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본지가 보도한 박근혜 대통령 친인척 및 측근비리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브로커 황인자 씨를 둘러싼 각종 로비 의혹이 정관계 전반적으로 퍼져갈 조짐이다. 지난주 기사화했던대로 이 사건에는 박근혜 대통령 최측근 그룹인 7인회의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과 부친이 박 대통령 달성군 후원회장으로 둔 TK출신 국세청 고위 공무원이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선데이저널>의 추가 취재 결과 박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하나인 김선동 전 국회의원도 연결되어 있다는 의혹이 정치권 주변에서 나오고 있다. 김 전 의원은 박근혜 정부 들어 청와대 정무비서관으로 1기 비서진에 포함됐는데, 정부 출범 6개월만에 돌연 교체된다. 때문에 그의 교체 배경을 놓고 여러 가지 설들이 돌았었다. 취재 결과 김 전 의원은 황 씨가 구명로비를 청탁했던 박 대통령 이종사촌 형부이자 브로커 윤석민 씨와 함께 박 대통령 후원조직인 상록포럼에서 함께 활동했으며, 이런 인연 때문에 구명로비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청와대와 검찰은 당시 이 사건을 확대시키지 않은 채 넘어갔으나, 최근 사건이 다시 불거지면서 경질 배경 또한 다시금 논란이 되고 있다. 박 대통령 친인척 윤석민 씨를 둘러싼 비리 의혹을 또 다시 취재했다. 지난주 보도했던대로 이 사건이 처음 일어난 것은 2008년이다. 브로커 황인자 씨는 전 국무총리의 딸을 사칭해 통영 아파트 인허가 관련 청탁 비리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됐다. 하지만 황 씨는 검찰의 출두에 응하지 않고 도주, 수배령이 떨어졌다. 황 씨는 수배생활 도중 박근혜 대통령 이종사촌 형부인 윤 씨를 만나 수배를 풀어달라는 로비를 벌이면서 5천만 원을 건넸다. 윤 씨는 황 씨에게 “청와대 비서관을 통해 사건을 무마시켜주겠다”며 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씨와 황 씨가 처음 만난 것은 2013년 1월로 이 자리에서 윤 씨는 자신을 상록포럼의 공동대표이자, 충청향우회 중앙회 부총재(현 공동대표)로 소개했다. 황 씨는 2013년 5월 윤 씨를 믿고 함께 검찰에 자진 출두를 했다가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갑작스럽게 구속됐다. 이에 황씨는 2년 6월을 선고받아 통영교도소에서 1년 6개월간 수감됐다가 2014년 말 의정부교도소로 이감됐다. 갑작스런 교체배경은? 주목할 만한 사실은 황 씨가 구속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청와대 김선동 정무비서관이 갑작스럽게 교체된 점이다. 당시 청와대와 정치권에서는 김선동 전 비서관의 갑작스러운 교체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많았다. 정부 출범 반 년 만에 대통령 최측근으로 분류된 정무비서관을 교체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청와대 측은 박근혜 대통령은 김 비서관에게 최근 경색된 대야 관계에 대한 책임을 물은 것으로 전해졌으나,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얘기가 많았다. 박 대통령이 대야 관계를 염두에 두는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서울 도봉을에서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뒤 19대 총선에서 재선을 노렸으나 패했던 김 비서관도 자신의 지역구 관리를 이유로 사퇴 의사가 있었다는 설도 있었지만, 대선이 2년도 넘게 남은 시점에서 그만두는 것도 석연치 않았다.
그런데 최근 야당 의원에게 넘어간 진정서에는 윤 씨가 내세웠던 인물이 김선동 전 비서관이었다는 내용이 적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당시 검찰 수사 결과 이런 내용이 문제가 됐으나 검찰이 이를 청와대 민정라인에 보고했고, 청와대와 검찰은 사건을 확대시키지 않는 선에서 마무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비서관 역시 그의 이름이 황 씨의 진술에 언급되면서 자의반타의반으로 사퇴 의사를 밝혔던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을 중심으로 얽히고 설킨 두 사람은 박 대통령 대선 외곽 조직이었던 상록포럼으로 가까워졌다. 상록포럼은 박 대통령의 측근들이 대거 포함됐던 조직이다. 2011년 출범했으며, 다음해 열린 대선 당시 직·간접적으로 박근혜 후보 당선을 위해 적극 나섰다. 대선을 앞두고 가진 하계 워크숍에서는 각 지역대표와 중앙회 임원, 그리고 정책자문위원 등 핵심요원 200여 명이 참석해 세를 과시하는 등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활동했다. 이 모임에는 허태열 전 비서실장, 이혜훈 새누리당 전 최고위원 등이 참석하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지난 2011년 연말 행사 당시 “다가오는 임진년(2012년)에는 언제나 푸른 상록의 기상으로 우리 마음속에 품은 그 큰 뜻을 이뤄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라는 축사를 보내기도 했다. 상록포럼에서 만난 두 사람 이 사건이 축소됐다는 의혹을 제기할 수 있는 정황은 2013년 당시 검찰 수사다. 이 사건은 당시 통영지청에서 맡았는데, 사건을 수사했던 검사가 올해 초 중앙지검으로 영전했다. 법조계 주변에서는 김 모 검사가 이 사건을 잘 마무리하면서 정권 및 검찰 고위직의 눈에 들은 것 아니냐는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당시 윤 씨의 약속과 달리 황 씨는 석방되지 않은 채 1심에서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2년 6개월 실형을 선고받아 수감됐다. 하지만 이러한 정황을 확보하고도 윤씨에 대한 추가 수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달 김 의원실이 의혹을 제기한 뒤 한 달 만에 검찰은 윤 씨에게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야당을 통해 폭로를 계속하는 황 씨의 입을 막기 어려워지자 검찰이 사실상 재수사에 나선 것이다.
|
<박근혜 측근비리 2탄>김선동 정무비서관 경질된 내막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