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한인 주요단체들 재정회계 비리논란

이 뉴스를 공유하기
















남가주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한인 커뮤니티 주요단체들의 재정비리 의혹이 끝내 도마 위에 올랐다.

LA한인회를 비롯해 LA 상공회의소 축제재단 그리고 의류협회까지 돈 문제가 불거져 나오면서 회원들간 패거리 싸움을 벌어져 비판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것이 오늘의 실상이다.

과연 왜 이 같은 우매한 상황이 잊을만하면 반복되면서 재연출되고 있는 것일까?

결국 적게는 수만 달러에서 많게는 1백만 달러를 뛰어넘는 연간예산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회장단 등 임원진들이 알게 모르게 짭짤한 이권을 취하고 있으며 일부 단체의 회장은 적립된 재정을 개인적으로 유용하거나 횡령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 단체들마다 ‘정밀회계감사가 필요하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을 비단 단체뿐 아니라 교회는 더욱 더 심각하고 심지어는 체육 산하단체까지 돈 문제로 사분오열되는 등 비영리단체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빗고 있다.

흔들리는 남가주  한인단체들의 재정의혹, 그 진실은 무엇인지  또한 해결과제는 무엇인지 짚어본다.

박상균<취재부 기자>


남가주 한인 커뮤니티 대표단체라 할 수 있는 LA한인회가 해괴망측한 헤게모니 싸움에 빠져들어 스칼렛 엄 회장과 박요한 회장 체제라는 2개 단체로 쪼개졌다.

이를 놓고 오는 2012년 재외동포 참정권 부여를 앞두고 벌어진 정치적 대리인 싸움으로 보는 시각, 노인복지회관 등을 둘러싼 주요이권 싸움, 그리고 연간 40만 달러에 가까운 세수(?)를 벌어들이는 짭짤한 수입재정 지출 문제를 놓고 한데 어우러진 한바탕 해프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뿐만 아니다. 오랜기간 장기집권(?)을 펼쳐온 고 계무림 이사장 체제가 붕괴되기 전만해도 LA 한인축제재단 역시 갖가지 재정의혹 속에 휩싸이며 이사진들간의 치열한 격론과 내분이 이어지며 법정소송까지 갈 정도로 문제가 심각했다. 


한인 커뮤니티 단체들의 부끄러운 자화상

이처럼 주요 단체 내분의 이면에는 단골 레퍼토리로 등장하는 ‘2중 장부의혹’ 등이 어김없이 불거졌고, 법정소송을 불사하는 이사진간 ‘편가르기’가 눈꼴사나웠었다.

특히 축제재단의 경우 주류기업들의 광고 스폰서 계약 등 ‘3박 4일간의 최대 가을잔치’에 걷어들이는 수입액만 1백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알짜배기 행사를 유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 내부 경영체계의 단속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던 것이 사실이다. 신임 배무한 회장의 출범을 계기로 전면 재정비에 나섰지만 여전히 돈 문제가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일부 이사들은 재단의 전면적인 재정 감사가 필요하든 여론이 비등하다.

또한 한인 경제계를 대표하고 있는 LA한인상공회의소에 대한 재정 의혹은 회원들 간 반목으로 이어지면서 일부 회원들은 연 75만 8천 달러에 이르는 재정을 칼자루를 쥔 회장단이 임의로 유용 내지는 편법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으로 번지면서 전면적인 재정 감사가 요구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 비영리단체법 위반문제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제32대 전 스테판 하 회장체제 당시 심각한 재정붕괴가 외부로 노출되는 등 이미 투명하지 못했던 재정관리 체계가 단체의 명예를 크게 실추시킨 바 있다.

결국 LA한인상의회원들은 부족한 재정적자를 메꾸기 위해 적게는 1천달러에서 많게는 3천달러씩 각출했지만 이 문제도 회원들끼리 의견이 분분해 집행하지 않고 전임 회장단이 쥐고 있어 비난 여론이 팽팽하다.

약 80만 달러에  달하는 예산이 집행되는 대표 커뮤니티  단체이니만큼, 주류사회뿐 아니라 한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곱지 않은 시선에 대해 한번쯤 곱씹어 봐야 할 시점이다.


한인단체들 투명한 회계재정 확립 “시급”

이런 상황은  의류협회도 예외가 아니다. 의류협회는  수년간 재정비리 의혹이 제기 되면서  수백만 달러의 예산 집행에 대해  회원들 사이에 절대적인 감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현재까지 의혹이 불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한인 커뮤니티 단체들의 최대 과제는 실질적 감시기능이 강화된 전문 외부인 회계제도의 도입을 서둘러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현직 회장단이 내부 사무국 직원만을 장악할 경우 언제든지 재정 회계비리를 저지를 수 있다는 폐단을 사전 방지하자는 최상책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과거의 관례처럼 단지 비용 절감차원에서 단체내부로 회계사를 이사로 영입하는 등 ‘돌려막기’식으로 운영하는 것은 또 다른 악순환을 반복하는 일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주먹구구식 회계 방식의 차단이 요구되고 있다.


비영리 봉사단체의 현주소

결론적으로  현재 남가주 한인 주요단체들은 주먹구구식  회계장부를 두고 사전지출과 사후승인이 마음대로 난무하는 기이한(?) 운영체계를 지녔다는 것이 전현직 임원진들의 솔직한 토로다.

또한 대표단체들의 산하기관이라든지 중소단체, 크고 작은 위원회들조차도 불투명한 회계운영 체계를  상호 묵인하며 명예실추 가능성을 키워나가고  있다.

커뮤니티를  위한 비영리 봉사단체라는 타이틀. 그  이름에 걸맞는 위상을 되찾기 위해서라도 한인 대표단체들이 서둘러 외부감사를 도입한 재정공개를 정례화하는 모범적 길을 걸어야 하겠다는 것이 한인커뮤니티의 여론이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