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부동산 시장이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주택 판매자들이 매도 호가를 낮추고 있는 가운데 향후 5년 안에 관련 업계 회복이 어렵다는 비관적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부동산 데이타 제공업체 트룰리아에 따르면 매도자들이 매도호가를 떨어뜨린 데 따라 증발한 시가총액만 총 284억 달러에 이른다. 10월 1일 현재 매도호가는 평균 10% 이상 떨어졌다. 200만 달러 이상을 호가하는 고가 주택의 폭락율이 14%로 가장 컸다. 트롤리아 피트 플린트 대표는 “현재 주택 재고가 대단히 많다”며 “내년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되찾기 전까지 하락세는 좀 더 진행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매도자들은 호가를 낮출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매도 호가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10개 주 가운데 절반 이상이 메사추세츠, 로드아일렌드, 코네티컷, 뉴햄프셔, 뉴저지 등 북동부 지역에 몰려 있다. 트룰리아는 이들 지역의 주택 가운데 1/3은 적어도 한 번 이상 호가를 낮췄다고 전했다. 부동산 리서치업체인 리스(Reis)에 따르면 미국 79개 지역 부동산 시장의 공실률과 임대(월세) 동향을 조사한 결과 미국의 전국 아파트 공실률은 7.8%에 육박했다. 이는 2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업체는 가을과 겨울 월세 수요가 감소해 공실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 시장 회복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황지환 취재부기자>
여름은 전통적으로 임대 수요가 많은 시기다. 그러나 미국 아파트 공실율은 지난 1986년 이 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는 실업률 상승으로 매물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까닭이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스(Reis)에 따르면 미국 79개 지역 부동산 시장의 공실률과 임대(월세) 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국 아파트 공실률은 7.8%에 달했다. 이는 23년 만에 최고치다. 이 기관은 가을과 겨울 월세 수요가 감소해 공실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빅토르 칼라노그(Victor Calanog) 리스 리서치 팀장은 “올 2분기와 3분기는 이사철임도 불구하고 공실률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3분기에만 42개 지역에서 빈 집이 늘었고 매물이 줄어든 곳은 26개 지역에 불과했다. 다른 11개 지역은 변동이 없었다. 네브래스카주 오마하는 빈 집 비율이 전체의 7.4%에 달했으며 가장 높은 상승폭(1.1%)을 나타냈다. 멤피스와 인디애나, 폴리스, 타코마, 롤리 등도 빈 집이 크게 늘었다. 실업률과 아파트 공실률의 관계는 밀접하다. 미국은 26년 만에 실업율이 9.8%를 경신하며 이후 주택 임차를 원하는 집주인들과 이사를 원하는 가정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집주인들은 월세 주 수요층인 35세 이하 직장인들의 실업난이 가중됨에 따라 애가 타는 상황이다.
금융거래세 도입, 재정적자 타개할까
재정 적자에 시달리는 것은 개인 뿐 아니라 의회도 마찬가지다. 의회는 최근 재정 적자가 큰 폭으로 이어지자 금융거래세 도입을 고려 중이다. 지난 1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의 재정 적자가 급증하면서 미 하원은 금융거래세 도입을 통해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민주당은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는 반면 공화당은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불어나는 재정적자로 미 정부가 재정지출을 감당할 수 없게 되자 미국노동총연맹-산업별조합회의(AFL-CIO)와 같은 미 노동조합들은 금융거래세를 도입해 비용을 보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민주당 의원들도 추가 경기부양책을 위한 재원 조달 방법으로 금융거래세를 주장하고 나섰다. 미국 경제정책연구소(CEPR)는 금융거래세의 도입으로 한해에 1조~1조5000억 달러의 세수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거래액의 0.1~0.25%를 징수하는 금융거래세는 주식 거래를 포함한 모든 금융거래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신용 카드 거래는 가계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제외될 전망이다. 조달된 재원은 실업수당 지급 및 학교 건설 등 공공 프로젝트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연방법도 거래세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통과된 7870억 달러의 구제금융 법안은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의 자금 고갈시 이를 보충하기 위한 장치를 미 대통령이 승인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는 것. 이는 정부가 프로그램을 지원치 못할 경우 세납자가 부담을 대신 지는 것을 막기 위해 민주당이 제안한 제도다. 제안자인 민주당은 거래세 도입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민주당이 관련 조항을 제안할 당시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금융거래세가 시장을 위축시키고 거래를 미국 밖으로 유도할 것이라며 도입을 반대했다. 그러나 지난 9월 하원청문회에서 폴 볼커 전 의장이 금융거래세의 도입에 흥미를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금융거래세는 지난 1970년 투기를 쫓는 단기 외환거래를 규제하기 위해 도입된 바 있다.
금값 상승, 달러화 약세
천정부지 금값 “2013년 1900달러 육박할 것”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 금값이 2013년 온스당 1900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에디슨투자리서치가 내다봤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에디슨은 12일 인플레이션 회피를 위한 안전 자산 선호에 힘입어 금값이 추가 상승할 것이라며 2013년 금값이 온스당 1879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제로금리(0~0.25%) 유지와 국가 부채 누적 등으로 달러가 약세를 거듭하면서 최근 금값은 사상 최고 수준을 달리고 있다. 금 선물은 지난 8일 런던 금속거래소에서 고점인 온스당 1061.55달러를 찍기도 했다. 에디슨은 지난 4월에도 금값이 온스당 1567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금 강세 전망을 내놓았다. | 한편 통화 긴축을 고려하고 있다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의 발언에 미국의 국채수익률이 급등했다.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전일대비 13bp 오른 3.38%를 나타냈다. 지난주 초 10년물 수익률은 3.23%를 기록, 주요 지지선인 3.30% 아래로 밀렸다. 영국 및 독일의 10년물 국채수익률은 각각 3.44%, 3.2%를 기록했다. 버냉키 의장은 경제가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인플레이션 제어를 위해 통화긴축, 즉 출구전략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예상보다 빨리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되면서 국채 수익률을 끌어올린 것. 투자자들은 버냉키의 발언을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으로 해석, 향후 금리 인상에 배팅하며 국채를 매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호주 중앙은행이 주요20개국 중 처음으로 금리 인상에 나선 것도 기대감을 부추겼다. 금값 상승과 달러화의 약세도 수익률 상승에 힘을 보탰다. 지난 8일 달러화 지수는 14개월 만에 최저로 추락했고 금 가격은 사상 최고인 온스당 1061달러까지 치솟았다. 예상을 뛰어넘는 기업들 실적에 힘입어 뉴욕 증시도 이번 주 랠리를 지속했다. 전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78.07포인트(0.80%) 오른 9,864.94에 장을 마쳐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내년~내후년 유럽 증시 투자하면 돈 번다”
“주가가 저평가돼 있고 기업 수익성도 개선될 전망이며 저금리를 비롯한 정부의 통화정책도 우호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주가가 앞으로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투자자들이 믿고 있으며, 특히 유럽 증시가 앞으로 12∼24개월간 주가 상승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12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영국과 유럽의 주식이 앞으로 18개월간 20∼25%의 수익률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 주식이 지난 3월 저점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긴 했지만,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는 것이다. 유럽증시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16배로 3월 7배보다 올랐지만, 1990년대 초 약 20배였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다. 주가순자산비율(PBR)로 봐도 장기평균가격보다 약 15%가량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배당수익도 국채수익률과 비교할 때 여전히 매력적인 수준이다. 기업들의 실적도 2.4분기에 하락세를 마감하고 3분기에는 6%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됐다. HSBC는 내년 기업 실적이 미국은 23% 늘어나는 반면 유럽은 25%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자들은 이미 유럽에 대한 투자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지난 4주간 일본과 미국 펀드의 자금은 순유출을 기록했지만, 유럽은 21억 달러의 순유입을 보였다.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 지역의 회복세도 주목할 만하지만, 이미 호주가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에서 보듯 금리 인상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럽은 아시아나 미국보다 회복의 속도가 느릴 것으로 보여 주식투자에 대한 금리 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란 분석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