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가주 한국학원의 운영난이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사실이 <선데이저널>의 취재결과 확인됐다. 한국학원의 재정파탄은 지난 2~3년 동안 방치된 끝에 현재의 사태를 맞은 것으로 드러났다. 8월17일 현재 남가주 한국학원 홈페이지에 등재된 윌셔 초등학교 학생수는 100명이다. 그러나 이는 학교 소개용 수치일 뿐 실제 학생수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 지난 11일 김종건 이사장 등이 기자회견에서 밝힌 월셔 초등학교의 재학생 수는 54명. 공식적인 수치보다 반 토막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월셔 초등학교를 둘러싼 학교 측의 사태 은폐·축소 시도는 또 다른 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역시 학원 홈페이지에 실린 교육감의 메시지에는 학교 현황에 대해 이렇게 적혀있다. 거세지는 학부모 입김
심지어 학급 학생은 불과 5~6명밖에 되지 않는데 담임교사가 배정되는가 하면 뿌리교육이라는 명분으로 한국문화·역사교사, 예능교사, 스페인어 교사 등 보조교사까지 고용해 방만한 운영을 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학원은 지난해 기금모금에서 어느 정도 재정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동안 모은 재정을 사용하는 데 있어 비생산적으로 일관해온데다 대부분 적자를 만회하는데 급급했던 것이 최악의 사태를 부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다시 말해 ‘깨진 독에 물 붓기’식의 운영방식을 고수해왔다는 얘기다. 또 이사회 지시에 따라 학교 사무국이 모든 재정을 관리해왔지만 막상 재정상태를 확인할 때 제대로 된 보고체계가 전무하다시피 했던 사실도 드러났다. 자금관리를 맡은 사무국장은 ‘괜찮다’는 말 한마디로 보고를 대신했으며 이를 이사장이나 이사진이 의심 없이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사무국장 인건비가 수천달러를 넘는다는 점에서 한국학원의 조직적인 방만운영은 심각한 것으로 진단됐다. 이사회의 기능은 일차적으로 재단의 재정을 책임지고 결의하는 것이다. 그러나 남가주 한국학원 이사진은 ‘감투’만 썼을 뿐 기본적인 책임을 무시했다. 뒤늦게 사태를 파악한 이사회는 책임회피와 명분 쌓기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사회의 한 관계자는 다른 사립학교를 방문해 비교검토 한 끝에 윌셔 초등학교의 시스템에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먼저 교사수를 줄이는 방안에 대해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학교 회생 방안으로 꼽힌 교사 감축에 학부모들도 동의하는 분위기다. 현재 한국학원 이사회에는 학부모 대표도 포함돼 있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우리가 사립학교에 자녀를 보낸 목적은 좋은 교사와 좋은 교육환경에 기대를 걸었기 때문”이라면서 “학부모들도 학교를 살리는 방안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최근 한국학원을 구명해줄 구세주까지 나타났다. 일부 학부모들이 주선한 스폰서가 나타나 구체적인 회생방안과 함께 엄청난 돈 보따리를 풀어놓은 것이다. 이 구세주는 1만5000달러에 달하는 운영비와 30여만 달러 규모의 기금을 쾌척했다. 이사회가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학부모들의 노력으로 찾은 이 후원자는 이름을 밝히지 않는 조건으로 거액을 내놓았다. 이미 상당한 규모의 지원금을 쾌척한 이 후원자는 앞으로도 매달 수만 달러 규모의 기금을 정기적으로 지원하기로 학교 측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현재 이사회는 아직 새 후원자들과 정식계약을 맺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 새 후원자들에게 초등학교 운영권을 넘기는 계약내용의 주요사안을 지역 커뮤니티에 공개 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학교와 후원회 모두 구체적인 계약 내용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익명의 후원자가 나타나 학교가 정상화 된 것은 반길 일이지만 정상적인 학원 운영을 위해서는 지역 한인사회에 세부 계약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옳다는 얘기다. 이는 비영리재단의 건전한 운영방법 중 하나기도 하다. 한편 윌셔 초등학교의 교훈은 성실·정직·자긍심이다. 그런데 학교 재정을 파탄낸 일부 책임자들이 본인들에게 어울리지 않는 ‘훈장’을 수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해 1월 총영사관에서 한국학교와 한국어 교사 및 교육감 등 다섯 명이 2008년도 국민 교육 유공자에게 수여되는 교육 과학 기술부 장관 감사장이 수여됐다. 훈장 수여자 가운데는 남가주 한국 학원 교육감과 이사장도 포함됐다. 이미 학원 재정을 파탄으로 이끈 이사장에게 한국정부가 나서 상을 달아준 꼴이다.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수상자 선정기준에 의구심이 불거질만하다. 이사장이 훈장을 받는 그 순간에도 한국학원은 파산의 늪으로 점점 더 깊게 빠져 들어가고 있었다. 성실과 정직, 자긍심이라는 교훈이 부끄러울 정도다. 모든 책임을 져야할 이사회의 반성 기미는 아직도 보이지 않고 있다. (다음호에 계속)
|
심층취재 2탄 – 남가주 한국학원 사태 ‘점입가경’
이 뉴스를 공유하기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