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스토리] 한인회관 화재보험금 불법전용 의혹

이 뉴스를 공유하기



















LA 한인회관의 유지·관리를 책임진 한미동포재단(이사장 김영태)이 지난해 말 발생한 LA 한인회 화재사건 당시 보험금으로 지급된 28만 달러를 불법 전용한 정황이 드러나 파문이 일 전망이다. 한미동포재단은 진상 조사를 위해 자체 조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내홍에 휩싸였다.
이번 의혹과 관련해 특히 김영태 이사장은 화재복구 공사 담당 업체로 자신의 개인회사를 선정했으며 보험 청구 업무 역시 아들에게 위탁하는 등 비영리재단 이사장의 직책을 남용해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이사장은 또 한인회 김영 총무이사와 공동으로 화재복구공사 관련 업무를 재단 사무국을 통하지 않고 자기들끼리 별도의 은행계좌를 통해 개인적으로 처리한 혐의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화재복구 공사 과정에서 자격 미달의 업체들과 계약해 갖가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으며 일부 영수증은 증빙관계를 입증할 수 없는 등 회계에도 구멍이 뚫린 사실이 확인됐다.
더구나 김 이사장은 화재복구 보험금에 대한 의혹을 숨기기 위해 한인 언론사를 대상으로 로비를 벌인 정황도 포착됐다.
만약 화재복구 보험금을 지불한 CNA보험회사가 한미동포재단을 상대로 감사를 벌이면 일은 겉잡을 수 없이 커진다. 자칫 한미동포재단이 보험사기를 벌인 것으로 드러나면 비영리재단의 위상이 추락하는 것은 물론 한인사회의 이미지에도 먹칠을 하게 된다.
현재 22명의 재단 이사진 중에는 LA총영사, LA한인회장도 포함돼 있다. 이들이 엄청난 비리에도 침묵하고 있다는 것 역시 미심쩍다. 한인 커뮤니티의 대표적 상징물이나 다름없는 한인회관을 관리하는 한미동포재단에서 이사장과 총무가 직권을 남용한 혐의로 조사위원회가 구성된 것은 이례적인 사건이다.
<선데이저널>은 사건이 수면위로 드러나기 전인 약 1개월 전 관련 제보를 입수, 심층취재를 벌여왔다. 한인회관 화재보험금 전용 의혹과 한미동포재단 내의 비리행위에 대한 모든 진실을 본지가 독점 공개한다.
                                                                                                  <특별취재반>



김 이사장과 관련된 비위 의혹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는 화재복구 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모 이사의 부인이 수술을 받자 거액의 위로금을 줬다 퇴짜를 맞았다. 또 화재복구 공사 과정에서 불거진 의혹에 대해 자체 조사위원회가 구성되자 조사위원을 담당한 인사에게도 돈 봉투를 건넸다 거절당하기도 했다.
김 이사장이 관련 의혹을 무마하려 뇌물을 뿌리려다 실패한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조사위원회에 대한 로비가 실패하자 김 이사장은 특정 한인 언론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로비를 시도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27일 오후 7시경, LA 한인회관 내 LA한인회 사무실에서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했다. LA소방국 소속 소방차 11대가 출동했고 소방당국에 따르면 화재 원인인 합선인 것으로 밝혀졌다.
불이나자 전력이 끊어져 한인회관의 모든 전산업무가 일시 마비됐으며 이후에도 사건 후유증으로 한인회관에 입주한 LA 한인회와 기타 단체 및 업소 등이 큰 불편을 겪었다.
한인회관의 유지 관리를 책임진 한미동포재단은 소방국의 화재원인 보고서를 작성해 시정부에 전기선 복구 허가를 받고 보험사인 CNA에 화재복구비를 청구했다. CNA는 1차 3만 달러를 시작으로, 총 28만 달러의 화재보험금을 한미동포재단에 지급했다.


공사업체 선정과정 미스터리


화재복구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재단 일부 이사들은 화재복구 공사가 얼마나 진척됐는지 사무국에 문의하였으나, 돌아오는 대답은 ‘잘 모르겠다’였다. 재단 사무국이 재단이 관리하다 전소된 한인회관의 복구공사 과정에 대해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복구공사가 막 시작됐을 때는 한림건설이 공사를 담당했었다. 그런데 이후 해당 공사는 미드타운 인베스트먼트라는 회사가 시공을 맡았다. 공사 업체가 바뀐 것이다.
이에 대해 일부 재단 이사들은 공사관련 보고 체계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갖기 시작했다. 과거 전임인 김시면 이사장이 재직할 당시에도 한인회관 개축공사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으나 적어도 관련 사항은 재단 사무국이 직접 관장해 이사들에게 정기적으로 보고했던 탓이다.
본지 취재결과 해당 공사 과정은 처음부터 김영태 이사장과 김영 총무가 모든 진행과정을 관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시공사가 김영태 이사장이 운영하는 업체라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조사위에 관련 서류 안 보여줘”


최근 본지가 입수한 관련 서류에 따르면 한인회관 복구공사는 처음부터 김 이사장의 입맛대로 재단됐다. 지난 8월 31일 정기 이사회에서 해당 의혹에 대한 조사위원회가 구성됐고 박형만 전 이사장과 최문환 이사가 조사위원으로 선정했다. 조사위는 이미 두 차례의 진상조사를 통해 보고서 작성을 마쳤다. 본지는 해당 보고서도 단독 입수했다.
지난 5일 박 위원은 재단 이사 22명 전원을 상대로 조사 진행 상황을 보고했다. 박 위원은 보고서에서 “지금까지 여러 의혹이 있음을 구두로 지적하였으나 본인들(김영태 이사장, 김영 총무)들이 반성하며 뉘우치는 모습이 전혀 없고, 오히려 ‘조금도 잘못이 없다’고 한다”며 “조사위가 관련 서류들을 볼 수 없게 방해하는 것은 스스로 잘못을 시인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조사위원들은 지난 9월 20일과 30일 김영태 이사장과 김영 총무를 상대로 두 번째 질의를 했으나 역시 성실한 답변을 얻지 못했다. 조사위와 본지가 확인한 사실에 따르면 공사를 담당한 미드타운 인베스트먼트 컴퍼니(Midtown Investment Co.)는 김영태 이사장의 개인 회사였다.
더구나 미드타운 인베스트먼트는 건축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아님에도 담당 업체로 선정됐다. 조사위가 이에 대해 따지자 김 이사장은 “회사 업종 가운데 건설업도 포함돼 공사가 가능하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김 이사장의 전횡은 이 뿐만이 아니었다. 그는 복구공사 진행을 대행할 담당 변호사로 아들인 지미 김 변호사를 선임하고 수임료 1만5000달러 가운데 5500달러를 먼저 지급했다. 일부 금액을 미리 결제한 것에 대해 김 이사장은 “나머지는 깎아달라고 할 예정”이라는 애매모호한 답변을 늘어놓았다.
문제는 화재 복구공사는 재단의 공적 사항임에도 모든 과정이 재단 이사회의 논의를 전혀 거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재단을 위한 공적 업무에 이사장이 아들에게 이를 위임했다는 것도 명백한 규정위반이다.
김 이사장은 화재복구사업에 관한 서류들은 아예 봉인하고 이사들에게도 보이지 않았다.  ‘재단의 중요 문서가 언론 등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게 이유였다. 관련 서류들은 김영태 이사장과 김영 총무 이사가 임의로 보관하다 공사가 모두 끝난 지난 8월 중에야 사무국장에게 인계됐다.
이에 김 이사장은 “기존 회계와 혼동되는 것을 피하고, 사전에 내부 업무회의에서 결정된 사항들을 정리한 서류가 갖춰지면 사무국과 회계사, 감사에게 제출하기로 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 이사장과 김 총무는 화재복구공사와 관련된 은행 계좌 주소를 한인회관 내 재단 사무실이 아닌 ‘3900 윌셔 불러버드’로 하고 일을 처리했다. 이 곳은 다름 아닌 김영태 이사장의 개인 사무실이다. 조사위가 증거를 들이대며 묻자 김영태 이사장과 김영 총무는 무응답으로 일관했다.




동포재단, ‘보험사기꾼’ 전락하나


문제의 공사와 관련해 김영태 이사장과 김영 총무가 비영리재단의 회계 관리 규정을 상당부분 위반했다는 의혹은 이상의 정황으로 볼 때 사실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앞서 언급한 대로 회관 복구공사를 담당한 미드타운 인베스트먼트 컴퍼니는 김영태 이사장의 개인 회사다. 재단은 화재 복구공사 명목으로 2009년 8월 10일 재단 명의의 수표(번호3234)로 1만2500달러를 지불했다. 이 수표에 서명을 한 것은 다름 아닌 김 이사장과 김 총무였다.
조사위는 해당 업체가 건축 관련 허가를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려 했으나 업체 측이 이에 불응했다.
공사와 관련한 회계 영수증에도 구멍이 뚫렸다. 홈랜드 빌더(Homeland Builder Co.)는 복구공사에 참여조차 하지 않았지만 지난 8월 20일 7150달러를 받아간 영수증이 나온 것. 김 이사장과 김영 총무는 지난 8월 31일 정기 이사회에 지출 사실을 보고했다.
조사위가 이에 대해 질의하자 김 이사장은 “홈랜드는 공사견적에 참여했고 발주는 다른 회사가 했다”며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행정착오가 생긴 것 같다”고 둘러댔다. 그러나 은행 서류에 따르면 문제의 7150달러는 401 S. Hoover Property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이사장 개인 회사인 미드타운 인베스트먼트에는 지난 8월 7일자 수표(번호 3101)로 8757여 달러가 지급됐다.
또한 Woory Disposal Service Co.의 명의로 2009년 3월 4일 체크 1만80달러짜리 수표가 김 이사장과 김용 총무의 서명으로 지출됐다. 이에 대한 영수증을 만들어 김용 총무가 사인한 것이 회의록에 수록되었다.
그러나 조사위에 따르면 문제의 회사가 엘 몬티 시에 소재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현장 답사결과 해당 업체는 이 곳에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이사장이 회사 이름을 도용해 영수증을 임의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한편 김영태 이사장은 복구공사가 마무리 되는 지난 8월 전후로 도를 넘어선 수준의 경조사를 행한 사실이 드러나 의심을 사고 있다. 지난 9월 재단 양회직 전 이사장의 부인이 수술 후 퇴원하자 그는 위문 카드 속에 현금 1000달러를 넣어 보냈다.
양 전 이사장의 부인은 지난 9월 10일 김영태 이사장에게 돈을 직접 돌려줬다. 김 이사장은 “병원 수술 위로금으로 드린 것인데 부담이 된 듯 돌려줘 받았다”고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지난 9월 5일 화재복구 조사위원인 최문환 이사에게도 돈 봉투를 건네려 했으나, 최 이사가 이를 거절했다. 김 이사장은 이에 대해서도 “예전에 그가 직접 부탁해 줬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지난해 최 이사는 성시화 대회 관계로 김 이사장에게 기부금을 요청한 적이 있다. 그러나 해당 행사는 이미 지난해 끝나 지금 기부금을 준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
김 이사장은 지난 8월 10일 자 수표(번호 32791, 3278)로 김영 총무에게 3000달러, 신종욱 사무국장에게 2,000 달러씩을 주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정상적인 지출”이라고만 할 뿐 왜 이들에게 돈을 줬는지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한편 이번 화재복구공사 의혹에 대해 김영태 이사장은 본보 질의서에 답변을 보내 “본 공사는 재단감사가 하자가 없다고 보고된 내용”이라며 문제가 된 것은 “일부 이사의 개인적인 음모”라고 일축했다. 또 그는 “미드타운 인베스트는 내부공사 정도를 할 수 있는 회사”며 모든 사항을 “운영위와 이사회에서 결의 위임 받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김 이사장은 경조비 지불 건에 대해 “개인적인 지불이기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고, 재단자금 지출은 정관에 따라야 하지만 본 공사비 지출운 별도로 이사회에서 위임받아 처리해 하자가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이 관련 의혹을 무마하려 뇌물을 뿌리려다 실패한 정황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조사위원회에 대한 로비가 실패하자 김 이사장은 특정 한인 언론사를 대상으로 로비를 시도하기도 했다.
한편 지난 8월 31일 정기 이사회 당시 이사회에서 복구공사 관련 조사위원회 구성안이 동의와 제청을 얻었음에도 김 이사장이 이사들에게 가부를 묻지 않은 채 무리하게 회의를 진행했다는 주장도 불거졌다.
또 복구공사와 관련해 보험사인 CNA가 감사를 실시할 경우, 한미동포재단이 무허가 업체에 공사를 수주하고 증빙서류로 마련하지 않은 것에 대해 ‘보험사기’로 몰릴 가능성도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