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총선에서 실시되는 비례대표제 의원에 과연 미주 지역에서 몇 명이나 배출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비례대표 제도가 과연 예정대로 실시될지도 의문이다.
비례대표제는 4월 총선에서 유권자들이 선호하는 정당에 투표해 그 정당에서 추천한 비례대표 의원들이 순위에 따라 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정치 상항이 매우 유동적이라 비례대표제가 어떤 방향으로 변할지 예측이 어렵다.
예를 들면 현재의 여당인 한나라당이 그대로 존속이 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재외동포 지역의 비례대표제를 개선해 국내처럼 인구 25만명 당 1명의 국회의원을 선정하는 것처럼 해외지역구를 설정하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투표권을 행사하는 지역의 민의를 행사하는 대의원(국회의원)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사상 첫 재외국민선거를 목전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곳 동포사회가 관심을 쏟고 있는 LA지역 비례대표 공천가능성과 현 비례대표제의 문제점을 짚어봤다.
<성 진 취재부 기자>
내년 4월 총선에서 과연 미주지역에 비례대표가 몇 명 나올까? 해외 최대 동포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LA지역에서 과연 몇 명의 비례대표 의원이 탄생할까? 그리고 전 세계 해외동포사회에 몇 명이나 나올 지도 관심사이다. 긍정적인 면에서 생각할 때 LA지역에 적어도 4명(여, 야 각 2명)의 비례대표 의원이 배정되지 않을까 보여진다. 하지만 부정적인 시각에서 볼 때는 한 명도 나오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긍정적인 면이라는 점은 지난동안 여야 정치인들이 LA를 드나들면서 “적어도 4명은 될 것이다”라고 공언한 점이다. 물론 이 같은 언중에는 자신들의 정당에 대한 지지를 요구하는 면이 강했었다.
월드코리아 뉴스와 인터뷰한 김창준 전 미 하원의원은 내년 총선에서 재외동포로 국회 진출할 사람이 5, 6명은 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김재수 전 LA총영사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아예 한 명도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 전 총영사는 “LA지역에 비례대표제 배정은 우선 유권자 등록 결과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 “유권자등록이 활발하면 비례대표 선정을 예상하지만, 등록이 저조한 결과가 되면 아예 비례대표를 고려 안할지도 모른다”고 내다봤다. 그는 “무엇보다도 현행 유권자등록 제도 자체가 등록을 불편하게 하고 있다”면서 “이 문제 해결을 위해 헌법소원도 제기한 상태지만 아직까지 계류 상태이다”라고 밝혔다.
현재의 18대 국회는 지역구 245석과 전국구 54석으로 이뤄져 있다. 전국구가 비례대표다. 설사 각 당에서 비례대표로 LA지역 후보자를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을 하더라도 당선권에 선정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지난 18대 총선의 예를 보면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 각각 50명의 비례대표 후보자를 공천했는데, 한나라당의 경우 선거 결과 당선권이 22번까지였다. 당시 전체 비례대표 의원수는 54석으로 한나라당이 22명, 통합민주당이 15명, 친박연대 8명, 자유선진당이 4명, 민주노동당 3명, 창조한국당 2명 등이었다.
이처럼 한나라당의 비례대표가 되려면 순위가 18대 총선에서는 22번까지로 되어 있었지만, 내년 4월 총선에 현재의 한나라당 상태로 볼 때 22번까지는 도저히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요즈음 한나라당 형편은 한마디로 “깨져가는 당”이다. 아무도 한나라당이 어디로 갈지 시원한 대답을 내놓는 정치인이 없다. 두 조각이 날지, 아니면 해체하여 새로운 정당으로 창당할지, 아니면 다른 당과 합당을 할지, 그도 아니면 이름만 바꾸어 그대로 갈지 가늠할 수 없는 정당이 되어버렸다. 이 점은 야당인 민주당도 더하면 더했지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여야 정당이 LA지역에 비례대표를 공천하면서 당선권 안에 배정하는 것이 관건인데 공천구조 역학으로 볼 때 유권자등록이 저조할 경우는 LA지역 비례대표 공천은 가망이 없을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오히려 일본 지역에서 비례대표를 공천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진행되는 재외국민 유권자등록에서 LA를 포함한 미주 지역은 저조한 반면 일본 지역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공천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