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외환은행 윤용로 행장(당시 하나금융 부회장)은 지주회사 하나금융과 LPGA 크리스티 커와의 후원계약식에 참석했다. 당시 윤 행장은‘금감원 인가신청’ 등 방미목적을 밝히는 과정에서 외환(KEB) 브랜드의 재상륙 가능성을 이미 내비친 바 있다.
|
|
|
<선데이저널>이 지난해 12월 15일자 제813호‘하나금융 미주진출설의 실체’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예견했던대로‘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이 올해 계열사로 편입한 외환은행(KEB) 브랜드를 통해 미주 지역 재상륙에 성공할 가능성이 부쩍 높아졌다.
사실 하나금융그룹을 비롯한 한국계 대형은행들의 미주진출 청사진 계획은 무려 200만명 이상을 넘어선 미주 한인들의 경제력 등을 감안했을 때 충분히 예견된 수순으로‘포스트 한미 FTA 시대’를 겨냥한 선점의 의미가 담겨져 있다.
이를 반영하듯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전격 용퇴한 김승유 전 회장 재임시절부터 지속적으로 미주진출을 노크한 바 있다. 이미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만 해도 구 아이비은행(폐쇄), 커먼웰스은행, 그리고 비교적 최근에 딜이 깨진 새한은행과의 인수전 등 3건이다.
또한 잘 알려진대로 우리금융(회장 이팔성)의 경우 지난 수년에 걸쳐 꾸준히 한미은행 인수전에 적잖이 공을 들이며 여전히 진행형에 있는 케이스다.
우리금융 측은 한때 한미은행의 51% 지분확보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우여곡절끝 계약해지를 겪었으나, 이면을 봤을 때에 자회사 우리투자증권이 한미의 신규 증자과정에 지분투자해 함으로써 세칭‘발을 담그는’등 호시탐탐 인수합병(M&A) 재가동을 노리고 있는 상태다.
한편 나스닥 상장 구 나라은행과 구 중앙은행의 합병으로 탄생한 ‘BBCN 은행(행장 앨빈 강)’의 선전은 찬반양론이 거세긴 하나 실적만을 놓고 봤을 때에는 성공적 평가를 받으면서, 한인 은행가의 새로운 재편 움직임에 불씨를 당기고 있다. 한마디로 합종연횡식 추가 빅딜과 합병 시나리오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BBCN 탄생 이전 한인 커뮤니티 은행 수위자리를 앞다퉜던 윌셔은행(행장 유재환)과 한미은행(행장 유재승)의 경우 발등에 불이 떨어진 모습이다. 로컬 금융가 일각에서는 윌셔-한미간 합병 가능성을 제기하는가 하면, 한국계 은행과의 결합, 아니면 윌셔의 소형은행 흡수 임박설을 내놓고 있다. 이 모든 시나리오는 ‘BBCN 상대마 만들기’ 전략이라는 공통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편집자주>
|
▲외환은행(KEB)이 해외법인체로 소유하고 있는 미주법인, 뉴욕법인, LA법인과 함께 애틀랜타, 시애틀 지점망들이 외환은행의 향후 미주진출 교두보로서 지점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08년 당시 외환은행 LA 현지법인의 시애틀 지점망 오픈식. |
|
|
지난해 연말부터 한국 증권가와 로컬 금융가에 풍문이 파다하게 퍼지며 결국 새해벽두인 1월 9일 금감원 조회공시 요구를 통해 그 실체가 노출됐던 ‘하나금융그룹의 미주진출’ 가능성. 사실 하나금융그룹은 그 어느 한국계 은행보다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및 미국내 은행산업 진출’을 이유로 호시탐탐 미주 진출을 공언해 왔던 터라 그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높아 보였다.
아울러 오랜기간 하나금융그룹의 숙원사업 가운데 하나였던 외환은행 인수전이 거의 마무리 단계인 상태에서 차기 행장으로 내정됐던 윤용로 부회장(LA 방문 당시)이 뉴욕을 거쳐 LA를 방문하자 그 소문은 날개를 단 듯이 로컬 금융가에 퍼져 나갔다.
물론 윤 행장의 실제 LA 방문 목적은 지주회사인 하나금융과 LPGA 크리스티 커 선수와의 후원계약 조인식 참석차였다. 그러나 윤 행장의 LA행은 “사실상 하나금융의 미주진출이 임박했으며 발표만이 남았다”라는 사실을 우회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요식절차였을 뿐이었다.
이런 가운데 하나금융그룹의 수장인 김승유 전 회장(3월 23일 퇴임)이 마침내 지난 2월 재임 막바지 직접 LA를 방문해 깜짝 발표에 나섰다. 풍문으로 나돌던 한인 커뮤티티 은행 인수대상이 새한은행(행장 김동일)으로 드러난 것이다. 따라서 하나금융의 최고 수장까지 나서 ‘새한뱅콥(새한은행의 지주회사)’ 지분 인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미주 진출 시나리오에 종지부를 찍는 듯 했다.
그런데 지난 4월 10일 자로 하나금융 측은 자진공시를 통해 “지난 2월 11일 자로 맺은 새한뱅콥과의 지분인수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합의하에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혀 충격을 전했던 것이다.
새한과의 딜이 깨진 내막은?
그렇다면 9부 능선을 거의 넘어섰던 하나금융과 새한 인수전 무산의 실제 내막은 무엇이었을까?
표면만을 놓고 보면 “양측은 양해각서 체결당시 1주당 인수가격을 27센트에 합의했지만 새한 측이 30-35센트로 수정안을 내놓으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이는 지난 2010년 1분기 당시 새한은행 측이 은행존폐 사활을 걸고 진행했던 증자가격이 30센트인 것을 감안했을 때 대다수 주주를 포함한 새한의 대주주들이 본전 생각을 했던 것일까? 아직도 의문으로 남는 대목이다.
왜냐하면 한국계 하나금융으로의 피인수는 장외시장(OTCBB)에서 거래 중인 새한뱅콥(SAEB)의 주가가 한때 65센트까지 치솟는 강세를 이끌어내는 등 호재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새한뱅콥과 새한은행의 고위 이사진과 대주주들이 소위 ‘판을 엎어버리는’ 악수를 둔 이유는 여전히 미궁 속에 빠져들어 있다.
아무튼 당초 약속에서 최소 10%-최대 30%까지 상회한 새한 측의 계약변경에 대해 하나금융 측은 단칼에 접어버리는 초강공책을 선택했던 것이다.
더욱이 새한은행 인수를 통한 미주 진출을 강력히 추진했던 하나금융 김승유 전 회장마저 퇴진하게 되면서 그 추진동력에 힘이 빠졌고, 하나금융 또한 외환은행의 자회사 편입으로 인한 통합작업이 오히려 급선무라 ‘소규모(?) 딜’이라 할 수 있는 새한과의 실갱이를 접어버렸다는 것이 정설이다.
예견된 외환은행(KEB) 브랜드의 상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