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DMZ와 독일의 DMZ격인 그린벨트를 동시에 담은 사진전이 LA한국문화원코리아센터 2층 상설전시장(5505 Wilshire Bl. LA Ca 90036)에서 펼쳐지고 있다. 사진전은 한국의 통일 기원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지난달 18일부터 8월 8일까지 LA 한국문화원(원장 김영산) 코리아센터 상설전시장에서 ‘DMZ, 통일의 길을 열다’라는 주제로 한․독 양국의 DMZ를 담은 특별사진전이 열리고 있으며, 한국 DMZ 사진 55점, 독일 그린벨트 사진 42점 총 97점의 사진이 전시 중이다. 전시회는 한반도 DMZ와 유사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통일을 이룬 독일 그린벨트의 경험을 통해 ‘DMZ가 더 이상 분단과 절망의 상징이 아닌 화해와 생명의 땅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통일 메시지 를 담고 있다. 이번 특별 사진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는 7월31일(목) LA 코리아센터(LA한국문화원)에서 오후 4시 30분에 열리며, 미 해병 1사단과 육군 40사단의 6.25 전쟁 참전용사와 가족들이 참여해 평화 와 통일의 메시지를 함께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 참전국 영사관 관계자 등 100여 명도 참석한다. 미 육군 40사단은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참전 부대원들이 2달러씩 기부해, 지금의 가평 고등학교 설립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미를 더한다. 이번 한․독 DMZ 사진전은 지난해 8월 경기관광공사(사장 황준기)가 발간한 사진집「TWO LINES」의 연장선으로, 사진집에 수록된 사진 중 일부(97점)를 전시하고 있다. 「TWO LINES」에는 최초공개 사진 다수를 포함, DMZ와 독일 그린벨트의 과거부터 현재까지 모습을 담은 총 507점의 사진이 담겨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DMZ 관련 사진집 중 최대 규모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이번 7월 31일 기념행사에서 「TWO LINES」사진집 50권을 한인동포들이 가장 많이 찾는 피오피고 도서관 기증을 통해 LA지역 도서관에 배포할 계획이며, 책자는 LA 지역의 참전용사, 한인사회, 한국 유학생 등에게 배포․활용될 계획이다. TWO LINES 사진전은 지난해 정전 60년을 맞아 한국 광화문광장, 임진각 평화누리 등에서 100만 여명의 관람객을 기록했으며, 지난 3월 워싱턴 D.C 미 의회 특별 전시와 독일 베를린 이스트 사이드갤러리 특별전을 시작으로 4월 앨라버마주 몽고메리 로사파크스 뮤지엄(Rosa Parks Museum)을 거쳐 현재 미국 헌츠빌 NASA우주센터에서 해외 순회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하루에 약 6,000명의 관람객이 현장을 찾고 있다. 이번 사진전 참여기관 은 경기도, 독일연방자연보전청(BfN), 연천군, 경기관광공사, LA한국문화원, 한국관광공사 LA지사 등이며 초청대상은 한국전 참전용사 및 가족(20명), 미하원의원, 참전국 총영사관(5명), 독일 총영사관(2명), 한인회 관계자(40명), 사진전 참여 작가(데이비드 더글라스 던컨), LA시 관계자(3명), LA유명 미술관/박물관 큐레이터(3명) 등이다.

 |
▲ 한인후보 박건우 |
|
|
캘리포니아주하원(State Assembly of California) 제60지구(리버사이드카운티 지역)에 출마한 한인후보 박건우(미국명 Ken Park)씨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박 후보는 지난 6월3일 예비선거에서 ‘유자격기명후보자’( Write-in-candidate)로 민주당원으로 등록해 최종 144표(전체의 0.7%)를 얻었다. ‘Write-in candidate란 후보자가 특정 사유로 인해 투표용지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올릴 수 없더라도 투표용지 맨 아래쪽에 후보자의 이름을 직접 기입하면 유효표로 인정받게 되는 후보를 의미한다. 박 후보가 왜 ‘유자격기명후보자’( Write-in-candidate)로 등록됐는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이 없었다. 투표용지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올릴 수 없었던 특정사유에 대해서 제대로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민주당 후보로서 등록했다’로 알려지고 이것이 누군가에 의해서 마치 민주당에서 공식적으로 지명을 받은 것처럼 알려졌지만 사실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Write-in-candidate 후보로 나서는 것은 정식후보로 나설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말하자면 정식후보 요건이 안되더라도 후보 자격을 받기 위해 사용하는 수법이다. 또 한편 경력에 공직선거후보자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를 이용하는 정치꾼들이 사용하는 방법중의 하나다. 미국에서 대통령선거에서도 공화, 민주 당 후보 이외에 수십명의 후보들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중 의 많은 후보가 바로 이같은 이같은Write-in-candidate 후보군들이다. 한편 박 후보가 나선 주하원 제60지구에는 현직 공화당의 에릭 린더(Eric Linder)의원이 계속 버티고 있다. 그는 지난 예비선거에서 총 2만 248표로 전체의 98.6%라는 거의 100%에 가까운 득표로 특정 이변이 없는 한 11월 본선거(General Election)에서 당선이 확실시 되고 있다. 지난 6월 예비선거에서는 현직 공화당 에릭 린더 후보 이외 다른 3명 후보들은 모두 ‘Write-in-candidate’로 나섰는데 모두 200표 이내 득표로 그 중 민주당원으로 등록한 박 후보가 144표, 역시 민주당원으로 등록한 올리버 우나가 후보가 118표를 얻어 그 중 많이 얻은 박 후보가 선거법상 2위 득표로 본선거에 나서게 된 것이다. 이를 두고 일부 한인 언론에서는 “박건우씨가 예선에서 승리해 본선에 진출”이라고 보도해 마치 결선에서 쌍벽을 이룬 것처럼 보도했다. 원래 박 후보는 커뮤니티 컬리지 교육위원에 후보로 나섰는데 갑자기 주하원의원으로 출마한 것 자체도 유권자들에게 이해를 시키지 못했다. 민주당측의 권유라는데 이에 대한 확인도 없었다. 최근 이같은 박 후보에 대하여 교육위원 후보 당시와 주하원 후보로 되면서 개최된 선거모금 문제 에 대해서도 여러 제보가 본보에 들어오고 있다. 한 제보에 따르면 박 후보의 선거모금에 대해서 선거기금의 등록보고를 두고 이의 조사를 제기하는 건의서가 선거위원회에 제출되었다는 것이다. 선거 법상 선거 일 30 일 이내에는 24 시간 안에 모금, 활동 등을 보고 해야 하며 선거 30 일 이전에는 10 일 내에 보고를 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현재 주정부 선거관계를 관장하는 FPPC에선 박후보의 선거기금 관계를 내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