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장하성 동생 펀드투자 게이트 파문 디스커버리 투자 명단 내역 실체 공개

이 뉴스를 공유하기

핵심권력실세 ‘장하성 – 김상조 – 김홍일  – 채이배’ 등 투자

디스커버리 환매중단이전에
‘그들만 투자금 돌려받았다’

■ 2020년 11월 본보 ‘해외[한국인]투자자 최소 54명’보도 사실로
■ 투자내역 보니 2019년 2월까지 한국58명–1억9천만 달러 투자
■ 모두 케이만군도입금 디스커버리 공식계좌 50여명 VIP 가능성
■ 경찰 ‘文정부 초대-2대 정책실장 투자’ 압색 때 VIP 파일 확보

1년여 전 본보가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 운영하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VIP투자자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명단이 공개되면 깜짝 놀랄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도했었고, 드디어 이 보도가 사실임이 입증됐다. 디스커버리자산 환매중단을 수사하는 경찰이 VIP 투자자 명단을 확보했으며, 이 명단에는 문재인정부의 초대와 2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대사, 김상조 전 실장 등 문 정부 권력 핵심 실세들이 포진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들은 환매중단 이전에 투자금 중 일부나마 회수한 것으로 알려져, 특혜임이 입증될 경우 무더기 사법처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문재인 정부가 뭉갤 경우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새 정부에서 재수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보확인결과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다이렉트렌딩에 투자한 계정이 최소 58개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특별 관리를 받는 VIP는 최대 50명에 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안치용 시크릿 오브 코리아 편집인>

장하성‘또 하나 특이한 점은 다이렉트렌딩이 장하성 동생 펀드 이전에 해외투자를 받지 못했지만, 2018년 12월 현재 해외투자자가 54명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 돈은 모두 케이만군도 법인으로 입금됐다. 해외투자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지만 장 씨와 친분이 있는 한국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장하성 동생의 케이만군도펀드에도 디스커버리 법인 이외에 개인의 자금이 별도로 투자됐고, 장 씨가 이 법인에 전권을 행사, 부당이득을 챙겨주려 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해외투자자가 누구인지 드러난다면 깜짝 놀랄 일이 발생할 수 있는 셈이다’ 지난 2020년 11월 본보 1215호 보도가 정확했음이 1년 2개월여 만에 입증됐다.

장하성 김상조 김홍일 채이배 등 투자

서울지방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가 지난 9일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 장하원 씨를 소환하는 날, 문재인정부의 초대와 2대 청와대 정책실장이 이 펀드에 투자했고, 장하원 씨가 이들 투자자를 정리한 VIP투자자명단 파일을 작성, 별도로 직접 관리했음이 밝혀졌다.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 자산운용 압수수색 때 VIP 투자자 명단파일을 압수하고도 쉬쉬하다 결국 그 존재 사실이 드러남으로써, 문재인정권 실세의 투자사실을 숨기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명단에 따르면 장 씨의 친형인 문재인정부의 초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뒤 현재 주중대사를 맡고 있는 장하성대사, 문재인정부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을 지낸 뒤 장 대사의 뒤를 이어 2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상조 전실장이 각각 60억여 원과 4억여 원을 투자한 것으로 돼 있다.

또 채이배 전 바른 미래당의원[현 민주당 공정시장위 공동의원장], DJ의 장남인 고 김홍일의원, 그리고 장 대사와 친분이 있는 고려대 교수 등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장 대사는 지난 2020년 10월 국정감사에서 자신이 설립한 고려대내 기업 지배구조연구소와 자신이 기금관리위원장을 맡고 있을 때 한국금융학회가 동생펀드에 투자한 사실을 인정했지만, 정작 자신의 투자 사실은 꼭꼭 숨겼었다.2020년 11월 당시 본보는 2019년 4월 12일자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 1차보고서, 2019년 6월 28일 법정관리인 2차보고서, 2020년 11월 20일 법정관리인 자산분배계획서 등을 토대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자신들의 공식펀드 이외에 한국의 특정인을 위해 별도로 투자계정을 만들어 다이렉트렌딩에 투자했다고 보도했었다.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은 지난 2019년 10월 25일 3차보고서에서 포워드파이낸싱이 법정관리이전에 2350만달러를 모두 상환했으며, 2019년 10월 18일현재 DL글로벌 상환분으로 960만달러 및 170만달러, 즉 1130만달러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은 지난 2019년 10월 25일 3차보고서에서 포워드파이낸싱이 법정관리이전에 2350만달러를 모두 상환했으며, 2019년 10월 18일현재 DL글로벌 상환분으로 960만달러 및 170만달러, 즉 1130만달러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 보고서에 따르면 다이렉트렌딩은 미국 내 투자자이외에 해외투자자들은 케이만군도에 설립한 ‘다이렉트렌딩 인컴피더펀드’를 통해서만 투자를 받았고, 해외투자는 오로지 디스커버리자산을 통해서만 이뤄진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1차 보고서에는 2018년 11월 30일까지 해외투자자 어카운트가 모두 54개에 투자액이 1억 7958만 달러에 달했고,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2월 1일, 즉 분식회계가 적발돼 법정관리에 들어가기 직전까지 2개월간 해외투자자 신규어카운트가 4개 늘었다고 밝혔다. 디스커비리자산운용을 통한 투자어카운트가 2018년 11월말까지는 54개, 2019년 1월말까지는 58개에 달했다. 이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자신들이 펀드판매를 통해 조성한 자금을 투자한 계정 이외에 별도의 계정이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신들 펀드 투자계정과 별도계정이 바로 VIP투자자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이다.

장하원VVIP50명 사고이전에 돌려받았을 듯

법정 관리인은  2차 보고서에서도  2018년 12월 1일까지 해외투자자는 54명, 1억 7958만 달러, 그 뒤 2개월간 신규해외투자자는 4명, 투자금은 1046만 달러이며 이 기간 중 기존 해외투자자 7명이 투자액을 늘렸다고 밝혔으며, 법정관리인 자산분배계획서에도 동일한 조사결과를 기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별도 관리한 VIP투자자가 최대 50명에 가까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법정관리인은 케이만군도에 개설된 ‘다이렉트렌딩인컴피더펀드’는 웰스파고펀드를 포함해 3개의 은행계좌를 운영했으며, 이 계좌 등을 조사한 결과 이 펀드는 2016년 10월 설립됐음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이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설립시기와 일치하는 것이며, 이미 2016년 11월 이 펀드의 순자산 가치가 약 5천만 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은행 및 증권사를 통해 펀드를 판매한 시점인 2017년 중반이전에 이미 다이렉트렌딩에 투자를 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법정관리인은 ‘1만 5천 페이지에 달하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과 다이렉트렌딩 간의 투자서류를 검토한 결과, 처음으로 투자계약을 체결한 것은 2017년 8월 24일이라고 밝혔다. 바로 이날 다이렉트렌딩에 2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약정[LOAN PURCHASE COMMITMENT]를 체결했고 그로부터 6차례에 걸친 투자계약이 체결됐다. 디스커버리 측은 2017년 9월 25일과 9월 29일 두 차례 쿼터스팟에 대한 투자계약을, 2017년 10월 19일에는 리버티펀드 투자계약을, 2018년 2월 23일 DLIP투자계약을, 2018년 12월 21일 패스트페이 투자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즉 정식투자는 2017년 9월말 이후 진행됐지만, 케이만군도에 돈이 입금된 것은 2016년 10월 디스커버리자산 창업 시기였다.

▲ 다이렉트렌딩 범정관리인과 DL글로벌이 지난 2019년 11월 22일 체결한 자산분리합의서에는 엘리엇 강이 DL글로벌을 대표, 이사자격으로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 다이렉트렌딩 범정관리인과 DL글로벌이 지난 2019년 11월 22일 체결한 자산분리합의서에는 엘리엇 강이 DL글로벌을 대표, 이사자격으로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즉 이때부터 장하성형제가 정부 및 금융권 등 문재인정부 실세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VIP 계좌를 비밀리에 운용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법정관리인은 자산분배계획서를 통해 각 클래스별 청구내역을 공개했으며, 케이만군도에 개설된 다이렉트렌딩인컴피더펀드를 통해 투자된 디스커버리펀드자산은 클래스 C로 분류됐다. 법정관리인은 분배신청접수결과 케이만군도를 통해 투자한 해외투자자들 중 분배를 요청한 투자자는 단 1명이며, 투자액은 1억 5820만 달러라고 밝혔다. 이는 법정관리인 조사 이전에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을 통해 투자된 해외투자 50여개 계좌 대부분이 정리되고 1개만 남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법정관리인이 기존 투자자들의 계좌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정리됐는지 자세히 밝히지 않았지만, 결론적으로 50여개내지 50여명의 투자자 중 1개만 남은 것으로, 어떤 형태로든 나머지 계좌들은 정산이 끝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장하성 60억 김상조 4억 포함 VIP 50명 수천만 달러 秘투자

경찰 지난해 7월 명단확보
청와대 압력으로 깔아뭉개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은 지난 2020년 1월 30일 4차보고서에서 올해 1월 24일 현재 DL글로벌 상환분으로 1210만달러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은 지난 2020년 1월 30일 4차보고서에서 올해 1월 24일 현재 DL글로벌 상환분으로 1210만달러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동생 펀드투자유치 관계기관 압력 행사

특히 당초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을 통해 케이만군도에 입금된 돈은 2018년 10월말 기준 1억 7958만 달러, 2019년 2월 1일 기준 1억 9천만 달러에 달하지만, 디스커버리 측이 법정관리인에게 돌려달라고 요청한 돈은 1억 5820만 달러로 확인됐다. 즉 이는 디스커버리 투자금 중 약 3200만 달러 상당은 법정관리 이전에 회수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 씨 측이 다이렉트렌딩의 부실사실을 미리 알고, 일부를 회수, VIP에 돌려줬을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장하성 주중대사는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난 직후, ‘펀드가입과 관련해 공직자 윤리법을 위반한 사실이 없다.

고위공직자 주식소유 제한에 따라 정책실장 취임 뒤 신고한 보유주식 전량을 매각해 펀드에 가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장 대사는 하루 뒤에도 ‘부실사고가 발생한 펀드투자와 관련해, 사고 이후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었다’고 해명을 했다. 김전실장도 ‘공직자 재산등록 때 투자내역을 성실하게 신고했고, 관련법상 직무를 위배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지만, 김전실장의 그 동안의 파렴치한 행적을 감안하면 이를 곧이곧대로 믿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김전실장은 지난해 3월 전세 값 인상률을 5% 이하로 제한하는 임대차법 시행직전 자시의 강남아파트 전세 값을 14%나 올린 사실이 발각된 인물이다. 자신의 국민에게 제한을 가하는 법을 만들면서 정작 자신은 이 같은 정보를 악용, 법제정전에 전세 값을 올려 뱃속과 잇속을 채웠고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사실상 파면된 인물이다. 항상 재벌개혁을 주장하던 이미지와는 너무나도 다른 행각이 드러나면서 국민에게 큰 실망을 안긴 사람이어서 그의 말에 믿음이 가지 않는 것이다. 이들 두 사람은 고위 공직자 신분으로 동생 펀드, 친분이 있는 사람의 펀드에 거액을 투자 했다는 점에서 윤리적 논란을 피할 수 없으며, 수사과정에서 동생 등의 펀드투자 유치를 위해 관계기관에 압력을 행사한 사실이 드러날 경우 형사처벌을 피할 수 없다.

세사람특히 디스커버리피해자들은 환매중단직후부터 기업은행 등 판매사로 부터, ‘장하성동생펀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동생이 대표로 있는 운용사’라는 설명을 듣고 투자를 결심했다고 주장했다. 또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이 운용하는 펀드인 만큼 투자자 뿐 아니라 은행과 증권회사 등 판매사들 또한 엄청난 압박을 받았음은 삼척동자도 알만한 사실이다. 이 같은 사실은 기업은행이 자체 손실위험평가에서 디스커버리펀드를 10점 만점에 2점으로 평가, 극히 위험도가 높은 펀드임을 알면서도 죽기 살기로 이 펀드 판매에 나서 무려 6700억 원어치나 판매한 데서 잘 알 수 있다. 기업은행은 청와대 등 정부의 입김에 그 어느 은행보다도 약할 수 밖에 없는 국책은행이라는 점에서, 장하성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씨는 약한 고리를 정확 하게 파고 들어간 셈이다. 청와대 정책실장은 시중은행장의 목숨을 쥐락펴락하는 하는 자리이므로, 하물며 국책은행장은 말할 것도 없고, 정책실장의 동생펀드는 최우선판매대상 이었을 것임은 불문가지다.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 2차보고서[2019년 6월 28일]내 투자자현황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 2차보고서[2019년 6월 28일]내 투자자현황

그나마 디스커버리펀드가 투자한 다이렉트렌딩의 분식회계가 적발돼 환매가 중단됐을 때 기업은행장은 장하성 정책실장의 부하 직원이던 윤종원 씨였다.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윤 씨가 기업은행장이 된 뒤 환매중단사태가 발생했지만, 윤 씨는 장 씨 형제를 커버링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자보호에 나서지 않고 수수방관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은 사고를 치고, 초대와 2대 정책실장은 이 펀드에 투자하고, 경제수석은 사후수습에 나서야 하지만 뒷짐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문재인정권의 주특기 ‘내로남불’및 ‘무조건 뭉개기’의 전형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재명이 당선되든, 윤석열이 당선되든 새 정부가 들어서면 전면적 재수사가 불 보듯 뻔하다. 디스커버리펀드보다 늦게 터진 라임펀드, 옵티머스펀드 등은 투자자 대부분이 이미 보상을 받았지만 디스커버리 펀드 피해자들의 보상이 지지부진하고 수사가 더딘 것은 정권실세의 개입 때문 외에는 쉽게 설명이 되지 않는다.

누가 대통령돼도 새 정부 특검해야

가장 주목되는 점은 이들 권력실세들이 투자액을 되찾았느냐 여부이다. 장 대사는 지난 10일 두 번째 해명에서 환매금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지만 특이하게도 사고이후에 돈을 돌려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고이후에는 돈을 돌려받은 적이 없지만, 사고이전에 돈을 돌려받았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즉, 동생을 통해 사전에 사고가 발생할 조짐이 있다는 귀띔을 받고 미리 돈을 빼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사법당국은 이 점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특히 본보가 이미 2020년 초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브렌단 로스 다이렉트렌딩대표가 지난 2019년 2월 11일 디스커버리자산운용에 부실채권채권 발생을 통보했다는 사실도 디스커버리측이 법정관리이전에 VIP들에게 특별조치를 취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1년여 전 선데이저널 1215호에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 운영하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VIP투자자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명단이 공개되면 깜짝 놀랄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도했었고, 드디어 이 보도가 사실임이 입증됐다.

▲ 1년여 전 선데이저널 1215호에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 운영하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VIP투자자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명단이 공개되면 깜짝 놀랄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도했었고, 드디어 이 보도가 사실임이 입증됐다.

특히 장 대사와 김 전실장 등 두 사람 모두 장하성펀드 투자 이후 재산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점이 눈에 뛴다. 장 대사는 지난 2017년 5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임명됐을 때 재산신고액이 93억 원이었지만, 2018년 11월 퇴임 때 재산은 104억 원으로, 토지가 2억 7천여만 원, 건물이 19억 9천여만 원인 반면 예금 등이 82억 5천만 원에 달했다. 1년 6개월 만에 재산이 11억 원이나 불어난 것이다. 장 대사는 2017년 7월 자신과 부인 명의로 장하성 펀드에 60억여 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으므로, 이 투자 뒤 재산이 증가한 셈이다. 김전실장도 2017년 공정거래위원장 청문회 당시 재산은 17억 1356만원이었으나, 2018년 20억 원, 2019년에는 21억 2723만원, 2021년 6월에는 23억 4235만원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김전실장도 2017년 7월께 장하성펀드에 4억여 원을 투자했고, 내막은 알 수 없지만 재산외형이 줄기보다 계속해서 증가했다.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 분배계획서[2020년 11월 20일]내 투자자현황

▲ 다이렉트렌딩 법정관리인 분배계획서[2020년 11월 20일]내 투자자현황

따라서 이들 두 사람의 재산신고 내역만 살펴보면 펀드로 손실을 입었다고 보기 힘들며, 투자금 전액 또는 일부를 돌려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지난 2020년 3월 이전 이미 무담보 대출업체인 포워드 파이낸싱에 투자금 중 650만 달러, 페스트페이 투자금중 3백만 달러 등 950만 달러를 회수, 이 당시 2천만 달러 상당을 회수한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디스커버리펀드를 통한 케이만군도 입금액은 1억 9100만 달러 상당이었지만, 다이렉트렌딩 장부에 남아있는 투자금은 1억7100만 달러 상당으로 2천만 달러가 줄었던 것이다. 그 이후에도 디스커버리는 포워드파이낸싱 투자금 전액을 회수하는 등 최소 3천만 달러 이상을 더 회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장하원이 자신의 형인 장하성대사나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비롯한 정관계와 학계, 금융계에 포진한 VIP들에게 이미 일부 투자금을 돌려줬을 정황은 충분하다. 이를 밝히는 것이 사법당국의 숙제지만 뭉개기 정권하에서 그 가능성은 없다. 설사 ‘언 발에 오줌 누는 식’으로 일부를 밝혀낸다 하더라도 새 정부는 이를 전면 재수사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