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재외동포 718만명으로 집계

이 뉴스를 공유하기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2014년 말 현재 전 세계 재외동포수가 2013년보다 약 16만명 증가한 718만명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외교부가 최근 발간한 2015년도 재외동포현황 자료집에서 나타났다. 정부는 재외공관을 통해 2년에 한번 전세계 동포수를 집계한다. 2013년도 조사 결과를 지역별로 비교하면, 중국, 남아시아태평양, 북미,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 지역의 동포수가 증가했다.
가장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아프리카로 약 9.8%가 증가율을 보였다. 미국(7%), 캐나다(8%)의 증가율도 컸다. 반면 일본은 약 4%가 감소됐다. 일본의 경기침체와 한류에 대한 영향이 감소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역별로 재외동포수가 가장 많은 곳은 중국이다. 중국에는 재중교민과 조선족동포를 포함해 총 250만명의 동포가 거주한다. 전체 재외동포의 35%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동포수가 많은 곳은 미국으로 223만명(전체 31%)이 거주한다. 이어 일본에 85만명이, 유럽에 62만명이, 남아시아 태평양에 51만명이, 캐나다에 22만명이, 중남미에 10만명이, 중동에 2만5천명이, 아프리카에 1만1천명이 거주한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한편 2009년까지 증가세를 보였던 재외동포 수는 2007년부터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700만명을 넘었던 2007년 재외동포수가 2009년 682만명으로 감소했고, 2011년 717만명으로 다시 증가 했다가 2013년 700만명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2년 뒤인 올해 718만명으로 조사된 것.
전 세계 동포수를 파악하는 정부조사는 1971년부터 조사됐다. 처음에는 70만명으로 집계됐고 지난 40여년 간 10배 이상 증가했다. 76년 처음 100만명을 넘어섰고 86년 200만명을 돌파했다. 그리고 2001년 560만명, 2007년 700만명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별포 참조)

‘해외 100만 유권자 등록운동’

한편 지난 2일 서울에서 월드코리안신문, 세계한인유권자총연합회가 주최한 ‘재외국민 유권자 100만명 투표등록 대토론회’가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개최되어 ‘해외 100만 유권자 등록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이날 토론회 에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김덕룡 전 정무장관, 조규형 재외 동포재단 이사장, 이균동 대구광역시국제관계 대사, 이갑산 범시민사회단체연합 상임대표, 송대수 전 스포츠서울 사장를 비롯한 각계 인사, 박종범 유럽한인총연합회장, 임도재 아프리카·중동한인회총연합회장, 이숙순 중국한국인회장, 김재권 미주한인회총연합회장, 허맹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고문, 이경종 러시아·CIS한인회총연합회장, 이충근 호치민한인회장을 비롯한 세계 각국 한인사회 리더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 사회를 맡은 LA한인회의 강일한 이사장은 재외국민 유권자 100만명 투표등록 운동을 진행하는 동시에 재외공관 순회투표 실시를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하자고 제안했다.
강일한 이사장은 세계한인유권자총연합회장도 맡고 있는데 이날 인사말에서 “미국은 이민을 통해 국가를 발전시켰고, 중국도 각국의 인재를 받아들여 국가를 부흥시켰다”며, 우리정부도 해외 각국에 거주하고 있는 700만 동포를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강 회장은 세계한인유권자총연합회가 참정권 회복운동을 벌였던 것을 소개하면서, “모국이 재외국민에 대산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재외국민 유권자 100만명 투표등록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내빈축사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9대 국회의원·18대 대통령 재외선거가 당초 기대와 달리 저조한 투표율을 기록했다”면서, “재외국민들이 참여하기 어려운 선거구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넷을 통한 재외선거 등록이 가능해진 것과 추가투표소 설치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을 언급하면서 “새누리당도 재외국민들의 권익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축사에서 “이러한(해외동포들의 참정권을 확대하는) 문제에 여야가 따로 없다”면서, “오늘 발표되는 토론 내용을 잘 살펴 재외국민들의 주권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규형 이사장은 재외동포재단의 캐치프레이즈 ‘이민으로 해가 지지 않는 대한민국’에 대해 언급 하면서, “대한민국은 작은 영토를 갖고 있지만 재외동포들이 우리나라의 경제영토를 넓히고 있다”고 강조한 뒤, 이번 토론회가 재외동포들의 정치참여를 확대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이사장인 김덕룡 전 정무장관은 “750만 해외동포는 대한민국의 축복” 이라면서, “재외선거 제도가 개선돼야 하며 해외동포들은 ‘보팅 파워’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 했다.
한편 지난 제19대 국회의원 재외선거에서는 전체 유권자 223만명 중 5.53%가 선거등록을 했고 유권자 중 2.53%가 투표를 했다. 제18대 대통령 재외선거에서는 유권자 등록률이 9.85%, 투표율은 7.1%였다.
이처럼 재외선거 참여율이 낮았던 이유는 유권자등록과 투표를 하기 위해 공관을 2번 방문해야 하는 등 재외국민들이 선거에 참여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년 총선부터 인터넷을 통한 재외선거 등록이 가능해지고, 추가 투표소가 설치될 전망인 것에서 보듯, 재외선거 제도가 일정 부분 개선되고 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