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7일 국회에서 개최 된 ‘재외국민 비례대표제 도입방안 모색’ 정책토론회에서 허맹도 민단 중앙 상임고문은 재외국민 비례대표제의 도입 등이 재외동포 사회의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허 고문은 “현재 300명의 국회의원 정수에서 재외동포를 위해 의석을 배정하는 것 자체가 가능한가. 예를 들어 재외국민 대표로 몇 명이 의석을 얻는다고 해도 동포사회를 위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민단으로서는 비례대표제는 마다하고 싶다”고 밝혔다. 앞으로 재외동포 비례대표 방안은 또 다른 논란을 불러 올 가능성이 많아졌다.
우편투표 안정성문제 확보가 관건 지난 16일 타운 내 만리장성에서 개최된 ‘심윤조 새누리당재외국민위원장 정책간담회에는 약 50명의 한인사회 단체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비례대표제, 미주사회의 종북세력 척결, 재외동포투표 편의성, 한글교육 활성화, 복수국적 확대, 정부 통일정책 등에 대해 건의했다. 또 그는 최근 북한 정세와 관련해 “김정은이 김정일 사망 후 6개월 만에 세습으로 문제점이 많아 측근들을 고사총으로 숙청하는 등 정권의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렇게 정세를 오판해 도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많다”고 지적했다. 복수국적 60세로 확대 추진
한편 지금 한국 국회는 현행법상 직능별로 각 당의 비례대표 추천과는 달리, 정치개혁법의 일환으로 유럽 선진국들이 실시하고 있는 해외선거구 도입에 따른 비례대표 의석 배정에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 이같은 논의의 한 방편으로 지난달 27일에 ‘재외국민 비례대표제 도입방안 모색’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현행 각 당의 비례대표 명부에 재외국민을 등재하는 것은 “각 정당에 있어 의석 확보에 큰 영향력이 없는 재외국민을 위해 의석을 할당하는 것에 큰 실익이 없다는 판단 아래 하위 순위로 배분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재외선거 공정성 분열갈등 극복이 과제 허맹도 민단 중앙 상임고문은 재외국민 비례대표제의 도입 등이 반대로 재외동포 사회의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허 고문은 “현재 300명의 국회의원 정수에서 재외동포를 위해 의석을 배정하는 것 자체가 가능한가. 예를 들어 재외국민 대표로 몇 명이 의석을 얻는다고 해도 동포사회를 위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민단으로서는 비례대표제는 마다하고 싶다”고 밝혔다. |
<한국정치> 재외동포 비례대표 추천 ‘과연 바람직한가?’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