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를 포함한 전국의 아파트 렌트비 상승세가 그칠 줄을 모르고 있다. LA 한인타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파트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한인타운에 지어지는 고급 아파트의 경우 렌트비는 최소 1600 달러 이상이다. 3000달러에 육박하는 것도 있다. 하우스의 경우 2500달러정도도 구하기 힘들고 웬만하면 3000불을 훌쩍 넘는다. 한인타운 내 임대 아파트를 찾는 최씨는 깜짝 놀랐다. 5년 사이 아파트 렌트비가 절반이 올랐던 것이다. 당시 950달러를 냈었지만 이젠 1480달러를 내야하는 상황에 놓였다. 그마저도 비어있는 아파트가 별로 없어 다급한 마음에 계약을 미룰수도 없었다. 한 아파트 매니저는 “당분간 렌트비가 떨어질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요는 많고 공급이 한정돼 갈수록 집 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4분기 아파트 공실률은 4.2%며 올 1분기는 4%로 떨어졌다. 지난 2009년의 공실률은 8%에 달했다. 또, 주택값의 가파른 상승세도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또 다른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렌트비가 치솟고 있지만 LA 거주자는 렌트가 주택 구입보다 유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 부동산 통계 전문회사의 주택 구입비용과 렌트 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LA 거주자는 주택 구입보다는 렌트가 더 나았다. 애너하임과 어바인 역시 렌트가 최고인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에 따르면, 모기지 비용과 렌트비의 차이가 1160달러나 나는 볼티모어가 국내에서 렌트보다 주택을 구입하는 게 제일 유리한 곳으로 선정됐다. 이곳의 평균 월 렌트비는 1599달러인데 반해 중간가(8만 5000달러) 주택의 모기지 비용은 439달러로 집계됐다. 반대로, 뉴욕은 주택을 소유하는데 드는 비용이 렌트비를 가장 크게 넘어선 곳으로 지목됐다. 뉴욕 주택소유주의 월 평균 모기지 비용은 4581달러였지만 월 평균 렌트비는 이보다 2729달러 저렴한 1852달러였다. 부동산 시장 연구기관의 발표에서는 “렌트 인상에 대한 압박은 인구와 경제 상황에 따른 수요와 공급 불일치로 생기는 당연한 문제” 이며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 시 관계자는 “시정부가 대규모 자금을 들여 서민주택을 늘리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지만 지난 12년간 렌트는 지속적으로 치솟고 반면 시민들의 수입은 줄어들었다”며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연방정부가 정한 빈곤선(Poverty Line)의 2배 수준까지를 저소득층(3인 가구 기준 연 3만7000달러 이하)으로 구분하고 있다. 절반 가까운 저소득층은 소득의 40% 이상을 렌트비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정부 권고 기준에 따르면 이들 저소득층 가구가 최대로 부담할 수 있는 월 주거 임차 비용은 900달러 선이다. 하지만 이미 입주한 일부 서민주택을 제외하고는 이 가격에 집을 구하기 힘들다는 것이 문제다. 심지어 거주하는 곳에서조차 쫓겨나기 십상인 형편이다. 너무 오른 주택가격이 렌트비 부추겨 금년 봄, LA와 오렌지카운티의 중간 가격대의 단독주택과 콘도를 2007년 3월의 가격과 집 코드별로 비교한 결과 LA카운티 조사대상 중 절반 이상이 2007년 가격의 90% 이상을 회복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20곳은 집값이 오히려 2007년보다 올랐고 아케이디아, 베버리힐스 등 일부 지역은 40~60% 이상 상승해 과열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LA 집코드 90004 지역의 주택가격은 2007년보다 무려 20% 이상 뛰었고 90020 지역은 60%나 급등했다. 렌트 컨트롤 혜택도 갈수록 줄어 퇴거당한다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 도시가 밝아지는 것은 좋지만 저소득층 가정들은 대신 갈곳이 없다. 지금껏 살던 렌트비로는 아파트 크기를 줄여 나간다해도 10년 전 임대료로는 구할 아파트가 없다. 렌트 컨트롤 덕분에 매년 3% 이내 인상만을 해왔기 때문에 그래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크기를 줄여도 갈 곳이 없다면 더 먼 곳으로 나가거나 모르는 사람과 함께 거주하는 방법이 최후의 방안이다. 요즘은 모르는 사람들이 렌트비 때문에 모여 사는 집단도 크게 늘었다. 특히 청소년 세대들은 더욱 그렇다. LA시 주택국에 따르면, 지난해 재개발 등의 이유로 렌트 컨트롤 대상에서 빠진 아파트 유닛은 378개에 달한다. 이는 2012년보다 40% 이상 늘어난 규모다. LA시 주택국은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아파트 유닛이 렌트 컨트롤 유닛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LA시에 등록돼 있는 렌트 컨트롤 적용대상 아파트는 63만8000유닛이다. 경제생존연합의 사무국장은 “LA시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결국 도시 내에 직장을 가진 근로자들로 LA시는 이들이 살 수 있는 저렴한 주거지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렌트 컨트롤이란, 1978년 이전에 건설된 거주용 렌트 아파트는 연간 렌트비를 3% 이상 인상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LA시 조례로, 저소득층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의회가 제정했다. 악덕 아파트 업주들 주택 당국에 혼쭐 이런 상황을 이용해 아파트 주인이 세입자들에게 정당한 수리를 해주지 않거나 정당한 요구를 무시하다가 주택 당국에 의해 혼쭐이 나기도 했다. 낙후된 건물은 고치지 않고 오히려 세입자들에게 부당한 수수료를 받아왔던 악덕 아파트 소유업체 두 곳이 뉴욕주 검찰의 조사를 받아오다 총 100만 달러를 보상하기로 합의했다. 주 검찰에 따르면 렌트 컨트롤 아파트 42채를 소유하고 있는 업체 두 곳은 전체 세입자 1700여 가구에 각각 600달러씩을 렌트 크레딧 형태로 보상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업체는 현재 보수가 시급한 아파트 내부 시설을 1년 이내에 모두 고쳐야 하고 건물 관리에 태만했던 관리업체와의 계약을 즉각 취소토록 했다. 주민들은 그동안 고장 난 채 방치된 엘리베이터와 파열 위험에 처한 각종 파이프 등 낙후 시설에 대한 불평 민원을 주 검찰에 신고했었다.
|
도시빈민 전락, 렌트비가 생활비 절반 차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