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 부족해 북한 떠난다’ 외교관 귀국행 러시…코로나로 북 주재 외국 공관 12곳 잠정폐쇄

이 뉴스를 공유하기

부족해 북한 떠난다’ 외교관 귀국행 러시

코로나로 북 주재 외국 공관 12곳 잠정폐쇄

코로나19로 생필품 부족이 장기화되면서 북한 주재 외국 공관 12곳이 결국 잠정 폐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 속에 현지 북한 주민들의 생활은 더욱 열악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지난1일 온라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북한을 떠난 외교관들의 격리 해제 소식을 알리면서, 현재 북한 내 생필품 부족으로 외국인들의 귀국행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북 주재 외국인들 북한 탈출러시

대사관 측은 “3월 18일 평양을 떠나 중국 접경 도시 단둥의 한 호텔에서 격리 생활을 해온 외국인 38명에 대한 2주 격리가 1일 종료됐다”며 “이제 이들이 베이징과 상하이를 통해 항공편으로 귀국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총 몇명의 대사들이 북한을 떠났는지 말하긴 어렵지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이게 마지막이 아니며 외국인들의 귀국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면서 “북한에 남은 외국인은 290명 도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사관 측은 또 “북한의 수도(평양)을 떠나는 게 이해가 된다”며 “모든 사람이 전례 없이 철저한 통제, 의약품과 같은 생필품의 극심한 부족, 건강 문제 해결 능력이 부재한 상황을 견딜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상황을 전했다. 이어 “영국, 베네수엘라,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폴란드(뽈스카), 체코, 스웨덴(스웨리예), 스위스, 프랑스 등의 공관 문에 자물쇠가 걸려 있고, 국제 인도주의 단체의 모든 외국인 직원이 떠났다”고 설명했다. 대사관은 현재 대사 9명과 대리대사 4명만이 북한 주재 대사관을 운영하고 있다며, 대부분의 대사관들이 인력을 최소화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대사관은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평양에 남아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써 현재 북한에서 운영 중인 대사관은 중국, 러시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캄보디아(캄보쟈), 쿠바, 이집트,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라오스, 몽고, 베트남(윁남) 등으로 파악된다.

러시아 대사관로베르타 코언 전 미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1일 RFA과의 통화에서 평양에서 특권을 가지고 사는 외교관들조차 생필품 부족에 시달린다면 일반 북한 주민들의 상황은 훨씬 더 열악할 것 이라고 우려했다. 코언 전 부차관보는 “대사관 스스로 생필품이 부족해 북한을 떠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면 외 교관들처럼 식품과 생필품에 대한 특권이 없는 북한 주민들의 상황이 매우 걱정된다”면서 일반적 으로 상황이 더 나은 평양이 이렇다면 나머지 지역에서는 훨씬 더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또 코언 전 차관보는 또 북한 주재 대사관 폐쇄와 외국인들의 감소는 북한을 외부 세계와 완전히 차단시킴으로써 고립을 더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에 앞서 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지난 2월 25일 평양 주재 러시아 외교관과 가족들이 북한의 국경 봉쇄로 수동 수레차를 직접 밀고, 러시아 연해주로 이동하는 영상을 공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 같은 달 8일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러시아 매체 인테르팍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국경봉쇄가 길어지면서 평양에서 생필품 조차 구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밝히기 도 했다.

평양 주재 서방측 공관 대부분 폐쇄

▲ 지난 2월 말 코로나바이러스로 봉쇄된 북한 국경을 철길수레로 넘고 있는 러시아 외교관들과 가족들.

▲ 지난 2월 말 코로나바이러스로 봉쇄된 북한 국경을 철길수레로 넘고 있는 러시아 외교관들과 가족들.

한편 코로나19방역 강화로 평양에 상주하는 외교관과 국제지원단체 관계자들이 지난해 대부분 북한을 떠났지만, 러시아와 중국 뿐 아니라 일부 동유럽 국가들도 현재 평양 내 공관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과 수교해 자국 내 북한 대사관을 두고 있는 스페인(에스빠냐) 외교부 관계자는 최근 RFA에 “북한의 입국제한 조치로 인해 현재 남아있는 유럽연합 회원국의 외교 공관은 4개 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스페인 외교부 관계자는 북한이 코로나19 확진자 사례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지원 요청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스페인은 코로나19 협력을 요청하는 북한을 포함한 모든 국가들의 요청에 귀를 기울 이고, 유럽연합 회원국들과 함께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인 외교부 관계자가 언급했듯이 현재 유럽연합 회원국 중 동구권 국가인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 폴란드(뽈스까) 등 4개국이 평양에 남아 공관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불가리아 외무부는 최근 RFA에 “현재 평양 주재 불가리아 대사관이 열려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불가리아 외무부는 북한에 있는 불가리아 국적자는 평양 주재 불가리아 대사관 소속 외교관 1명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불가리아 외무부는 북한의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엄격하고 제한적인 코로나 19 예방조치가 외교관과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들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불가리아 외무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북한에 제기했다면서, 유엔 회원국과 유럽연합 회원국 등 다른 국가와의 공동조치를 통해 북한 내 대사관 및 국제기구의 정상적인 기능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루마니아 외교부도 평양 주재 루마니아 대사관이 최소한의 인력 으로 문을 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루마니아 외교부는 현재 평양 주재 루마니아 대사관의 정보에 따르면, 현재 대사관 인력을 제외하곤 북한에 루마니아 국적자가 한 명도 없다고 밝혔다. 현재 유럽과 대부분의 서방 국가들은 외교 인력들이 북한에서 철수했다고 밝혔지만, 중국, 러시아 와 과거 공산권이였던 동유럽 국가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 폴란드 등이 현재 평양 주재 대사관 을 정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프랑스 외교부는 지난해 3월초 평양 주재 협력사무소 운영을 임시 중단했다. 이어 영국이 지난해 5월 평양주재 대사관을 임시 폐쇄했으며, 스웨덴(스웨리예)도 지난해 8월 평양 주재 외교관들을 철수시킨 바 있다. 현재 독일과 스위스도 코로나 19로 인한 북한의 봉쇄조치 속에서 공관과 협력사무소를 잠정 폐쇄하고 직원을 철수시킨 상황이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