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민주평통 제17기(2015-2017) 출범을 앞두고 LA평통에서 차기 회장을 두고 자천타천의 인물들이 벌써부터 물밑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미 LA평통 내부에서는 ‘이창건 수석부회장이 차기회장을 꿈꾸고 있다’는 소리가 지난해부터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어 많은 평통위원들이 알고 있을 정도다. 여기에 전직 LA한인회장을 지낸 현 16기 평통 위원인 조인하, 서영석, 이용태, 배무한씨 등이 후보 예정자로 소문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떠도는 후보 예정자로 임태랑 한미 HR포럼 대표, 평통의 마유진 상임위원 등도 거론이 되고 있다. 현재 평통위원은 아니지만 과거 평통위원이며 LA한인회장을 지낸 하기환, 남문기, 스칼렛 엄 전회장 등도 후보군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들 3명은 ‘전혀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평통 17기는 오는 7월부터 임기가 시작되는데 보통 5월이면 새 회장과 위원들이 임명이 되는 관계상 3월부터 추천 작업이 시작된다. 추천작업은 LA총영사관이 동포 단체들과 함께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추천작업을 벌이고, 이를 종합해 한국의 평통사무처가 자신들의 임의 추천까지 포함해 위원 선정 작업을 벌이게 된다. 특히 LA평통은 매기 마다 회장과 위원 임명과 관련해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올해는 또 어떤 해프닝이 벌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성 진 취재부 기자> 매 2년마다 교체되는 평통 임기 때마다 특히 LA평통은 그냥 지나가는 법이 없었다. 평통이 1981년에 창설된 이후 벌써 34년째가 되고 있으나, 반복되는 부조리와 난맥상으로 동포 사회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고 매 정권마다 어용기구라는 불명예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포사회에서 젊은 세대나 기성세대, 남녀노소들 중 일부는 기를 쓰고 ‘평통위원’이 되려고 발버둥치고 있으며, 심지어 위원이 되려고 갖은 인맥을 동원하고 때로는 금품공세도 벌어지는 등 적지 않은 뒷말과 후유증으로 매기마다 한인사회에 잡음이 일었었다. 애매모한 위원선정 평가기준 오는 3월이면 아마도 평통 사무처에서 제17기 평통 구성을 위한 지침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16기 LA평통이 전임 평통 보다 특별하게 다른 점이 있었다면, 평통 30년사 발간, 탈북자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다는 점과 일부 분과위원회가 공동과제를 두고 협력을 갖고 활동을 벌였다는 점이다. 수준이하 평통위원 자질 문제
헌법기관으로서 평통은 국민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결집하여 민족의 염원인 평화통일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자하는 시대적 상황과 국민적 여망으로 인해 1981년에 설립됐다. 특히 다변화하는 주변국의 정세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 초당적•범국민적 차원에서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는데 그 의미가 있는 기구이다. 그런데 LA평통이 얼마나 이같은 평통의 사명을 구체적으로 실천을 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면 어떤 점수가 나올지 불분명하다. 비공식 조사에 따르면 LA평통위원 173명 중 자신의 역할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위원이 30%도 안 된다는 것이다. 10명 위원 중 7명은 구체적으로 답변을 하지 못하는 위원이라는 점이다. 평통은 개혁되야 이처럼 미주평통의 대표적인 LA평통이 오는 17기 구성에서 과연 어떻게 달라질지 관심사다. 2년 전 제 16기 구성에서는 새 인물 영입과 세대교체가 이뤄지지 않은 채 낙제점 구성으로 평가를 받았다. 보통 새로운 임기를 앞두고 기존 위원들은 유임이 되려고 나름대로 자천타천의 영향력을 행사한다. 유임 후보자들에 대한 추천 평가 작업에서 지난 16기에서는 ‘회비를 납부치 않은 위원부터 추천에서 탈락시키는 것’으로 지침을 마련했지만 임원들부터 회비 납부 실적이 저조한 마당에 다른 위원들의 회비 문제를 논할 수가 없었다. 30년 장기 평통위원에 눈총 지난 16기 때 가장 문제점은 평통이 세대교체에 실패하고 개혁에도 실패한 것이다. 전체 위원 교체율이 51%에 그쳤고 신임 위원이 51% 이고, LA와 OC를 합쳐 40대 위원이 고작 11명에 그쳤다. |
민주 평통 17기 출범 앞두고 뒷말 도는 까닭?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