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존 케리 신임 국무장관이 북한의 정치범수용소(gulag) 문제를 거듭 지적했으며 존 브레넌 중앙정보국장 지명자도 북한 주민의 민생고를 거론했다고 RFA방송이 보도했다. 이같은 유엔 식량계획의 발표에 대해 북한 현지 소식통들은 강한 거부반응을 보였다고 RFA방송이 보도했다. 8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중앙검찰소 ‘마약소탕그루빠’의 검열소식을 전하던 자리에서 “유엔이 우리인민들과 세계를 기만하고 있다”며 “올해들어 우리는 어떠한 식량 배급도 받아본 적이 없다”고 반발했다. 소식통은 함경북도에서 새해를 맞으며 주민들에게 식량을 공급한 지역은 회령시 뿐이라며 회령시 주민들에 대한 배급도 읍 주민들에 한해서만 한 달분으로 통강냉이20kg씩 주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함경북도 회령시는 사망한 김정일의 생모 김정숙의 고향으로 김정일은 생전에 “회령시 주민들은 평양시와 꼭 같이 식량공급을 해 주어야 한다”고 수차례 지시했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소식통도 “평양시를 제외하고 특별히 식량을 공급하는 지역은 3곳으로 정해져 있다”며 “김정일의 고향이라는 양강도 삼지연군과 김정숙의 고향인 함경북도 회령시, 그리고 평안북도 향산군”이라고 지역을 밝혔다. 소식통은 군관(장교)들과 당간부, 보위부, 보안원(경찰)들과 군수품공장 노동자들에 대해서만 당국이 배급을 준다며 그들이 북한 인구의 몇 프로를 차지하겠냐고 반문했다. 그 외 무역기관 간부들과 노동자들, 석탄, 광업부문, 제철부문 노동자들이 배급을 받는데 그것은 당국에서 주는 배급이 아니고 자체수출을 통해 남은 이익금의 일부로 중국에서 사다 먹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교원이나 병원의사와 같이 식량공급이 필수인 사무원(공무원)들조차 배급이 끊긴지 오래되었다며 도대체 지난1월에 어떤 지역, 어떤 계층들에게 식량이 얼마나 공급됐다는 건지 제대로 알려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심지어 소식통들은 세계식량계획이 김정은 정권의 거짓 선전에 속아 국제사회를 향해 허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면서 극도의 불신감을 내보였다. 지난 7일 세계식량계획 나나 스커우 북한담당 대변인은 “북한 당국은 지난 1월, 주민 한 명당 하루 400g의 식량을 분배했다”고 발표했었다. 최근 중국의 한 언론은 ‘북한 신의주 1일 관광: 청바지 착용 금지”라는 제목을 붙였다. 중국의 경제전문지인 ‘21세기망’은 최근 중국인 단체관광객 틈에 끼어 신의주 1일 관광을 직접 체험한 자사 기자의 입을빌어 북한 관광에 규제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인 여행사 관계자는 출발 전 반입금지 품목을 장황하게 나열했다. 컴퓨터는 물론 휴대전화 그리고 민감한 내용의 서적, 특히 한글로 된 책은 반입이 금지됐고, 무엇보다 청바지는 북한에 입고 갈 수 없었다. 또 북한에서 ‘국가 영도자’의 동상이나 초상화 등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때 이들을 돋보이게 해야 한다는 주의사항도 빼놓지 않았다. 이 밖에 동상과 초상화 일부분만 사진에 담겨 ‘영도자’의 신체 일부가 잘려나가서는 안 된다며 이를 어길 경우 사진을 압수당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졌다. 기차를 타고 압록강을 건너 신의주에 도착한 관광객들은 ‘평안북도 혁명사적관’과 ‘백두산 세 영웅광장’, 그리고 ‘평안북도역사박물관’ 등을 차례로 둘러봤다. 중국 기자는 가는 곳마다 김일성, 김정일 동상과 모자이크 벽화 등이 보였다면서 ‘(북한)영도자의 모습은 가는 곳마다 보였다’고 비꼬았다. 또 신의주가 북한에서 경제 규모 면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답지 않게 거리가 무척 한산했고 사람도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차량 통행도 뜸했고 사거리에는 교통신호등 대신 카메라가 설치돼 있었다. 이 밖에 관광객을 위한 위락시설은 커녕 편의시설도 부족했다고 1일 체험에 나선 중국 기자는 지적했다. 신의주 시내에서 식당은 물론 가게조차 찾아보기 어려워 불편을 겪었다는 것이다. 미국 MIT대 존 박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이국적인 풍광뿐 아니라 편리한 여행 시설을 더 많이 지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북한 관광과 관련해 과도한 규제와 부족한 위락 편의시설은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얼마 전 홍콩 언론을 통해 북한의 ‘여행객 규제 완화’ 보도가 나온 뒤여서 눈길을 끌었다. 2012년 한해 미국의 대북 수출액은 미화 1천 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0% 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약 1천 20만 달러($11,932,000) 어치의 상품이 미국에서 북한으로 보내졌다고 미국 통계국(US census)이 8일 밝혔다. 이는2011년 한해 동안의 미국과 북한간 수출액 940만 달러에서 약 30% 정도 증가한 규모이다. |
지금 북한에선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