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탈북자 인권투쟁을 주도적으로 펼치고 있는 박선영 의원이 중국대사관 앞에서 단식투쟁을 벌이고 있다. 또한 미국 의회에서도 탈북자 북송 관련 청문회가 시작된다. 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인권소위원회는 오는 1일 중국의 탈북자 북송과 관련해 긴급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
미의회 탈북자 청문회 미국의회에서도 탈북자 청문회가 시작된다. 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인권소위원회는 오는 1일 중국의 탈북자 북송과 관련해 긴급청문회를 개최한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8일 전했다.
또 중국에서 체포돼 북한으로 송환된 적이 있는 탈북자 한송화 씨와 조진혜 씨가 청문회에 참석해 북송 후 겪은 박해에 대해 증언할 예정이다. 한편 탈북자 지원 활동을 벌이는 미국의 한 인권단체는 중국 정부에 억류돼 강제송환에 직면한 탈북자가 알려진 것(29∼33명)보다 많은 40여명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의 외교부가 최근 중국의 탈북자 북송 문제를 공개적으로 문제삼은 데 이어, 22일엔 대통령까지 나섰다.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4주년 특별 기자회견에서 중국 내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 중국 정부가 “국제규범에 의해 처리하는 게 옳다”고 말했다. 탈북자 문제의 처리 기준을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중국 정부에 제안한 것이다. |
다각적 송환반대 투쟁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 한국의 외교부는 물론이고 대통령까지 나서서 중국을 상대로 공개적으로 강경 발언을 이어가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 이른바 ‘조용한 외교’를 강조하며 중국과의 양자 협상을 통해 탈북자 문제를 해결해온 한국 정부의 태도와 상반된다. 하지만 중국도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한국국회는 지난 27일 본회의를 열고 북한이탈주민(탈북자) 강제 북송중단 촉구 결의안을 의결했다. 결의안은 재석의원 156명 가운데 찬성 154명, 기권 2명으로 가결됐다. 결의안은 먼저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을 규탄하고 강제 북송중단을 위한 중국 정부의 변화, 국제사회의 노력, 국회 차원의 협력 등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앞서 한국 국회는 24일 전체회의를 열어 탈북자 강제 북송 중단을 촉구 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날 회의장에서 야당인 자유선진당의 박선영 의원은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을 눈물로 호소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을 촉구하며 4일째 단식 중인 박선영 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결의안을 동료 의원들에게 설명하는 내내 눈물을 흘리며 말을 제대로 잇지 못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