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강경 국경봉쇄 탈북자 원초적 차단 안팎

이 뉴스를 공유하기

국경지역 접근자 발포명령이어 살인적인 접근차단 장치까지

‘국경 탈북 사건 단속 강화’
1만볼트 전류 철조망 설치

web1북한 당국이 북-중 국경 감시를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경 지역에 설치된 일부수직 철조망에 고압전류를 연결하라는 지시를 내리는가 하면 국경경비대 인력을 보강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RFA방송은 지난달 29일 양강도의 한 군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이 달초에 중앙으로부터 북중 국경 지역인 혜산시에 설치된 일부 철조망에 1만 볼트 고압전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는 지시가 하달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면서“이미 국경지역 접근자에 대한 발포 명령으로 사람의 발길이 끊긴 국경에 고압 전기 철조망이라는 살인적인 접근차단장치를 덧붙이는 것”이라고 RFA방송에 밝혔다. <특별취재반>

경비 사각지대 전기철조망 설치

소식통은 “양강도 주둔 경비여단에서는 고압전류투입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각 경비대대별로 경비구간에 대한 요해(평가작업)에 들어갔다”면서 “특히 양강도 국경지역에는 초소에 있는 경비 병들의 시야에서 사각지대가 많고 굴곡진 국경선이 많아 부대 지휘관들이 도보로 모든 구간을 답사하면서 철조망에 전기를 흘려보내야 할 지역과 경비 인력 증강 배치가 필요한 지역을 요해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RFA 방송은 지난 2017년 8월 30일 방송에서 북한 당국이 북중국경 전구간에 걸쳐 수직 철조망 설치작업을 마무리 했으며 일부 경비 사각지대나 폭이 좁은 구간에는 전기철조망을 설치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자유아시아방송은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를 인용해 지난 2017년 7월 북한 평안북도 삭주군 정수리에서 촬영한 북중 국경지방의 철조망 사진을 보도했다. 그해 지난 7월부터 8월 초까지 북중 국경지방을 직접 찾았던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밀수와 탈북 방지를 위해 설치된 철조망이 과거보다 더 길게 설치됐고, 더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고 RFA에 밝혔다.

소식통은 “이번에 양강도 국경지역에서 철조망을 보강하고 고압전기를 연결하도록 지시한 배경에는 수년 전에 설치한 철조망 만으로는 탈북방지에 많은 허점이 있다는 중앙의 판단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같은 지시를 받은 국경경비대 간부들은 겨울철 전기 부족으로 국경일대의 감시용 조명등도 태양광 전지판을 설치해 간신히 보장하는 형편인데 철조망에 연결할 1만 볼트의 고압 전기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의아해 하고 있다”면서 “장기간의 국경봉쇄와 국경접근자 발포 사살 명령까지 내렸는데도 탈북사건이 완전히 근절되지 않는데 대해 최고존엄(김정은)의 심기가 매우 불편한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또 “중앙에서는 철조망에 전기를 투입하는 문제뿐 아니라 국경경비인력을 대폭 증원할 것도 예고했는데 경비 인력이 늘어나면 앞으로 국경경비 근무는 주야간에 관계없이 2인 이상이 1개조로 근무하는 쌍 근무제로 전환된다”면서 “인력이 모자라 경비초소만 만들어 놓고 경비병이 없던 구간에도 밤낮없이 근무인력을 투입할 정도로 많은 규모의 인원이 증원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탈북자 주야간 경비 인원도 강화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군 관련 소식통은 같은 날 “중앙의 지시에 따라 국경 경비가 대폭 강화 되면서 내년부터는 국경지역에 있는 개인 뙈기밭 (소토지)들도 100% 몰수하여 협동농장에 배속 시킨다”면서 “따라서 지금까지 국경지역에 소토지를 갖고 있는 주민들에게 발급해주던 국경지역 통행증도 폐지하고 민간인은 일체 국경 근처에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국경일대 주민들은 이미 작년부터 국경지역에는 누구도 얼씬도 할 수 없는데 당국에서 전기철조망까지 설치하며 이제는 철조망에 1만볼트 고압전기를 투입할 준비를 지시하며 국경 단속을 강화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시기에는 국경경비대 군인들이 탈북 브로커들로부터 돈을 받고 탈북자를 눈감아 주거나 개인 밀수꾼들의 월경을 도와주었으나 요즘은 감히 그런 일은 생각조차 못할 정도로 국경 일대의 분위기가 살벌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 입국하는 탈북민들의 수가 최근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1,127명 2017년 1,137명 2018년 1,047명 등 천명 대를 넘던 탈북민들의 수가 2020년에는 229명, 2021년 상반기에는 33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북한의 국경봉쇄 영향으로 지난해(2021) 대북송금을 한 한국 내 탈북민은 전년보다 5.7%P 줄어든 2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으로 송금한 경험이 있는 탈북민이 다섯 명 중 한 명 수준에 그쳤다는 조사 결과이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인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와 북한시장조사 전문 리서치기관인 엔케이 소셜리서치(NKSR)가 28일 발표한 ‘2021 북한이탈주민 경제사회통합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북송금 경험이 있는 탈북민은 전체 조사 대상자 407명 중 85명, 20.9%이다. 이는 전년 2020년의 26.6%에 비해 5.7%P, 지난 2019년에 비해 7.6%P 낮아진 수준이다. 성민주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분석원은 올해 대북송금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탈북민들에게 이유 를 묻자 “28%가 돈이 없어서, 18.9%가 송금할 가족이 없어서, 32.6% 기타 이유를 선택한 대부분은 코로나 비루스에 따른 국경봉쇄로 지인, 브로커와 연락이 끊겼기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국경봉쇄의 여파는 송금 횟수 등에서도 드러나는데 1회 송금한 평균 액수는 209만 원, 미화로 약 1천 758달러 수준으로 1천 390달러 수준의 작년보다 늘었지만 2021년 한 해 동안 송금한 평균 횟수는 1.5회로 작년 1.8회보다 줄어들었다. 1년 총 추정 송금액을 따져도 지난 2020년의 2억 9978만 원, 약 27만 5659달러에서 지난 2021년 2억 4520만 원, 약 20만 6310달러로 4만 6000달러 가량 감소했다. 북한으로의 송금을 의뢰한 브로커는 중국 조선족이라는 응답이 38.8%로 가장 높았고 탈북민이 17.3%로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전반적으로 탈북민의 대북송금이나 대북연락은 코로나 비루스로 인한 국경봉쇄 등의 영향 을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 대북송금을 하지 않은 이들의 가장 큰 이유는 송금해줄 가족 이 없어서 또는 송금할 만한 돈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기타를 꼽은 32.6% 중 대부분의 의견은 코로나로 인해 가족과 연락이 끊기거나 브로커와 연락이 끊겨 송금하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