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항공기 승객 색깔 분류 검색 추진
美 동성애자 고등학교 공식 개교
미국 뉴욕에서 동성애 학생들을 위한 고등학교가 처음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동성애와 양성애, 트렌스젠더 학생들을 위한 하비 밀크 고등학교 개교를 맞아 72명의 학생들이 반대 시위 속에 등교했습니다. 이 고등학교는 지난 85년 동성애자들을 위한 비영리 재단의 후원으로 문을 열었지만 공식 인가를 받지 못하다가 이번에 뉴욕시의 지원으로 대안학교로 공식 등록됐습니다. 윌리엄 살즈만 교장은 동료학생들의 놀림에 못이겨 동성애학생 3명 가운데 […]
뉴욕 지하철 독가스 테러 ‘경보’
미국 뉴욕 경찰은 9·11 테러 발생 2주년을 맞아 뉴욕 지하철에서 독가스 또는 화학 테러 공격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경계 강화 태세에 돌입했다고 뉴욕 포스트(NY Post)가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NYT)도 이날 9·11 테러 발생 후 2년이 지났지만 뉴욕 시민들은 여전히 뉴욕에서의 테러 재발 가능성을 매우 두려워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뉴욕 포스트는 이날 뉴욕 경찰이 구체적인 테러 정보를 […]
다운스윙은 허리붜 스타트 한다
백 스윙이 정확하게 정해진 대로 올리는 것이라면 다운스윙은 그것을 역으로 덧 그려가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다운 스윙을 할 때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허리부터 움직이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초의 움직임으로서 허리를 슬라이드 시키면서 회전하는 것, 즉 말하자면, 자신의 허리가 나무통 속에 있는 것 같은 느낌으로 턴(turn) 하는 것이다. 실제로 다운스윙에서 최초의 움직이는 […]
미국 증권 시장과 경기 흐름
현재 경기는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것 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2분기 국내 총 생산(GDP)은 예상했던 2.9%성장율보다 높은 3.1%를 보이고 있다. 특히 방위 산업 분야가 이라크 전쟁으로 많은 이익을 남겼고 소비자들은 꾸준히 자동차와 가전 제품을 구입하고 있어 1년 반만에 처음으로 기업 투자가 늘었다. 하지만 빠른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실업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노동 […]
부동산과 부동산 투자신탁
CHICAGO INVESTMENT GROUP LLC의 JOHN LEE (이현석)씨는 I.I.T. 대학에서 재정학을 전공하고 LOYOLA UNIVERSITY OF CHICAGO 경영대학원(M.B.A.)을 나왔다. 12년간 현장에서 직접 실무를 안정적이고 정확한 정보제공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앞으로 JOHN LEE씨는 금융부분 중에서 증권과 관련한 소식을 전달할 예정이다 1-866-467-3621 지난 5년 동안 부동산 시세는 꾸준히 올라갔다. 전국적으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38.3%가 상승하였으니 부동산이 호황을 누렸음에 의심의 여지가 […]
‘더 이상 벗지 마!’
100억원대의 ‘알몸’들이 이제 무대 뒤로 사라져간다. 적게는 수십억원, 많게는 100억원의 수익을 기대했던 숱한 스타들의 ‘알몸’ 드러내기와 누드열풍이 비로소 사그라질 조짐이다. 지난해 말 탤런트 성현아의 누드를 시작으로 연예인 누드 모바일 콘텐츠 유료서비스를 경쟁적으로 벌여온 국내 굴지의 업체들이 내년 초부터 이같은 서비스 제공을 지양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탤런트 성현아·권민중에 이어 가수 김완선·이혜영 등 […]
미, 한국전투병 이라크파병 요청
1개 여단규모 희망, 정부 “신중 검토” 미국이 이라크 전후 처리 과정에서 유엔 다국적군을 파병하는 문제와 관련 한국측에 사실상의 전투병인 ‘치안유지군’의 파견을 요청해 왔으며, 정부는 이 문제를 놓고 고심 중이라고 정부의 한 당국자가 밝혔다. 이 당국자는 지난 9일 “지난 3~4일 서울에서 열린 미래 한·미동맹 4차회의에 참석했던 리처드 롤리스 국방부 부차관보 등 미국측 대표단이 우리 정부에 유엔 […]
한인사회 단체 「세대교체 바람」 분다
4·29 폭동이후 자연스러운 세대교체 바람… 한인회·상공회의소·KAC등 젊은 세대 두각 기성세대 부정적 반응 불구 타운에 「신선한 바람」 기대 성숙한 봉사정신·문제의식 인식 필요 코리아타운에는 새 천년을 맞이한 이후 젊은 세대들의 진출이 괄목해 역동적인 한인사회로 변화해 가고 있다. 미주 한인사회에서 “1.5세대”라는 어휘가 생겨난 이후 당시의 20대는 이제 40대가 됐다. 10여년 전 ‘사-이-구 폭동’을 겪으면서 사회봉사단체와 비즈니스 등을 포함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