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수 사건’주인공‘이철수’ … ‘恨많은 세상 끝내 등지다’

이 뉴스를 공유하기
     

1970-80년대 미주 동양인사회의 최대 인권운동으로 알려진 ‘이철수 사건’의 주인공 이철수씨 (1952-2014)가 지난달 18일 위장 이상으로 샌프란시스코 세인트 메리 병원에 입원한 뒤 의사의 수술 권유를 거부하고 2일 새벽 4시께 삶을 마감했다. 이씨의 장례식은 9일 북가주 여래사에서 ‘이철수 사건’을 처음 보도했던 이경원 원로기자를 포함해  ‘이철수 구명운동’에  ‘잔다크’였던 일본계 랑꼬 야마다 변호사 등을 포함 많은 아시아계 인사들이 참석해 고인을 추모했다. 이씨는 나이 19세때 샌프란시스코에서 1973년 억울하게 체포되어 물증도 없는 재판에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중 백인 우월주의자의 공격에 대해 정당방위 살인으로 사형언도로 죽을 날만 기다렸다. 그러나 일본계 소녀 랑꼬 야마다는 이씨의 무죄를 믿었다.  랑꼬 야마다의 간청에 6개월간 이씨 사건을 취재한 이경원 원로기자는 1978년 1월 29일 새크라멘토 유니언 지에 ‘이철수의 무죄’를 특집으로 보도했다. 이후 미전국적으로 ‘이철수 구명운동’이 일어나 끝내 1983년 3월28일 이철수씨는 자유의 몸이 되었다. 자유의 몸이 되었으나 그의 삶은 평탄치 못했다. 신체적으로 화상도 입는등 정신적으로도 편하지 못했다. 항상 자신의 구명을 도와준 한인들과 아시안, 백인들에 대한 보답을 하지 못함을 안타까워했다.
성진(취재부 기자)

▲ 이철수 사건을 처음 보도한 이경원 원로기자가  마지막 분향을 하고 있다.

이철수씨의 마지막 가는 길을 마련한 북가주의 한인 사찰 여래사는 이씨와는 여러모로 인연이 깊다.  이씨 구명운동에 앞장섰던 사찰이었고, 그 사찰의 많은 불자들이 이씨 구명에 헌신했다. 이씨가 83년 일단 보석으로 석방될 당시 보석금이 없어 발을 동동 구를 때 서슴없이 사찰을 담보로 보석금을 냈던 사찰이다. 그래서 이씨에게는 마음의 고향과 같은 곳이다.
이날 추모식에는 이씨의  무죄를  처음 보도한 이경원 원로기자(86, 전 새크라멘토 유니언지 기자)와 구명운동의 불길을 당긴 랑꼬 야마다를 비롯해 구명운동에 참여했던 한인, 일본,중국계 인사 들이  참석해 이씨를 추모했다.  LA에서 김도형변호사(KWLee센터 이사장), 북가주에서 UC데이비스 리차드 김 교수, SFSU 그레이스 유 교수, 아태계 법률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경원 원로기자는 “(이씨는) 차라리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 이 정의롭고 자유롭다는 나라에서 이철수는 100번도 넘게 죽임을 당했다”며 “우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30년이 지난 지금도 인종차별을 비롯한 부당한 차별 행위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을 생각하면 분노가 끓어오른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리고 이 원로기자는 또 “이철수씨의 죽음을 통해 다시 정의를 생각하고 앞으로도 부당한 차별에 저항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씨의 무죄를 처음부터 믿고 구명운동을 펼친 일본계 랑꼬 야마다변호사는 “몇 주 전 철수를 만났는데 자기를 도와준 사람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다 못했다고 하더라”며 “‘나를 위해, 정의를 위해 싸워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전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랑꼬 야마다 변호사는 이철수 사건에 뛰어 들면서 전공을 바꿔 변호사가 되었다. 40년전 1973년 처음 이씨의 사건에 접하고 변호사들을 찾아가 도움을 청하였으나, 그녀가 생각한 변호사들은 아니었다.
UC버클리 법대 재학시절 이철수씨의 억울한 사연을 듣고 구명운동에 참여했다는 일본계 제프 아다치씨는 “아직도 그 때를 생각하면 가슴이 뛴다. 정의를 얘기하고 차별에 저항했었다”며 “비록 그는 안타깝게 생을 마감했지만 나에겐 큰 삶의 이정표였다”고 추모했다.  아다치씨는 현재 샌프란시스코에서 국선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철수 구명운동으로 삶의 목표를 바꾼 사람들이 많다. 처음 이씨 사건을 보도한 이경원 원로기자 는 원래 탐사보도 기자였으나, 젊은 세대들에게 인권과 정의를 가르치는 전도사가 되어 미전국 방방곡곡의 대학들을 방문하면서 젊은이들에게 ‘노블리제 오블리제’를 강조하였다.

이씨 구명운동에 참여했던 한인 젊은이들도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정의운동에 눈을 떠 변호사, 정치인이 되었다. 그 중에는 현재 코리아타운에서 법률사무소를 내고 있는 던컨 이 변호사를 포함해, 데니스 김 변호사, 케네스 이 변호사, 추숙남 변호사, 심영식 변호사들이 있다. LA에서 젊은 시절 이철수 구명운동에 나섰던 일본계 월렌 후루타니씨는 이 운동을 통해서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해 정치인이 되기로 결심해 끝내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에 당선되기도 했다.

정의의 투쟁은 계속

‘이철수 사건’은 미국 역사에서나 한인이민사에서도 크나큰 교훈을 남겼다.
‘이철수 사건’은 동양인이 관련된 인권재판에서 최초로 승리한 케이스였다. 이 사건에는 한인은 물론 일본계, 중국계, 필리핀계 등 동양인 커뮤니티가 앞장서서 소수민족의 인권을 외쳤으며, 여기에 백인과 흑인, 라틴계, 에스키모까지 합세한 인권운동이었다.
한인 커뮤니티는 이 사건 이후 미국에서 살아가면서 한인정체성과 주위의 타 인종과 화합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 그러나 그 인식이 크게 확장되지 못하고 1992년 4월 ‘LA폭동’을 겪으면서  정체성 자각과 다시금 주위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 이경원기자(왼쪽)가 옥중에서 이철수씨를 인터뷰하고 있다.

‘이철수 사건’ 이후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이민자 학생들이 100명을 넘는 공립학교에서는 반듯이 이중언어교사를 채용해야 한다는 조례가 제정됐다. 오늘날 여러학교에서 한인학생들을 위한 이중언어 교사가 근무하게 된 것도 다 ‘이철수 사건’의 영향이다.
그리고 캘리포니아주 법원에서도 형사사건에서 이민자들을 재판할 때, 이민자들의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관례가 생겨났다.
지난해 12월 이철수 무죄석방 30주년을 기념하는 라운드 테이블 포럼이 산타모니카 소재 카디아 감리교회에서 열렸다. 이날 주인공 이철수씨를 포함해 이경원 원로기자, 변홍진 전미주한국일보 편집국장, 그레이스 김 전 KAC 고문, 워렌 후루타니 전 가주주하원의원, 제리 웡 전 UCLA 아시안 센터위원 등 6명이 초청됐다.

이날 UC데이비스의 리처드 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포럼에서  ‘이철수 사건’의 주인공 이철수씨는 “아직도 우리사회에는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면서 “젊은 세대들이 변화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씨는 “지난날 나의 무죄를 위해 한인은 물론 일본인, 필리핀, 흑인 등이 연대해 구명위원회를 결성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철수 사건’을 특집으로 보도 해 세상에 알린 이경원 원로기자는 “미국에 살아가는 소수 민족들에게 정의를 위한 투쟁은 서로 연대해야만 한다는 것을 ‘이철수 사건’에서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도 ‘이철수’와 같은 처지의 많은 젊은이들이 감옥에서 살고 있다”면서 “우리들은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한국일보 기자로 ‘이철수 사건’을 담당했던 변홍진 전 국장은 “’이철수 사건’은 미국역사에서 소수민족들이 연대하여 쟁취한 최초의 인권승리”라면서 “오늘날 이 사건은 잊혀져가고 있는데, 젊은세대들이 이를 기억해 계승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자신의 집에서 처음 이철수 후원회를 결성했던 그레이스 김 전KAC고문은 “이경원원로기자의 기사가 우리들 마음을 움직였다”면서 “인종을 초월한  후원회가 결국 정의를 쟁취하였다”고 말했다.
1978년 ‘이철수 사건’ 기사를 처음 보고 일본 커뮤니티에서 후원회를 조직한 워렌 후루타니  전 주하원의원은 “이는 한국인의 문제가 아니라 동양인에 대한 인권차별이라고 느껴 후원회를 조직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해 정치계에 투신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LA지역에서 최초로 ‘이철수후원회’를 조직했던 제이 왕 위원도 “이철수 사건을 다룬 이경원기자의 처음 신문기사를 읽고 잠을 이루지 못했다”면서 “무엇인가 행동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해 옥중에 있는 이철수씨를 면회가서 그가 무죄임을 확신했다”고 말했다.
‘이철수 사건’의 주인공 이씨는 비록 비운의 삶을 마감했지만, 그가 남긴 ‘정의를 위한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