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300m 지하에 `비밀땅굴’이 있다?

이 뉴스를 공유하기









북한의 수도 평양에 유사시 김정일 국방위원장 등 수뇌부의 대피로로도 쓰일 수 있는 300m 깊이의 비밀 땅굴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런 주장을 한 당사자는 바로 북한 권부의 핵심에 있다가 1997년 남한으로 망명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8일 탈북자들이 운영하는 자유북한방송에 따르면 황 전 비서는 7일 이 방송에 출연, “평양 지면 아래 약 300m 지점에 지하철도(지하철)와 다른 제2의 지하세계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황 전 비서는 남한에 망명한 이후 12년간 셀 수 없이 많은 외부 강연을 다녔지만 평양의 `비밀 땅굴’에 대해 언급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1973년부터 운행된 북한의 지하철은 100∼150m 깊이에 만들어져 유사시 핵공격에도 견디는 초대형 방공호로 쓰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황 전 비서의 말대로라면 이 평양 지하철보다도 방호력이 한 차원 높은 `난공불락’의 초대형 `지하 벙커’가 하나 더 존재하는 것이다.



황 전 비서는 방송에서 수십년 전 우연히 평양 지하철과 연결된 비밀 지하땅굴에 직접 가봤다고 말했다.
그는 “지하철도 공사를 책임지던 경비대장이 찾아와 병사들과 대학생들 간의 폭행사건 처리를 부탁하며 공사현장에 초대했다”며 “지하철도로 내려간 뒤 그곳에서 또 지하철도 깊이만큼 다시 내려갔다”고 회고했다.
황 전 비서는 또 이 비밀 땅굴이 유사시 김정일 국방위원장 등 수뇌부를 위한 대피로이며 남포, 순천, 영원 등 주변으로 40∼50㎞나 뻗어 있다고 증언했다.
그는 “평양에서 순천의 자모산까지 뚫린 40㎞ 땅굴 속에는 깨끗한 샘물과 새파란 풀이 있었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그는 특히 “평양 철봉산 휴양소에서 남포항까지 땅굴을 뚫어 놨는데 이곳을 통해 유사시 (김정일 국방위원장 등이) 중국으로 도주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을 주축으로 한 유엔군의 공중 폭격으로 큰 타격을 입었던 북한은 전후 복구 과정에서 `갱도’라고 불리는 방공호를 곳곳에 파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 집결소 감금자 75%, 처형 목격”

북한의 집결소에 감금된 경험이 있는 사람 중 75%가 감금 기간 처형을 목격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스테판 해거드 교수와 미 피터슨연구소 마커스 놀랜드 부소장은 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발표한 `북한의 억압과 처벌:수용소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보고서에서 북한의 구금시설에 감금된 경험이 있는 응답자 102명 중 13명만이 재판을 받았다고 대답, 북한에서 형사 처벌시 정상적인 법적 절차가 무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비교적 죄질이 약한 범죄자를 수용하는 집결소 피감금자의 경우 감금 기간 처형을 목격했다는 응답자는 75%였고, 급식 박탈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100%였다. 또 고문과 구타로 인한 사망을 본 적이 있다고 답변한 사람도 50%에 달했다.
또 경범자에게 강제노역을 시키는 노동단련대 감금자 중에서도 처형(60%), 급식박탈(90%), 고문과 구타로 인한 사망(20%) 등 처벌을 목격했다는 응답이 나왔다.
이 보고서는 북한에서 시장경제 활동에 종사하는 북한 주민들에게 억압적 형벌이 적용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기본적인 상업활동조차 금지돼 있고 단속 관리들에게 상당한 재량권이 부여돼 있어 주민들이 북한 체제에 대해 갖는 주요 불만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개인이 불법적으로 상행위를 해서 대량의 이득을 얻은 경우 최고 2년의 노동단련형을 규정하고, 불법적으로 돈 또는 물건을 주고 개인에게 일을 시킨자는 2년 이상, 5년 이하 노동교화형에 처하도록 해 개인적 경제활동에 대한 금전과 물건의 수수를 포괄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또 2007년 형법을 개정하면서 다수의 경제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국유재산 절도, 마약거래, 매춘조직을 운영했을 경우 사형도 가능하도록 했다는 것이 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보고서는 북한의 형벌제도가 주민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형벌을 피하기 위해 당국자들에게 뇌물제공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약탈적 부패가 일어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체포.선고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유치.체포.감금 등에는 비싼 대가를 지불해야 해 주민들이 이를 피하기 위해 공공연하게 관리들에게 뇌물을 바친다”며 “형벌 경험이 많고 고통스러울수록 더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주민들에 대한 강탈은 더욱 쉬워진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감금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억압장치와 북한의 체제에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저항은 불가능하다”며 “이는 북한이 집단행위에 대한 장벽이 높고 정치적 반대행위가 전혀 허용될 수 없는 `극도로 개체화된 사회(highly atomized society)’라는 특성을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