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에 휩싸였다.
본국에서 일어난 메르스 사태의 심각성은 지난 27일 삼성서울병원에서 극에 달했다. 삼성서울병원은 27일 감염자에게 3일간 무방비로 노출됐다. 삼성서울병원은 27일에 응급실로 온 14번 환자에게 메르스 선별문항지를 적용했으나 폐렴 소견만 있고 중동 여행이나 메르스 환자에 노출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와 세균성 폐렴 치료를 지속했다. 치료 3일째인 지난달 29일 밤 늦게서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14번 환자가 ‘메르스 노출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를 받았다. 그 사이 이 병원을 찾은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 890여명은 메르스 바이러스에 무방비로 노출됐다. 3차 감염자 890명이 접촉한 4차 감염위험에 노출된 사람은 700명 수준이다. 즉 삼성병원에 입원했던 한 명의 환자가 1600명의 환자에게 메르스 바이러스를 노출시켰다고 볼 수 있다. 삼성의 오만이 자초한 치욕적 사건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은 사태가 심각해진 6월 7일 긴급기자회견을 했다. 송 원장은 “메르스 의심환자인지 몰랐던 14번 환자로 인해 다수의 감염자가 발생했고 직원 218명과 환자 675명을 합쳐 893명을 격리조치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893명으로 끝나지 않았다. 격리조치된 사람은 의사와 환자가 태반이었다. 삼성서울병원은 본국 최고의 병원이다. 삼성서울병원은 하루 외래 진료 환자만 8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 규모도 1950병상 수준으로 국내에서 4손가락 안에 드는 초대형 병원이다. 이처럼 최고 수준으로 꼽히던 병원의 위상은 메르스 사태와 함께 걷잡을 수 없이 추락하는 모양새다. 박 대통령, 정확한 인원 파악도 못 해 삼성서울병원이 자가수습을 할 수 있도록 방치한 것은 정부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 세월호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늦장 대응을 하다가 나라를 공포에 몰아넣었다. 메르스 최초 환자는 5월11일 기침·발열 등을 앓았다. 병원 4곳을 전전하다가 5월17일 서울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그가 고열 증세 등으로 찾아간 4번째 병원이었다. 진료하던 의사는 메르스를 의심했다. 환자가 중동 지역인 바레인을 다녀왔다고 말하자 그는 보건 당국에 신고했다. 5월18일 오전이었다.
세월호는 4월16일 아침 8시53분 학생 고 최덕하 군이 119에 “배가 기울고 있다”고 신고했다. 3자 통화를 받은 해양경찰은 경도와 위도를 물으며 ‘골든타임’을 허비했다. 오전 9시7분 세월호와 교신을 시작한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VTS)도 배가 급속히 기우는 상황인데 선장에게 “알아서 하라”며 퇴선 명령을 미뤘다. 이는 “비상탈출 여부는 현지 상황을 잘 아는 선장이 판단할 사항”이라는 해경 상황실의 지시를 따른 것이었다. 질병관리본부와 해양경찰이 초동대응을 잘못한 것이 놀랄 만큼 똑같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고 7시간 동안 박근혜 대통령은 없었다.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7시간 미스터리’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가 가라앉기 시작한 뒤 10시간 가까이 지나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방문해 “다 그렇게 구명조끼를, 학생들은 입었다고 하는데 그렇게 발견하기가 힘드냐?”고 질문했다. 이경옥 안전행정부 2차관이 “(배 안에) 갇혀 있기 때문에 구명조끼가 큰 의미가 없는 것 같다, 선체 내부에”라고 설명하자 박 대통령이 “아, 갇혀 있어서…”라고 답했다. 사건 발생 9시간이 지났지만 승객 대부분이 배 안에 갇혀 있다는 것을 대통령이 모르는 듯한 인상이었다. 삼성과 朴정부 이기심의 합작품 정부와 삼성, 두 집단의 이기심은 메르스 사태에서 정점을 찍었다. 이번 사태 초반 가장 큰 논란은 병원의 이름을 공개할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점이었다. 정부는 병원 명단 공개는 ‘득보다 실이 크다’며 비공개 하기로 했다. 정부의 발표나 언론의 보도를 보면 서울의 한 대형병원, 평택의 한 병원, 동탄의 무슨 병원 대전의 E병원 등등 무슨 난수표나 암호문을 보는 것 같다. 그렇지만 이미 병원이름은 SNS에 모두 공개됐다. 오히려 잘못된 병원이름이 공개되는 일도 있었다. 정부가 눈가리고 아웅하고 있는 것이다. 또 확진 환자의 발표시기를 임의로 조절하면서 오히려 의혹을 부추기고 있다. 첫 번째 사망환자의 확진여부 발표도 그랬고 서울 대형병원 의사가 확진판정을 받았다는 사실도 하루 미뤘다가 언론에 보도가 된 뒤 4일 새벽에서야 공개했다. 청와대는 2주가 지나서야 메르스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종합대응 콘트롤 타워(TF)를 구축 운영하기로 했지만 대한의사협회가 아닌 대한병원협회장을 참여시켰다. 병원장은 국민의 안전보다 병원의 운영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당연히 메르스는 과장돼 있다고 말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의 와중에 남재준 국정원장을 슬그머니 교체했고 남재준 원장은 퇴임식도 하지 않고 후임 국정원장이 내정되기도 전에 물러났다. 메르스가 퍼지면서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검찰수사도 여론의 관심에서 멀어지면서 부실수사 논란도 묻히고 있고 대선자금과의 연관성 문제는 거의 끝난 상황이 되고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들도 여론의 관심사에서 멀어지고 있다. 이슈로 이슈를 덮는 박근혜 정부의 형태가 여기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
<메르스 정국> 메르스 공포는 박근혜 정부 ‘무능’과 삼성 ‘오만’…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