관계자들은 연락조차 닿지 않아 주최 측을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리챠드 윤 취재부기자>

국내·외 120여개 도시가 참여한 인천세계도시축전은 하루 수 십 만의 관람객이 모여드는 대규모 축제다. 참가국들은 저마다 자신들의 도시 선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 중 세계도시관은 한눈에 세계여행을 체험할 수 있어 관람객들의 호응이 대단하다. 축제에 참가한 미주지역 도시는 뉴욕과 하와이 샌프란시스코와 LA 등 4개. 완벽한 전시관을 설치하고 홍보전에 가세한 다른 도시와는 달리 유독 LA만이 상식이하의 행보를 보이며 축전기간 내내 겉돌고 있다. 지난주 본지가 보도한대로 LA 전시관은 축전 개막 열흘이 넘도록 내부 공사가 마무리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한인회 대신 조직위가 나서 서둘러 공개한 전시관도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기본적인 부스조차 없고 LA를 대표할만한 상징물 하나 구비되어있지 않다. 해당부스의 한 자원봉사자는 “관람객들의 불만이 이만 저만 아니다”라며 “관람객들이 흔하디 흔한 도시 사진만 있고 제대로 된 설명문구가 없어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고 말했다.
엉망진창, 수준이하 전시관
관람객 “실망이야!” 기대이하 축전에 한숨
인천세계도시축전이 개막 후 2주가 넘었지만 관람객 저조는 물론 운영미숙과 불친절도 축전 안팎에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방학이 끝난 후 학생들의 단체 관람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이마저도 신종 플루 영향으로 대부분의 학교들이 방학을 연장하면서, 이달 말까지 100만명 관람객 확보도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23일 도시축전 조직위에 따르면 8월 22일 현재까지 66만6천849명의 관람객이 다녀갔고, 이달 말까지 100만명 돌파를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등 난관에 부딪쳐 실적이 저조한 상태다. 이에 따라 조직위는 행사장 운영 프로그램을 보완해 다음달부터 학교들이 개학을 하는 등 단체 관람객의 대거 방문에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신종 플루로 인해 대부분의 학교들이 방학을 연장하거나 관람 일정을 늦추고 있어 다음달 관람객들의 참여도 불투명한 상태다. 도시축전을 찾는 관람객 저조로 행사장 내 식음료 점포도 손님이 없어 한산한 분위기다. 주행사장 등 도시축전 관람객이 갈수록 줄면서 행사장 내 점포를 운영 중인 상인들도 곳곳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중부일보> |
전시관 입구에는 ‘Hollywood’라는 큰 문구가 상징적으로 걸려있었지만 고작 샤론스톤의 스타거리 사진만 입구 양측에 붙어 있고 내부에는 카타리나섬과 산타모니카비치, 케티벨리, LA공항, 그리피스 팍, 말리부 비치, 챠이니스 극장을 비롯한 LA관광명소 사진이 비치돼 있다. 그나마도 명소를 소개하는 명판의 철자가 상당부분 틀렸을 뿐 아니라 일부는 사진과 설명이 전혀 맞지 않는 엉뚱한 자료들로 채워져 관람객들의 실소를 자아내고 있다. 다저스 경기장을 소개하는 사진에는 Dodgers가 Dodger로 적혀있으며 LA Staples Center를 소개하는 명판에는 LA Staples Cent라는 얼토당토 않는 오자가 가득했다. 오히려 전시관에 있는 오자를 관람객이 보고 바로잡아주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LA부스 자원봉사자로 나선 대학생 이지민(부산 동의대)씨는 “쏟아지는 불평불만에 눈코 뜰 새가 없다”며 “관객들이 LA를 소개하는 공식 홍보전단 등을 원하고 있지만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배포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씨는 또 “‘제대로 준비도 안 된 전시관을 왜 공개했느냐’는 관람객들의 항의에 시달리다보니 어떻게든 조치를 취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다음 주 안에 LA한인회 관계자들과 협의를 거쳐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짧게 답했다. 이 관계자는 도를 넘어선 LA한인회의 무책임한 처사에 분통을 터트렸다.

“시장과 한인회장 사진은 왜 걸었어?”
취재진과 만난 한 관람객은 “LA를 상징할만한 이미지 한 장 없어 아쉽다”며 “입구에 하다못해 미키마우스 인형이라도 있었으면 LA분위기라도 나지 않겠느냐”고 토로했다. 그는 “입구에 걸려있는 비야라이고사 LA시장과 스칼렛 엄 한인회장, 이창엽 이사장의 사진을 쳐다보며 저 사람들 사진은 왜 여기 있느냐”며 한심한 표정을 짓기도 했다. LA전시관 바로 옆 샌프란시스코 전시관에는 세계적 명소인 ‘금문교’(Golden Gate Bridge)가 사진이 아닌 축소판으로 설치돼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뉴욕관 역시 실감나는 체험관이 설치돼 자유의 여신상 모형 안에 관람객이 들어가 여신상 얼굴 속에 자신의 얼굴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게 비치했다. 또 뉴욕의 상징적인 건물과 이벤트를 통해 뉴욕 왕복 비행기표를 주는 이벤트를 벌여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LA전시관과 붙어있는 하와이 전시관은 이 지역을 대표하는 카누와 실물크기 이미지를 다채롭게 전시해 마치 진짜 하와이 여행을 하는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했다. 이들과 비교해 LA전시관은 썰렁하다 못해 허접스럽다. 조직위원회는 관람객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해당 전시관의 전면 교체를 검토하고 있지만 정작 전시관 설치와 운영을 책임져야할 LA한인회가 ‘나 몰라라’식으로 일관해 기가 막히다는 입장이다. 조직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기자를 만난 자리에서 “원만한 해결을 기대하고 있다. 주최가 LA한인회이니 만큼 실정에 맞춰 부스를 설치해야하지만 최근에야 한인회 관계자와 연락이 되어 다음주 내에 부스를 전면 교체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내심 한인회의 태도에 더 이상 기대할 게 없다는 듯 체념하는 분위기를 풍겼다. 이번 사태의 책임은 인천세계도시축전 관계자들에게도 있다. 미리 철저한 계획을 세워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더라면 최소한 망신은 면했을 것이란 얘기다. 조직위원회가 각 도시 부스설치 계획과 이에 따른 공사 자금 계획 등을 체크하고 행사를 진행했더라면 이번 갈등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직위는 각 지역 관계자들에게 부스 설치와 운영을 전적으로 위임한 채 축전 개막을 맞았다. 이 같은 정황은 여러 곳에서 드러났다. 물론 LA 전시관의 허접한 공사는 둘째치고서라도 다른 전시관에도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름만 세계도시관이지 전시관 자체가 조잡하고 운영도 체계적이지 못한 까닭이다. 인천시가 처음 개최한 세계도시축전은 세계 120여개 나라가 참가한 대규모 행사임에도 각 지역의 언어를 구사하고 전시 설명을 할 수 있는 전문 가이드는 눈 씻고도 찾을 수 없었다. 단지 순수한 의미의 자원봉사자들이 입구를 지키며 오는 관람객들에게 인사를 건네는 수준이었다. ‘80일간의 미래도시 이야기’라는 컨셉에 맞는 체계 있는 축전이 되기 위해 남은 기간이라도 노출된 문제점을 보안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진행미숙에 불친절 만연” 인천세계도시축전 ‘준비부족’ 오명
지난 8월 7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80일 동안의 대장정에 돌입한 ‘인천세계도시축전’이 행사시작 일주일 만에 곳곳에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관람객들은 기온이 30도를 넘나드는 폭염 속에 일일이 행사장을 찾아 땀을 쏟으며 이동해야 했지만 이들이 쉴 만한 휴게공간은 턱없이 부족했다. 하루 수십만의 인파가 모여드는 대규모 행사장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있을 수 없는 광경이었다. 특히 최근 구축된 송도국제도시를 처음 찾은 초행객들은 안내원이 없어 전시장입구에서 행사장까지 통로를 찾지 못해 30분 이상 인근을 헤매는 경우도 허다했다. 또 전시장을 둘러본 상당수 관람객들은 “솔직히 입장료가 아깝다. 세계도시축전이란 이름에 걸 맞는 분위기가 전혀 나지 않고 조잡한 느낌의 ‘짝퉁’을 보고 난 느낌이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일부 관람객들은 “안상수 인천시장이 무언가 잘못 생각한 게 아닌가 하는 맘이 들었다”며 노골적인 실망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개장 첫 주 주말을 맞아 밀려드는 인파(조직위원회 추산 21만 명)에도 불구하고 행사장 내부에 파견된 도우미를 제외하고는 주차장에서부터 축전행사장입구까지 길을 안내하는 스텝들의 모습도 보이지 않았다. 간간히 눈에 띄는 편의점에는 진열대가 텅 빈 채 닫혀있는 곳이 상당수였으며 쓰레기통은 쏟아지는 쓰레기를 소화하지 못해 볼썽사나운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폭염에도 음료 자판기는 고장 난 채 방치돼 있었고 음식을 파는 전문식당가는 아예 재료가 동나 상당수 관람객들이 물 한 병으로 배고픔을 이기는 촌극도 벌어졌다. 울타리 너머에 따로 음식을 파는 가판대가 있었지만 상당히 비싼 가격 탓에 이용하는 고객은 많지 않았다. 지난 주말 이곳을 찾은 관람객수는 21만 명에 이른다. 행사장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뤄 사람끼리 부딪쳤고 불편한 이동 동선 때문에 볼거리, 즐길 거리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 관람객들은 비싼 관람료만 버렸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행사장 뒤편엔 공사를 하고 난 뒤 버려진 폐자재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었다. 급히 행사장 정리를 마무리한 흔적들이 곳곳에서 발견됐다. 또 인근에 있는 숙박업계에는 축전 특수를 전혀 보지 못하고 있다. 인천대교가 아직 개통되지 않아 공항에서 행사장까지의 접근성이 떨어져 불편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지난 11일~12일에는 집중호우로 행사장은 썰렁했다. 몇몇 관람객들을 제외하고 도우미들끼리 삼삼오오 모여 잡담을 즐기고 있었다. 이에대해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문제점이 조금씩 발견되고 있으나 보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환경일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