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의 빛너머” 6인 초대작가로 조명 LA한극문화원 개원 40주년 특별 전시회

이 뉴스를 공유하기

동서의 빛너머”  6초대작가로 조명

LA한극문화원 개원 40주년 특별 전시회

LA한국문화원(원장 박위진)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문을 닫았던 2층 아트 갤러리를 4월 1일부터 재개장하고, 2020년 LA 한국 문화원 개원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던 특별기획전시 <동서의 빛너머>(Special Exhibition ‘Beyond the Light of East and West)를 4월 1일부터 4월 30일 까지 LA 한국 문화원 2층 아트 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이번 특별 전시는 1960년대와 1970년대 무렵에 가장 혁신적인 장르를 개척해 온 한국과 미국의 여섯 명의 원로 작가들의 작품들을 통해 동서양의 예술가들의 연결고리와 유사점, 또는 차이점 등을 살펴보며 그들의 독특한 아이디어와 관행을 반영하기 위해 기획된 전시이다.

문화원 개원 40주년 특별기획전“동서의 빛 너머” 전시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거슬러 올라오는 회화, 조각, 설치 등 20여 점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종현, 윤형근, 김형대 등 한국의 원로작가 3인과 래리 벨(Larry Bell), 헬렌 파슈지안(Helen Pashgian), 래디 존 딜(Laddie John Dill) 등 로스앤젤레스 출신 3인 원로작가 등 총6명의 작가 작품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이번 전시는 오는 4월 30일까지 LA한국문화원 아트 갤러리에서, 개최되며 LA문화원은 온라인 사전예약제를 통해 관람시간 별 입장 인원을 제한하여 사회적 거리 두기를 준수하고 마스크 착용 점검 및 발열 검사 등 사전 안전 조치를 철저히 한다는 방침이다. LA한국문화원은 여전히 방문을 꺼리게 되는 관람객들을 위해 집에서도 생생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버추얼 갤러리(Virtual Gallery), 온라인 큐레이터 토크 등 온라인 콘텐츠도 문화원 웹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한다. 이후정 게스트 큐레이터는 LA 아트쇼 한국미술 전시기획 디렉터이며, 갤러리 아트 올 웨이즈 관장이다. 지난 2012 이후로 LA 아트쇼를 통해 2018년에 개념미술과 팝 퍼포먼스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영국 작가 판데모니아의 를 기획하여 KTLA 생방송 취재와 인터뷰로 화제거리가 되었고, 2015년 단색화 특별전 기획 및 2014년 이용백의 “천사 군인” 과 최정화의 “세기의 선물”을 포함한 “코리아 커넥션” 특별전을 기획하여 LA Times 에도 게재되었다.

하종현(Ha Chong-Hyun)은 한국 현대 추상미술의 대가로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종현 화백은 단색화를 통해 한국의 독특한 현대 추상미술을 세계에 알린 일등공신의 한 작가로 꼽힌다. 하종현 화백은 1959년 홍익대학교 졸업 후 서울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1990년∼1994년 홍익 대학교 예술대학의 학장을 지냈고, 2001년∼2006년 서울시립미술관 관장으로 재직했다. 작가는 2002년 부산시립미술관, 2003년 밀라노의 무디마 파운데이션 현대미술관, 2004년 경남 도립 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진 바 있고,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대규모 회고전과 2014년 뉴욕 소재 블럼 앤 포 갤러리에서 전시를 펼쳤다. 주요 소장처로는 뉴욕 현대미술관 (MoMA), 시카고 아트인스티튜트, 홍콩 M+ 시각예술 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이 있다. 윤형근(Yun Hyong-Keun,1928-2007 )은20세기 한국 추상미술의 대표작가 중 아티스트로 동양과 서양의 예술 사조와 시각적 전통을 초월해 그만의 독특한 추상적 기법으로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린 한국의 아티스트다. 윤형근은 동서양 시각예술의 전통을 융합하고 끝내 초월한 독자적 추상 작업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021033101000059900003272김형대(Kim Hyung-Dae)는 현대미술의 제 1세대로서 우리나라 현대 미술의 선봉에서 젊음의 정열을 불태운 화가들 중의 한 사람이다. 김 화백은 1961년 비정형예술(Informel·앵포르멜) 계열의 작품으로 대한민국 미술전람회(국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상을 수상했다. 추상미술로 국전에서 상을 받은 최초의 작가이기도 하다. 래리 벨(Larry Bell)은 미국의 현대 미술가이자 조각가이다. 세계적 갤러리 하우저 앤 워스 (Hauser &amp; Wirth) 소속 작가로 현대미술 요지에서 활발하게 전시를 열고, 휘트니 미술관 등 최고의 아트 기관과 협업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시작된 빛과 우주 운동의 주역 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과 구겐하임 재단의 그랜트 수혜자이며, 그의 작품들은 많은 주요 문화기관의 컬렉션이다. 헬렌 파슈지안(Helen Pashgian)은  “빛을 담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대부분의 작품에 제목을 붙이지 않는다. 관람자들이 미리 결론을 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그녀의 조각은 내부에 독특한 형태의 프리즘을 삽입해 관람자가 작품 과 맺는 물리적 관계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관람자의 시각적 인지가 파슈지안의 조각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래디 존 딜(Laddie John Dill)은 재료와 매체에 대한 관심을 작품에 연결시키는 미국 작가이다. 그의 재료는 전통적인 물감 대신 모래알과 유리다. 그의 혁신적인 색소 시멘트, 유리 및 금속 그림은 더 큰 테마와 자연의 변화에 중점을 둔다. 그는 작품을 통해 자연의 더 깊은 주제를 표현하고 싶어 한다. 그의 작품은 특정 개인 경험 순간보다는 움직임과 지속적인 주기와 더 관련이 있다. 그는 전 세계에서 60개 이상의 개인전 및 150개 이상의 그룹 전에서 그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들은 뉴욕현대미술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CA, 샌프란시스코 현대 미술관, 시카고 필립스 콜렉션과 같은 국내외 기관들의 영구적인 컬렉션에 있다. 그는 구겐하임 펠로우십과 두개(그림, 조각)의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grants)의 수혜자이다.

특별기획전시 “동서의 너머” Special Exhibition “Beyond the Light of East and West”                                           ✦전시기간: 2021.4.1(목) – 4.30(금)                                                                                                                                 ✦장소: LA한국문화원 아트갤러리 / 5505 Wilshire Blvd. L.A., CA 90036                                                                         ✦주최: LA한국문화원                                                                                                                                                       ✦초대작가: 김형대, 윤형근, 하종현, Larry Bell, Laddie John Dill, Helen Pashgian(총 6명)                                               ✦게스트 큐레이터: 이후정                                                                                                                                               ✦문의: LA한국문화원 323-936-3014 전시담당 Tammy Cho or [email protected]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