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정부 출범 뒤 인사 파행 등 각종 악재를 겪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입장에선 이번 재보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보통 정부 출범 직후 열리는 재보선은 ‘허니문 재보선’ 성격이 강하지만, 국정 난맥상으로 허니문 자체가 없었던 박 대통령으로선 첫 선거에서 어떤 성적표를 받느냐에 따라 정권 초기의 성패가 걸려 있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선거에서 여당의 성적표가 나쁠 경우 레임덕 현상까지 생길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선 패배 뒤 정치적 칩거에 들어갔던 문재인 의원에겐 이번 선거가 ‘정치 복귀전’이다. 당장 그에게 부여된 숙제는 부산 지원이다. 부산 영도의 민주통합당 지지율을 얼마나 끌어 올릴지에 따라 그의 정치적 재기는 성공할 수도, 실패할 수도 있다. ‘정치 신인’으로 돌아온 안철수 전 교수에게 이번 재보선은 사실상 정치 인생의 시작이나 다름없다. 이미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어 그의 여의도 입성이 유력하지만, 스타트를 어떻게 끊느냐에 따라 그가 야권의 ‘차기 맹주’가 될 수도, ‘제2의 문국현’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단 3석을 놓고 겨루는 ‘미니 재보선’이지만, 여야 모두에게 정치적 의미가 결코 가볍지 않은 선거다. 4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 유력 인사들의 복잡한 셈법을 들여다봤다. <리차드 윤 취재부 기자>
명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취임 한 달 만에 고위 공직자 후보 7명이 줄줄이 낙마한 ‘참사’ 수준의 인사 파행, 정부조직 개편을 둘러싼 국회와의 불통, 여당을 거수기로 전락시킨 일방통행 식 국정 운영으로 박근혜 정부에 대한 비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 역시 역대 최악으로, 지난 22일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44%였다. 집권 초인 3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60%, 이명박 전 대통령이 52%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심각한 수준이다. 급기야 27일엔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42%까지 주저앉은 여론조사 결과(리얼미터)가 발표되기도 했다. ‘최초의 과반 득표 대통령’이란 3개월 전의 영예와 달리 ‘집권 초 가장 인기 없는 대통령’으로 전락한 것이다. 민주당은 이를 계기로 분위기를 반전시켜 보겠다는 생각이다. 민병두 당 전략홍보본부장은 이날 오전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재보선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될 즈음 박근혜 정부 출범 50일이 된다”며 “출범 50일에 대해 대대적으로 평가하면서 점차 선거 프레임이 박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경종, 경고로 이어가는 식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 공천심사위원장인 김동철 비상대책위원 역시 “4.24 재보선은 박근혜 정권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선거, 응징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공중분해 위기 그러나 민주당의 상황은 줄줄이 패배한 지난해 총·대선 당시와 판박이다. 심판론의 ‘조건’은 있으되, 여전히 ‘동력’이 없는 것이다. 현재로선 민주당이 단 한 석도 얻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서울 노원병엔 안철수 전 교수에게 후보직을 양보하면서 공천조차 하지 못했다. 나머지 두 곳엔 후보를 낼 계획이지만, 부산 영도엔 김무성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라는 거물급 인사가 출마하는데다 충남 부여·청양은 전통적인 새누리당 강세 지역이라 승리를 기대하기 힘들다.
민주당 내에선 벌써부터 당 분열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틈만 나면 ‘60년 전통의 야당’을 강조하지만, 분화와 통합을 거듭해온 민주당의 역사를 되돌아 볼 때 ‘딴 살림’의 가능성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른바 ‘안철수 신당’에 대한 공포다. 안 전 교수가 여의도 입성 후 곧바로 신당을 창당하지 않더라도, 민주당과의 ‘야권 지지층 쟁탈전’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대선 패배 후 계파 갈등이 아물지 않은 민주당으로선 더욱 속내가 복잡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4.24 재보선을 기점으로 ‘여-야’의 대치 국면에 ‘야-야’ 경쟁이 겹치는 복합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문제는 민주당이 안 전 교수를 야권 재편의 큰 틀에서 통제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지난 총선 패배 후 1년 동안 ‘당의 혁신’을 복창해 왔지만 혁신은커녕 지리멸렬한 계파 싸움만 반복되는 상황에서, 결국 안철수 신당의 성패에 따라 민주당의 ‘적통’ 지위가 유지될 수도, 깨질 수도 있는 것이다. 정권의 실패라는 반사이익에만 기대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연패한 민주당으로선 ‘양손 양발이 다 묶인’ 형국인데, 당의 무력감 역시 최고조를 향해 치닫고 있다. 사면초가 민주당 이런 상황에서 민주당이 집중할 곳은 이미 ‘안철수 판’이 되어버린 노원병이 아닌 부산 영도다. 정치권과 언론에선 김무성 전 원내대표의 낙승을 점치고 있지만, 민주당으로선 영도에서 이기지 못하면 ‘재보선 완패’라는 치욕스러운 성적표를 떠안게 된다.
문 의원과 대선 패배 후 숨죽여 있던 친노 세력에게도 이번 영도 재선거는 ‘정치적 재기’의 발판이 될 수 있다. 부산에서 예상외의 선전을 한다면 당내 입지를 다시 키워 재보선 이후 열리는 5.4 전당대회 판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눈에 띄는 당의 리더가 없는 민주당에서 문 의원의 리더십이 재조명될 수도 있다. 결국 선거의 당사자는 김무성-김비오 두 후보지만, 내용적으론 지난 대선에서 맞붙었던 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 후보의 ‘대리전’이 되는 양상이다. 친박계 핵심인 김무성 후보에겐 정권 경종론을 방어해야 하는 박근혜 대통령이, 김비오 후보에겐 이번 선거를 통해 재기에 성공해야 하는 문재인 의원이란 두 ‘정치 거물’이 버티고 있는 셈이다. ![]() 김무성에 줄서는 친박인사들 민주당이 지도부 선거를 앞두고 있다면, 새누리당은 재보선 직후 새 원내지도부를 선출한다. 친박계 일색인 당 지도부가 새누리당을 ‘청와대 여의도 출장소’로 전락시켰다는 비판이 속속 제기되는 상황에서, 벌써부터 원내대표 선거 쟁점으로 ‘당청관계 재정립론’이 부상하고 있다. 다가올 4.24 재보선에서 새누리당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수평적 당청관계를 요구하는 비주류의 목소리에 더 힘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 영도에서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승리한다면, ‘야인’ 생활을 마치고 돌아올 그의 ‘역할론’ 역시 주목된다. |
<집중분석> 4.24 재보선에 정치권의 이목집중 왜?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