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불안에 떠는 러시아인들

이 뉴스를 공유하기

“우리도 북한처럼 될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로부터 점차 고립돼온 러시아 내에서 북한에 대한 관심이 최근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인들 사이에서‘북한처럼 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늘면서 인터넷에서‘북한’을 검색하는 러시아인들이 늘어난 것이라고 RFA(자유아시아방송)이 보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최근(3월 8일) 러시아를 대상으로 한 더 강력한 경제제재를 공언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경제가 이미 큰 타격을 입었다고 덧붙였다. <특별취재반>

러시아 북한화 우려 급증

실제 러시아의 루블화 가치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폭락했고 러시아는 국제사회로부터 점차 고립됐다. 이런 상황 속에서 북한에 대한 러시아 국민들의 관심이 최근 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적인 대러 경제제재가 이뤄지고 글로벌 기업들이 러시아 내 영업 중단을 속속 선언하면서 ‘북한처럼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러시아인들을 덮친 것이다. 세계 최대 인터넷 검색 사이트인 구글이 검색 횟수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한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북한’에 대한 관심은 최근 급증했다. 러시아 내 ‘북한’ 검색은 우크라이나 사태 시작 직후인 지난 달 24일 평소보다 6배 가까이 증가한 이후 이 달 1일에는 10배 가까이 늘었다. 지난 4년 동안 검색 횟수가 가장 많았던 때를 100으로 가정하면, 평소 10을 웃돌던 러시아 내 북한에 대한 관심도가 2월 24일 63을 시작으로 3월 1일 최고치인 100을 기록한 것이다. 러시아 주민들도 최악의 경우 북한처럼 될 수 있다고 공개적으로 우려했다. 핀란드와 국경을 접한 러시아 지역민인 다샤 키릴로바씨는 (9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러시아가 북한과 같은 상황으로 변한다면 주저 없이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페트르 오부호프 러시아 오데사주 시의회 의원도 (7일) 프랑스 24에 북한이 완전히 고립된 나라 라며 러시아의 북한화를 우려했다. 페트르 오부호프는 “경제제재가 러시아에 실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는 러시아 경제를 파괴하고 있다. 러시아를 북한처럼, 완전히 고립된 나라로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7일 기준) 총 5천 532건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경제제재를 받는 나라로 이미 북한을 추월했다.

마이클 맥폴 전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는 (10일) CBS에 러시아 스스로 북한이 되려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마이클 맥폴은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를 말 그대로 북한으로 만들고 있어요. 그는 러시아 국경을 차단하려 하고 심지어 인터넷을 끊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 중이죠. 많은 기업도 러시아를 떠났고, 꼭 러시아가 왕따국가(Pariah State)가 된 것만 같아요”라고 말했다. 탈북민들도 러시아가 북한처럼 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는 모습이다.

‘북한’ 검색은 종전보다 10배

▲ 우크라이나 전쟁 참가를 반하는 러시아 시민 항의

북한 특수부대 출신 탈북민 김신영 (신변 보호를 위해 익명 요청) 씨는 구 소련 시절부터 북한 주민들에게 러시아는 선망의 대상이었다고 털어놓았다. 김신영은 “저도 어렸을 때도 소련 영화는 많이 보여줬어요. 외국 영화 일절 안 보여주는데 옛날 부터 소련 영화는 많이 보여줬단 말이에요. 아무튼, 우상이었죠. 지금도 어렸을 때 기억이 생생한데 영화, 소련 문화, 음악, 소련 사람들 패션까지도 한 80년대에 남한 사람들이 미국을 생각하듯이 그런 존재였죠.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가 생겼는데 그 때만큼은 아니지만, 북한 사람들은 지금도 러시아 하면 대단한 나라라고 생각하죠”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러시아의 형편은 북한과 많이 다를 걸로 예상한다. 그러나 러시아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당국의 감시와 통제가 심해진 것은 북한의 경우처럼 위험 스런 상황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반면 북한 주민들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의 고립에 주목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탈북민 출신인, 영국 인권단체 ‘징검다리’ 박지현 대표는 러시아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됐다는 것과 양국 국민들이 겪는 고통을 북한 주민들이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지현은 “북한 주민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전쟁이 일어났다고 해서 크게 관심을 가질 정도가 아니거든요. 왜냐하면 북한 주민들 자체가 하루하루 살아가야 하는 본인들의 삶이 있기 때문에 해외 정세에 아직 그렇게 눈 돌리고 거기에 관심을 가질 만큼 그러한 그런 여유가 아직은 없다고 봐야 하겠죠”라고 말했다. 재일 언론인으로 북한 경제 전문가인 문성희 박사는 러시아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인식이 바꿀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문성희는 “별로 러시아에 관심이 없다고 봅니다. 중국은 가깝고 오가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러시아 사람들을 보는 것도 드물었지요”라고 밝혔다.

푸틴에 등 돌리는 러시아인들의 두려움

그는 우크라이나를 무력 침공한 푸틴 대통령이 앞으로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켄 고스는 “푸틴 대통령은 그가 벌인 상황 때문에 그는 점점 더 궁지에 몰리게 되었고, 이제 세계의 제재와 비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 국민들에게 해명할 명분조차 없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를 선제공격하지 않았는데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파괴하고 있어요. 결국, 푸틴 대통령은 이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국제사회로부터 완전히 고립돼 ‘북한처럼 될 수 있다’며 러시아인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는 사이 굳굳히 러시아 편에 선 북한 당국을 바라보는 탈북민들은 착잡한 심경이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