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입만 열었다하면 궤변과 망언…삼부토건 의혹은 시작에 불과
치명적 ‘한방’…또 터진다
본지가 7월 8일 보도했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삼부토건의 수사 무마 의혹이 본국에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본지는 지난 7월 8일자 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그런데 두 주 뒤 본국 일간지인 한겨레가 삼부토건과 윤 전 총장 의혹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보도하면서 본지 기사에 살을 붙여가는 형국이다. 본지가 7월 초 처음 보도했고, 이날 한겨레가 보도한 삼부토건 관련 의혹은 윤 전 총장의 대선 가도에 결정적 아킬레스건이 될 것으로 보이고,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 시작이란 점이다. 본지가 추후에 보도할 예정이지만 삼부토건은 윤석열 전 총장과 쥴리로 알려진 김건희 씨의 관계 미스터리를 풀어줄 결정적 연결고리다. 지금도 윤 전 총장 주변에 관련인들이 포진하고 있다. <리차드 윤 취재부 기자>
본지는 7월 8일 보도를 통해 윤 전 총장과 삼부토건과의 의혹을 다음과 같이 언급한 바 있다. “삼부토건은 처 김건희가 일했던 곳으로 소문이 난 르네상스 호텔을 소유하고 있던 건설사로서 삼부토건 오너 일가가 윤 전 총장하고도 가까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한 번도 알려진 적이 없지만 윤 전 총장이 특수부장으로 일하던 시절 삼부토건이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특수부 수사를 받은 바 있는데 당시가 윤 전 총장 결혼 바로 전이고, 삼부토건은 특수부까지 수사에 나섰음에도 관련자 모두 무혐의를 받은 바 있다. 이를 두고 삼부토건 안팎에서는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수사라는 소문이 파다했다.” 본국 일간지인 한겨레는 7월 19일 보도를 통해 여기에 더해 보다 구체적으로 삼부토건과 윤 전 총장과의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삼부토건 조남욱 전 회장에 윤석열 전 총장 이름이 등장하는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 하지만 기사의 뼈대는 본지가 제기했던 의혹과 거의 맥을 같이했다. 한겨레는 이날 “당시는 윤 전 총장이 대학 동문이자 같은 충청권 선배인 조 전 회장으로부터 지금의 아내 김건희씨를 소개받아 교제하던 시기였다”며 “기록에는 조 전 회장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윤 전 총장과 여러 차례 골프를 함께 하고, 그에게 명절 선물이나 만찬 등의 접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달력 일정표’에 2011년 4월 2일 골프 회동, 2011년 8월 13일 만찬, 2006년 10월 5일 골프 회동 기록 등이 있었고, 조 전 회장 비서실 문서상에는 2009년 1월 설날 선물 명단 기록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삼부토건 자회사 남우관광의 2007년 추석 선물 대상자 명단 기록도 제시했다. 한겨레는 “일정표에 등장하는 ‘최 회장’은 윤 전 총장의 장모 최아무개씨다. 일정 메모에 친분이 있던 윤 전 총장은 ‘윤검’, ‘윤 검사’ 또는 ‘윤석렬’로 기록해놓았다”는 삼부토건 관계자 발언을 전했다.
한겨레는 삼부토건 임원들이 2006년부터 추진한 ‘헌인마을 개발사업’ 등의 과정에서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 등으로 2011년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 수사를 받았으나 처벌된 사람은 없었다며 특수2부장이 윤 전 총장과 동기인 점, 대검 중수부는 전국 검찰청 특수부 수사의 ‘컨트롤타워’라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윤 전 총장이 조 전 회장과 교류한 것은 청탁금지법 시행 이전이었다고 한겨레는 밝혔다. 본지가 7월 초 처음 보도했고, 이날 한겨레가 보도한 삼부토건 관련 의혹은 윤 전 총장의 대선 가도에 결정적 아킬레스건이 될 것으로 보이고,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 시작이란 점이다. 본지가 추후에 보도할 예정이지만 삼부토건은 윤석열 전 총장과 호스티스 출신으로 알려진 김건희 씨의 관계 미스터리를 풀어줄 결정적 연결고리다. 지금도 윤 전 총장 주변에 관련인들이 포진하고 있다. 삼부토건 관련 의혹에 더해 각종 설화들이 붙으면서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은 나락을 향하고 있다. 정치적 기반도 없이 오직 지지율에 기대고 있는 그의 지지율은 어느새 10% 후반까지 떨어졌다.
근처에도 못 가고 낙마할 것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20일 대구 동산병원을 방문해 의료진을 격려하는 자리에서 “코로나19 초기 확산이 대구가 아니고 다른 지역에서 일어났으면 질서 있는 처치나 진료가 안 되고 아마 민란부터 일어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코로나 극복 간담회’ 자리에서 “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의료진과 시민들의 노력을 지원해주기는커녕 중국 우한 봉쇄처럼 대구를 봉쇄해야 한다는 철없는 미친 소리까지 마구 나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후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자신의 민란 발언이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지적이 나오자 윤 전 총장은 “그 당시 그런 얘기가 많이 있었다”며 “그 만큼 대구시민들이 인내심이 강하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렵다고 얘기를 잘 안 하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그 난리통에 무난하게 풀어나가 진정되지 않았겠냐”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윤 전 총장이 내 뱉은 ‘민란’ 발언은 그의 향후 대권행보에 커다란 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방역은 무엇보다 자신의 생명을 지키는 일이며, 가족과 공동체의 안전을 위한 일인데 집단 발병이 대구가 아닌 다른 지역이었으면 민란이 일어났을 것이란 얘기는 다른 지역 사람들은 자신과 가족, 공동체의 안전을 내 팽개치고 방역에 반기를 들었을 것이란 얘기다. 대구가 아닌 타 지역민의 인식과 수준을 얕잡아 보는 어처구니 없는 발언인 셈이다. 민란에 대한 어떤 근거도 없이 불쑥 내 뱉은 타 지역민 폄훼 발언은 윤 전 총장이 스스로 자신의 발등을 찍은 실언으로 두고 두고 회자 될 것으로 보인다. 윤 전 총장은 지난 19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의 주 52시간제에 대해 ‘실패한 정책’이라고 규정한 뒤, “스타트업 청년들을 만났더니 주 52시간제 시행에 예외조항을 두자고 토로한다”며 “한 주에 52시간이 아니라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발언의 취지는 ‘노동시간을 일률적으로 규제하지 말고 업종에 따라 집중적으로 일하고 쉬자’는 뜻으로 이해되긴 하지만, 네이버 직원의 극단적 선택, 택배노동자의 과로사 사건이 발생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에서 나온 발언이라 집중포화의 대상이 됐다. 과연 누구를 위한 발언이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의당 심상성 의원은 20일 “사람 잡는 대통령이 되시려는 것 같다”며 “주 5일 동안 하루 24시간씩, 120시간 일하면 사람 죽는다. 이게 말이나 되느냐”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김영배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에 “영국 산업혁명 시기 노동시간이 주 90시간, 나치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주 98시간 노동”이라고 소개한 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120시간 노동을 말하는 분이 대통령 하겠다고 나서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진짜 대한민국인지 헷갈릴 정도다. 요즘 말로 이거 실화냐?”라고 비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