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 오리건 과학대학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팀이 태아의 체세포를 이용해 세계 최초로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주를 확립한 적은 있지만, 살아 있는 성인의 체세포로 복제줄기세포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차병원측은 밝혔다. 물론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각종 난치성 질환 치료에 첫 단추를 채운 셈이다. 차병원측은 “이번 연구성과로 향후 난치병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개발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자평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거 황우석 박사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만들려고 할 때 시도했던 방법을 실제로 실현했다는 의미도 가진다. 연구팀은 유전물질을 제거한 난자에 75 세와 35 세 성인 남성 기증자의 피부 체세포를 결합해 줄기세포주를 만들었다. 확립된 줄기세포주의 염색체와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75 세•35 세 성인 남성 기증자의 체세포에서 유래한 정상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주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 방법은 지난 2005 년 황우석 박사가 사이언스지에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주를 확립했다고 주장했던 방법과 기술적으로 기본 틀이 비슷하다. 황 박사는 유전물질을 제거한 난자와 체세포를 결합해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주를 만들었다고 주장했으나 이 연구결과는 나중에 데이터 조작으로 드러나 논문이 철회됐다.
연구팀은 “난치성 질환을 앓는 환자 대부분은 성인”이라며 “성인 체세포로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주를 확립한 것은 실질적으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또 “태아 체세포와 비교해 성인 체세포에 유전적 변화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 연구팀의 연구성과보다 진일보한 성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여성 4명에게 공여받은 77개의 난자에 성인 남성 두 명으로부터 기증 받은 피부세포를 결합해, 두 개의 줄기세포주를 확립했다는 것이다. 작년 미국 연구진이 여자 태아의 체세포로 줄기세포를 만든 적은 있었지만, 성인의 체세포를 복제한 줄기세포 확립은 이번이 차병원 연구팀이 세계 최초이다. 그만큼 환자 맞춤형 치료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핵을 제거한 난자에 성인 남성의 체세포를 밀어 넣으면 5일 정도 지나자 배아 세포가 생겼으며 이 배아세포에 특수한 추출과 배양 기술이 더해지면 다른 장기나 신체 부위로 자랄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가 탄생되는 것이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도, 최근 차병원 연구진이 이 방식으로 체세포 복제배아 줄기세포를 개발 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많은 남성들이 나이가 들면 흔하게 생기는 전립선 문제는 바로 ‘전립선 비대증’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나이가 들면서 전립선이 비대해져 방광을 막아 소변을 잘 누지 못하게 만드는 남성 질환이다. 전립선 비대증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비대해진 전립선이 방광을 막아 방광 및 요도, 신장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전립선은 방광 바로 밑에 위치해 있는데, 누구든지 남성은 나이가 들면 정도는 다르지만 커지게 된다. 전립선 문제에 대하여 평소 관심이나 예방에 소홀히 하면 전립선암으로 번지게 된다 전립선 문제는 소변이 잘 안 나오는 문제가 가장 크다. 요의를 느껴도 소변이 잘 안 나온다거나 소변 줄기가 약하거나, 밤에 소변을 보기 위해 자주 일어나거나 소변을 보다가도 중간에 끊어졌다가 다시 소변을 보거나, 소변을 다 본 후에도 소변이 방울방울 나오기도 한다. 소변을 봤어도 덜 봤다는 느낌이 난다. 또한 전립선 문제가 생기면 소변을 잘 봐도 자주 마렵거나 소변이 급하게 마려워 참기 어려워지는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윤환 비뇨기과전문의는 “소변 문제가 생기면 일단은 전문의와 상담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그래야만 예방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모든 병들이 다 비슷하지만 방심하거나 게으르면 일을 크게 만들 수도 있다. 전립선도 암으로 번질 수가 있는 것이다.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되는 악성종양이다. 이 종양이 자라면서 전립선의 내부 에까지 종양이 퍼질 수 있다. 다른 암들과 같이 전립선암도 뼈나 폐 등 신체의 다른 중요 장기 에까지 전이될 수 있다. 초기의 전립선암은 비뇨기과적 증상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나 암이 진행함에 따라 요도의 압박이나 요로폐색 등의 중요한 비뇨기과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암에 비해 척추나 골반뼈 등 신체의 가장 중심적인 부위에 전이를 잘 일으켜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이행 부가 주로 비대해져 나타나는 전립선 비대증과는 다른 악성종양이다. 전립선암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전립선암의 발생빈도는 인종이나 종족, 또는 가계의 유전적인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환경적인 면이 크게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립선암은 그 크기가 작고 초기암일 경우에는 대부분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 전립선암이 상당히 진행되었거나, 또는 암과는 별도로 전립선비대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배뇨곤란, 빈뇨, 혈뇨, 배뇨시 통증, 배뇨시 약한 오줌줄기, 또는 배변시 불편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전립선암이 기타 장기, 특히 골반 뼈나 척추뼈에 전이가 될 경우에는 심한 골 통증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하반신 마비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전립선암을 진단하는데는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윤환 비뇨기과전문의는 “먼저 환자의 병력 과 현재의 증상, 또는 특별한 비뇨기계통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기본적으로 혈액검사-촉진검사-초음파검사 등을 거처 조직검사 등 정밀검사로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립선 문제에 대해 사전에 예방과 상담을 주의깊게 한다면 불필요한 비용도 줄일 수가 있다”면서 60세 이상 노인 남성들은 1년에 한번 정도는 전립선 상담을 한다면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가 있다는 것이 전문의들의 조언이다. |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