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현대-기아차 불량차 민원 집중추적 보도

이 뉴스를 공유하기

본보는 올 들어 7회에 걸쳐 국내 최대 자동차 기업인 현대-기아차의 불량과 딜러들의 부실 운영에 걸쳐 집중 보도해왔다. 타 언론매체에서 전혀 보도되지 않는 현대-기아차 문제점들의 민원은 결국 본보에서만 다루게 되었다. 나아가 타 언론에서의 상반된 보도는 더욱 소비자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국내차들의 하자에 대한 지적은 찾아볼 수 없고 심지어 7월 들어 판매가 크게 늘었다는 보도가 있는가하면, 7월에 큰 폭으로 소비가 부진하다는 식이었다. 소비자의 지적 대신 광고가 차지한 언론 현실을 안타까워 할 뿐이다. <선데이 저널>이 소나타 전 차량 리콜사태와 현대차의 문제점을 보도한다.
심 온 <탐사보도팀>
 
8월 시작과 함께 현대자동차가 미국과 푸에르토리코에서 판매된 소나타 88만3,000대의 리콜을 발표했다.
전국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현대차가 소나타의 자동변속장치 결함과 관련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자동변속장치의 전환케이블이 기어 전환 레버(시프트레버)와 분리될 위험 때문이다.
기어 전환 레버를 움직이는 자동변속장치가 이를 받아들여야 정상적이지만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주차하기 위해 ‘P’로 레버를 놓았는데도 자동변속장치가 주행 모드인 ‘D’나 후진 모드인 ‘R’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결함과 관련해 지금까지 1,171건의 보증수리 요청이 있었으며, 7건의 사고도 있었다고 현대차는 밝혔다. 결국 말썽 많은 급발진의 원인이 드러난 셈이다. 정지해야 할 자동차가 멋대로 발진한다면 생명위험은 물론 사고 발생은 당연한 귀결이다.

리콜대상 차량은 소나타 2011년∼2014년 모델로 이날부터 9월말까지 차량 소유자 전체에게 리콜 사실이 개별 통보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현대차는 1주일 전에도 135만 대 이상을 리콜했다.
지난달 30일 변속기어케이블 결함으로 2011~2014년형 쏘나타 88만3000대와 브레이크 결함으로 2015년형 쏘나타 5만6500대를 리콜한 현대차는 1일 싼타페, 쏘나타, 베라크루즈 등 41만9000대를 각기 다른 결함으로 추가 리콜했다.
이로써 지난해 총 9회에 걸쳐 222만8185대를 리콜 한바 있는 현대차는 이번 주에만 3차례에 걸쳐 총 135만8500대의 리콜을 기록하게 됐다.

▲ 지난달 새로 부임한 현대차 미주법인(HMA)  한창환(55) 법인장.

사태의 심각성 때문에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전용기편으로 현지로 출발해 LA와 생산공장에서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정 회장은 2박3일 일정으로 캘리포니아 미주법인과 앨라바마, 조지아주를 전격적으로 15개월 만에 방문한다.
현대차미국법인(HMA) 관계자는 “지금까지 리콜 된 차량 가운데 일부 수리는 건당 20분이면 끝낼 수 있으며 9월말부터 전국의 830여개의 딜러를 통해 신속하게 리콜 수리 무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면서 “이번 리콜과 관련된 사고나 사상자는 없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대차의 발표와는 달리 본보(931호, 5월 25일자)에 이미 보도된 것처럼 구입한지 3주된 새 소나타가 달리던 도중에 핸들 작동이 안 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러나 101 버몬 현대차 딜러 담당자들은 본사에 보고조차 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는가 하면, 제대로 수리마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고객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정몽구 회장도 미주방문

당시 차주는 “더 이상 불안해서 차를 운행할 수 없으니 3주밖에 안된 차이니 교체를 요구했으나 끝내 모른 체했다” 면서 하소연 했다. 이어 “다시는 현대차를 구입하지 않을 것이며 주위에도 이런 황당한 사실을 알려 제2, 제3의 사고를 막으려 한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7월 20일자 (본보 938호) 보도에는 구입한 5주된 하이브리드 풀옵션 소나타가 시동이 안 걸려 상가 주차장과 도로에서 곤욕을 치루기도 했다.
이런 황당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현대차에서는 고객에게 충분한 서비스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더욱 분통을 터트리게 하고 있다. 견인차를 불러도 2시간여 만에 나타난 것은 물론 억울하고 황당한 고객에게 렌트카마저 제공하지 않고 택시를 이용하게 하거나 흡족한 수리조차 않고 있는 실정이다.
차주 황 모 씨는 “3만 불짜리 새 차가 몇 번씩 시동이 안 걸리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 연이어 발생했음에도 딜러에서는 무신경했다. 당시 상가 주차장입구에서 수십 대의 차들이 빠져나가려고 소동이 벌어졌으나 견인차마저 늦게 도착해 치욕적인 상황을 경험해야만 했다”고 토로했다.

리콜 대상 차량은 반드시 수리 마쳐야

이어 “도저히 참을 수 없어 변호사와 상의해 레몬법 소송을 진행 중인데 꼭 승소해서 소비자 권리를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나타 차주는 “차 사자마자 브레이크가 이상해 101 버몬 현대딜러를 찾았는데 담당자가 아무 이상이 없다는 말만 했다 그러나 몇 번을 더 찾아가 확인한 결과 2주일을 수리해야 할 정도 하자 있는 차였다” 면서 그동안의 수고와 시간 낭비를 하소연하기도 했다.
또 “누가 새 차를 타면서 하자있는 문제의 차를 위험을 감수해 가며 타려 하겠는가”라고 말하고 “어떻게 이런 차로 일제 미국제 차와 경쟁할지 걱정이 앞선다” 면서 “비싼 광고보다는 고객 만족과 감동이 더 필요한 점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최근까지 현대차의 리콜사태를 종합해보면, 지난 26일에는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현대차 소나타 차량의 에어백 결함에 대한 조사를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교통안전국은 “지금까지 83건의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며 “안전벨트 버클 안에 센서가 고장이 나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교통안전국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에어백 경고등이 커진다”고 밝혔다. 특히 이 같은 결함은 충돌 사고 전에 안전벨트를 조여 주는 장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교통안전국은 전했다.
조사 대상은 2006~2008년에 제조된 소나타 차량 39만4000대다. 교통안전국은 이번 조사로 리콜 조치할 수 있지만 아직까진 조사 단계에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국내에서도 현대-기아차의 리콜사태는 심각하다.
현대-기아자동차가 쏘나타 등 주요 차종에 대해 대규모 리콜을 하게 됐다.
현대-기아자동차가 2007년 6월21일~2011년 8월15일 사이에 만들어 판 쏘나타·투싼·K5·포르테 등 15종 66만2519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리콜을 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리콜은 국내 최대 규모다. 현대-기아차는 미국 등 국외에서 판매된 동일 차량에 대해서도 리콜 여부를 검토하고 있어, 향후 리콜 대상 차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리콜 이유는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고, 제동등이 켜지지 않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정속주행장치(크루즈 콘트롤)와 차체자세제어장치(VDC·차량이 흔들리지 않게 차체를 바로잡는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견됐다.

리콜 대상 차량 수리도 어려워

이는 지난 4월 리콜된 아반떼와 싼타페 등 현대-기아차 차량 6종 16만2509대에서 나타난 결함과 동일하다. 국토부는 “리콜 대상 차량의 적정성을 조사하던 과정에서 (동일한 부품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돼) 대상 차량을 확대해, 이번에 추가로 리콜을 시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리콜로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 등으로 국내에서 리콜하는 현대·기아차 차량은 82만5028대로 늘어났다. 현대-기아차는 해당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으로 시정방법 등을 알릴 예정이다. 해당 차 소유자는 다음달 1일부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앞서 현대-기아차는 지난 4월 동일한 브레이크 스위치 결함으로 미국에서 168만3482대를 리콜한 바 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국내에서 리콜 대상 차량이 추가됨에 따라 미국 등 해외에서 판매된 동일 차량에 대해서도 리콜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단순히 부품만 교체하면 되는 문제라 그리 큰 부담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히, 올해 들어 상반기에만 미국에서 4000만대가 넘게 리콜된 가운데 자동차 브랜드에 따라서는 리콜 관련 수리를 받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부품부족 및 수리예약에 어려움을 겪으며 리콜 프로세싱이 늦어져 리콜된 차량들 중 약 70%만이 수리조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자 자동차 업체들에게 리콜 수리비율을 높일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실제로 점화스위치 결함으로 지난 2월에만 260만대 리콜을 시작으로 미국에서 2600만대를 리콜한 GM의 경우, 리콜수리용 부품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현재까지 수리를 받은 차량은 지난 7월말 현재 60여만 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콜 이후 100만개의 점화스위치를 생산한 제조사 델파이사도 8월말까지 생산량을 200만개로 늘릴 예정이지만 10월에나 리콜수리를 종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말로는 고객 편의와 서비스 향상 내세워

NHTSA는 크라이슬러에게도 1년 전 리콜 조치에 들어간 짚 SUV의 연료탱크 결함 수리를 조속히 끝내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하지만 리콜 통보를 받은 소비자들이 몰리면서 딜러에 리콜 수리 예약을 잡기도 어려워져 리콜 수리를 뒤로 미루거나 아예 받지 않는 경우도 빈발하고 있어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NHTSA는 아무리 사소한 내용이라도 리콜 통보를 받게 되면 반드시 수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관련법까지 개정해 중고차 매매시 리콜 수리가 끝났는지도 의무적으로 조사하도록 하고 있다.
리콜 대상 차량 소유주는 리콜과 관련된 수리에 대한 비용책임이 없으며 만일 리콜 발표 이전에 해당 부품을 수리 했을 경우에는 자동차업체로부터 환불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NHTSA규정에 따르면 자동차업체는 판매일 부터 10년까지 리콜 관련 수리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해야 하지만 일부 부품은 단절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한편 이사 등으로 주소 이전이 돼 리콜 통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보유한 차량과 관련된 리콜이 발표되면 반드시 www.nhtsa.govwww.safercar.gov를 통해 해당되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또한 내달부터 모든 자동차업체들이 의무적으로 제공해야하는 리콜관련 온라인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