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미국 언론들에 의해 밝혀진 미 정보기관들의 정보수집은 2개의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전화 기록과 인터넷의 개인 정보가 표면상으로는 국가정보원에서 수집했지만 누가 어떻게 개인 정보를 수집했는지에 대해 일반인들은 전혀 모르는 상태라는 점에서 의혹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국가안보국(NSA)이 테러 용의자들에 대한 신원 파악과 테러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명분으로 법원의 감청허가까지 받아 실시한 수십만명의 전화기록과 이메일을 제공한 미 최대 통신회사인 버라이존사에 고객 사생활침해권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 정보국의 개인 전화 이메일 감청 사건의 파문을 짚어 보았다. 김 현(취재부기자) 국가안보국의 전화기록 수집 외에도 프리즘(PRISM)이라는 암호로 정보기관들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등의 인터넷의 서버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워싱턴 포스트지 등 언론을 통해 밝혀졌다. 이 인터넷 기업들은 미국의 정보기관들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애플 등의 인터넷 기업들의 서버에서 개인 정보들을 수집해왔으며 이 기업들은 정부가 관련법에 따라 요청할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NSA가 중앙서버에 직접 접속하도록 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 해외정보감시법원은 통신회사 버라이즌에 고객의 통화 정보 제공을 명령하면서 해당 명령 자체도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도록 했다. ![]() NSA는 통신 감청이나 인공위성 등의 정보망을 이용해 테러 활동을 감시하는 미국 최대 안보기관이다. 미국의 해외정보감시법(FISA)은 NSA 등 정보기관들이 테러 용의자의 전화 기록과 이메일 등을 도청이나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전화 감청, 테러 방지가 목적 통신회사 버라이존에 미 국가안보국(NSA)에 전화 기록을 넘겨줄 것을 지시받았다는 비밀 서류가 영국의 더 가디언지에 의해 공개된 후 논란이 일자, 상원 정보위원장 다이안 파인스타인 의원은 2009년 이 프로그램이 실시된 이래 테러리스트의 공격을 좌절시켜왔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피자를 주문하기 위해 피자집에 전화를 걸었다면 이 프로그램에서는 전화 건 사람의 전화번호, 피자집 전화번호, 전화 건 사람과 피자집의 위치, 통화 시간 등이다. 통화 내용을 기록하지 않기 때문에 피자에 페파로니를 주문했는지도 알 수 없다는 것이 정부 관리들의 설명이다. 제임스 클래퍼 국가안보국장장은 “이 프로그램은 어느 누구의 통화 내용도 듣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획득된 정보는 통화 내용이나 통화자의 신분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NBC 방송은 프리즘이라고 불리는 정부의 비밀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한 소식통을 통해 확인했다. 이 프로그램은 정보기관들이 인기 인터넷 기업의 서버를 엿볼 수 있고 이메일과 비디오, 사진 그리고 다른 형태의 서류들을 볼 수 있도록 허용되고 있다. 정부가 자국민 이메일을 엿봐 이 프로그램에 관여된 기업들은 정보기관들이 그들의 서버에 직접 접근하지 않도록 했다며 이를 부인한다. 감청 프로그램 허락자 누구? 외국정보감시법(FISA)과 미 외국정보감시법원은 지난 1978년 제정돼 법으로 통과됐다. FISA는 원래 미국에서 수집된 전자정보에 대한 제한을 두는 것이었다. 정부가 찾으려는 것은 무엇? 테러활동과 연관이 있는 해외의 사람들과 연락을 하고 있는 인물인지를 알기 위한 조사를 위한 것이다. |
美 국가안보국(NSA) 개인전화 기록부 감청 파문 논란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