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논쟁] 경기회복 둔화에 뿔난 미국인

이 뉴스를 공유하기














올해 미국의 회복세가 둔화되면서 미국인들의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전문매체 CNBC는 지난달 10~13일 사흘 동안 미국 전역의 8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미 경제 서베이 결과, 미국 국민들의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다시 강화됐다고 밝혔다.
먼저 현재의 경제상황을 묻는 질문에는 8%만이 ‘아주 훌륭하다’거나 ‘좋다’고 응답한 반면, ‘그저 그렇다’와 ‘나쁘다’는 응답이 각각 30%와 62%에 달했다.
특히 현재 경제상황이 ‘나쁘다’는 응답은 리세션이 진행 중이던 2008년 12월 70%에서, 경기가 회복세로 돌아선 2009년 12월 60%로 떨어졌지만, 올해 경기회복세가 둔화되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내년에 경기가 좋아지리라는 응답도 37%에 그친 반면, ‘변화가 없다’거나 ‘더 악화된다’는 응답이 61%에 달했다. 내년에 경기가 좋아지리라는 응답은 지난 2008년 12월에는 39%에서 작년 12월에는 43%로 증가했지만, 이번 조사에서 다시 하락했다.
향후 12개월 동안 집값 전망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응답이 60%, ‘더 떨어질 것’이란 답변이 21%를 각각 기록했다. 두 응답 비율 모두 작년 12월에 비해 1% 포인트씩 늘었다.
다만, 향후 12개월 동안 임금 전망과 관련해, 임금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이전보다 늘어난 66%를 기록했다. 앞서 작년 12월 조사 때는 61%의 응답자가 임금 상승을 기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황지환 취재부기자>



주간경기선행지수가 지난 10월 15일 기준 6주래 최저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지수의 연간 성장률은 18주래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단체인 경제순환연구소(ECRI)는 지난 22일 미국의 지난주 주간경기선행지수가 이전 주의 122.2에서 122.1로 떨어지면서 121.9를 기록했던 9월3일 이래 최저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 지수의 연성장률은 마이너스 6.8%로 이전주의 마이너스 0.7%에서 다소 개선되며 마이너스 6.1%였던 6월11일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간경기선행지수와 성장률은 종종 반대 반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4주 이동평균에서 성장률을 산출하기 때문이라고 ECRI는 설명했다.
이렇다보니 대규모 달러 공급이 임박했다는 관측은 지난 20일 연준의 지역별 경기동향 종합 보고서인 베이지북 공개로 더 힘을 얻고 있다. 베이지북은 “완만한 속도이기는 하지만 전국적으로 경제 활동이 강화되고 있다”고 미국 경기를 진단했다.
‘경기 회복세가 완만하다’는 판단은 연준의 지난달 경기 진단과 별로 다르지 않은 수준으로, 연준이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로 이어져 이날 미국 주식과 채권가격은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지난달 15일 “모든 여건이 변하지 않는다면 추가 조처가 있을 것”이라고 밝힌 때문이다. 연준은 특히 “많은 기업이 느린 경기 회복을 이유로 정규직 고용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 6월부터 9.6%로 고정된 실업률이 큰 고민인 연준이 나서지 않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주간 경기선행지수 최저






문제는 시점과 규모다. 세계 증시는 2008년 금융위기 발생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1조7250억달러(약 1947조원)라는 천문학적 돈을 공급(‘양적 완화 1’)한 연준이 다시 나설 시기라고 판단하고 이미 상승장으로 반응하고 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다음달 3~4일 회의에서 ‘양적 완화 2’를 꺼내들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규모에 대해서는 5000억 달러~1조 달러까지 여러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경기 재하강 우려를 일소하려면 ‘양적 완화 1’에 필적할 카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파이낸셜 타임스>는 지난달 21일 연준이 한 번에 내놓을 수 있는 대책의 규모는 ‘양적 완화 1’에 크게 못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신문은 규모와 시기를 못 박지 않고 조건을 달아 단계적으로 달러를 풀겠다는 식이 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에서는 연준이 채권을 사들여 돈을 푸는 방식을 만병통치약으로 여기는 분위기를 경계하고 나섰다.
조지프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는 <블룸버그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주정부에 돈을 주면 고용을 유지하고 피고용자들은 돈을 소비할 수 있다”며, 연준의 통화정책 대신 행정부의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달러의 홍수가 경기를 띄우는 대신 투자 이익을 좇아 신흥국으로 향하고 미국 안팎에서 2008년 금융위기 원인인 자산 거품을 키울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심지어 다른 11개 연방준비은행과 함께 연준을 구성하는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의 제프리 래커 총재도 ‘양적 완화 2’가 경제 성장에 긴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입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대 미국채 보유국 중국

한편 미국의 주식과 채권을 비롯한 금융자산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지난 8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은 미 국채 217억 달러 규모를 매입하며 세계 최대 미 국채 보유국 자리를 유지했다.
재무부가 발표한 자본수지(TIC) 보고서에 따르면, 주식과 채권 등 장기 자산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매입 규모는 지난 8월 1287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에 기록한 612억 달러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주식 스왑 등 단기 자산에 대한 해외 수요는 633억 달러에서 389억 달러로 감소했다. 유럽의 재정위기 우려감과 미국의 경기 회복세 기대감이 맞물리며 해외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매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크리스 럽키 도쿄미쓰비시뱅크 뉴욕지점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돈은 계속해서 미국으로 흘러 들어오고 있다”며 “전세계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미국은 안전한 피난처”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미국 국채의 최대 보유국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은 지난 8월 217억 달러 어치의 미 국채를 순매수해 총 보유 규모는 8684억 달러에 달하게 됐다.
일본의 미 국채 순매수는 156억 달러를 기록해 총 보유 규모는 8366억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홍콩의 미 국채 보유 규모는 1352억 달러에서 1378억 달러로 26억 달러 늘었다. 이들 국가를 포함, 미 국채에 대한 해외 순매수는 117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7월 기록한 300억 달러 순매수에 비해 4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패니메이, 프레디맥 등 미국 기관채에 대한 해외 수요는 7월 173억 달러에서 8월에는 46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식 순매수는 173억 달러에서 46억 달러로 다소 줄었다. 회사채 순매수도 139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로 감소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