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차드 더빈(민주, 일리노이) 상원의원은 지난주 남미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구체적인 사항은 협상이 진행 중이며 영주권 취득 과정은 10년 정도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인 더빈 의원은 지난달 28일 공개된 연방상원 합의안을 이끈 상원의원 8명 중 한 명으로 불체 청소년에게 영주권과 시민권 취득 기회를 주는 ‘드림법안(DREAM Act)’를 제안한 대표적 이민 개혁론자다. 김 현(취재부기자) 연방상원의 이민개혁안에 신원조회를 통과하고 세금과 벌금을 지불한 불체자는 임시 거주신분을 부여받는다. 지난주 발표된 이 계획에 따르면 불법체류자들은 임시 거주신분이 부여되며 국경보안 등의 요구조건이 충족된 후 영주권이 발급된다. 상원의 이 안은 현재 합법적 영주권 신청자가 우선 처리되며 이후 불법체류자에 대해 영주권이 발급된다. 대기 기간은 신청자들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영주권을 받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불체자 시민권 취득 최소15년 걸려 도리스 메이스너 이민정책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밀려 있는 비자를 처리하는데 수 년이 걸릴 것이지만 얼마나 걸릴지는 우리도 자세히 모른다”고 말했다. 8월 의회 휴회 전에 이민개혁안 처리
한편 불법체류자에게 미 시민권을 허용하는 포괄이민개혁안이 연방상원에서 시작돼 올 8월 전에 성사시키는 추진안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재선된 후 이민개혁을 올해 성사시키겠다고 공언했던 오바마 대통령은 3월 중 연방상원에서 이민개혁법안을 상정하고 8월 휴회에 들어가기 전에 의회에서 통과시킨다는 입장인 것으로 미 주류언론들은 보도했다. 또한 장기 대기 중인 이민신청자들의 적체 현상을 줄이는 한편 과학 등 첨단분야의 합법이민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는 것으로 보도됐다. 불법체류자에 대해 임시 법적 거주자격을 준 후 영주권과 결국은 시민권을 취득토록 하자는 이민개혁에 대해 미국인들이 찬성하고 있으며 아시아계 이민자들도 이를 환영하고 있다고 허핑턴포스트지가 보도했다. 이 신문은 아시아계 미국인 9천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65%가 찬성했고 14%가 반대의 의견을 나타냈다. 아시아계는 전체불체자들의 14%를 차지한다. 유예기간 놓고 민주, 공화 충돌할 듯 미국은 지난 2001년 9.11 뉴욕 테러사건 이후 반이민정서가 지배적인 분위기였으나 오바마 대통령이 이민개혁을 들고 나오면서 다시 친이민 정서로 돌아서고 있다. |
달라진 이민개혁안에 공화당과 심각한 마찰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