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기 폭파범 김현희씨는 노무현 집권 당시 자신에게 해외 이민을 강요한 국정원 직원이 있었다고 최근 폭로했다. 국정원의 조직 특성상 윗선의 지시 없이 실무진 혼자 김현희에게 이민을 종용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당시 국정원과 청와대에 있던 사람들은 모르는 일이라고 잡아떼고 있다. 노무현 정권 당시 김현희씨는 이민을 가라는 국정원의 지시를 거부한 대가는 참으로 참혹하기까지 했다. 당시 1급 보안사항이었던 그녀의 거주지가 방송에 노출되면서 김현희씨는 아직도 도피생활을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KAL폭파사건과 관련, 노무현 정부 당시의 국정원 위선 개입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파문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선데이저널>이 김 씨의 진술과 주장을 토대로 사건의 진상 의혹과 내막을 전격 취재해 보았다. 대한항공 KAL 858편 폭파사건은 지난 1987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한 KAL 858기가 인도양 상공에서 북한공작원에 의하여 공중 폭파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북한은 2008년 9월까지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 올랐다. 국정원, 조직적으로 사건 조작 시도 당시 “김현희 가짜 만들기” 여론 몰이가 시작되던 노무현 참여정부 당시, 공직 사회기강 업무를 담당하는 민정수석은 현재 대선에 나서겠다는 통합민주당고문인 문재인 의원이고, 당시 국정원장은 고영구 원장이었다. 당시 간첩단 사건 조사를 파고들었던 김승규 당시 국정원장은 1년 반도 안 돼 ‘간첩단 사건’을 회석시키기 위해 김만복 해외담당 제1차장으로 바뀌고, 문재인 의원은 민정수석으로 다시 돌아온 때이다. 하지만, 김승규 당시 국정원장은 “모르는 일”이라고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
당시 김승규 전 국정원장은 “김현희에 대해서는 내가 잘 몰라요. 김현희는 우리가 갔을 때는 전혀 거기에 대한 보고도 없었고, 대상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노무현 정권 때 민정수석을 2번이나 지낸 문재인 의원도 “참여정부 당시 김현희 씨를 외국으로 보내려 했다는 얘기는 지금 이 자리에서 처음 듣습니다.”라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알고도 모른 척 시치미를 떼는 것이다. 국정원 측은 자신들이 보호하던 중요인사가 방송사의 취재로 소재지가 드러나 아직도 도피생활을 하는데, 당시 국정원 책임자 등 관계자들은 침묵하고 있다. |
언론이 “김현희가짜”로 선동 KAL기 폭파사건에 대해 대한민국의 사법부가 3심을 통하여, 미국 등 국제사회가 별도 조사로 북한의 소행임을 만천하에 발표한 것이다. 그래서 미국은 북한을 “테러국 지정”을 한 것이다. 무엇보다 김정일 정권까지 “밑에 있는 자들이 벌인…”이라며 사실상 인정한 KAL기 폭파사건을 노무현 정권은 이를 안기부(전 국정원)가 조작한 것으로 몰아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