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보호는 ‘뒷전’ 불량제품 팔고는 ‘나 몰라라’

이 뉴스를 공유하기
◼ 불량제품 판매한 한인업소들 소비자 환불요구 거절
◼ 국내 다단계 더클라세움도 LA동포업체와 계약논란
◼ 50만 달러 신용장 개설 후 “현찰로 물건 사라”갑질
◼ FDA로고 불법사용 르블렌 화장품 불만제보 이어져

선데이저널이 지난 5월 2일자(지령 1407호)에 “미FDA로고 불법사용 심각한 허위 광고 실태-1”이란 제목으로 보도된 문제의 르블렌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비난이 거세어 지고 있다. 그 제품에 불만을 지닌 소비자들은 “제품을 판매한 업체에 가서 환불을 요구했으나 거절 당했다”면서 “제품을 제조한 회사로 가라”는 말을 들었다며 분개했다. 이 같은 제보가 7월 초에 3건이나 본보 이메일에 접수됐다. 이와 관련해 르불렌 화장품 판매 업체들에서 나도는 소문에는 본보에 대한 음해성 내용도 있으며, ‘조만간 신문사를 상대로 소송을 할 것’ ‘르블렌 회사에 불만이 있는 사람이 르블렌을 망치기 위해 신문사에 제보한 것’이라며 ‘르블렌 회사측은 FDA와 관련 전혀 불법행위를 하지 않았으며 모든 것이 정당하다’고 판매처들에게 강조했다고 한다. 이에 본보는 조만간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FDA에게 신고를 할 방침이다. 한편 한국에서 화장품 관련 네트워킹 비즈니스로 잘 알려진 더클라세움이 미국진출을 기화로 LA 동포 업체와 파트너쉽 계역을 체결했으나, 계약서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갑질” 행세로 LA동포업체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어찌된 영문인지 전후사정을 취재했다. <특별취재반>

LA에서 무역 계통의 니시 홀딩스(Nissi Holdings)라는 회사를 운영해온 프래드 김(Fred Kim) 회장은 지난해 2023년 여름(8월경)에 한국에서 잘 나간다는 네트워킹 마켓(일명 다단계)인 더 클라세움 화장품(The Classeum)에 대하여 소개를 받았고, 더클라세움의 주성진 의장과 강미자 사장 의 미국 지역 사업 진출을 위한 11월 4일 미팅 이후 사업 미팅을 갖기로 협의하였다. 지난해 11월 6일 더클라세움의 주성진 의장과, 미국사업을 책임지고 진행하려고 하는 더클리세움의 사업자라는 강미자 사장과 LA다운타운 인터컨티넨탈 호텔(Intercontinental LA)에서 회합을 가졌다. 그 자리에서 양측은 미국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협의하였고, 더클라세움의 미국 지사 설립 안건이 대두되어 프레드 김 회장의 니시 홀딩스와 합작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구두 약속하였다.

더 클라세움 화장품 미국진출

양측간의 구두계약은 주성진 의장이 늦어도 지난해 12월 초에 미국을 다시 방문하여 정식 계약 하기로 협의한 후 3일 간의 회합을 마무리 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한국의 더클리세움 회사 내부에서 협의한 내용을 변경하는 바람에, 주성진 의장이 계약을 위한 미국 방문이 진행되지 않았고, 대신 미국 사업을 책임지기로 한 강미자 사장 중심으로 미국 사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는 통보를 프레드 김 회장에게 전해왔다. 당시 강미자 사장이 적극적으로 미주 진출 사업에 협조를 하는 것으로 의견을 주었기 때문에, 프레드 김 회장은 더클리세움의 미국 사업을 약속대로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강미자 사장은 지난해 12월 중 미국을 방문하여 프레드 김 회장과 협약을 맺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약속 하였다.

이에 지난해 12월 24일 강미자 사장은 프레드 김 회장과의 계약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였다. 이때, 프레드 김 회장과 강미자 사장 간의 업무협약서를 작성하였고, 더클라세움 본사와 니시 홀딩스가 수출계약을 맺고 더클라세움의 강미자 사장을 통하여 미국에 본격적으로 런칭하는 비지니스 모델로 주성진 의장과 더클리세움의 결정을 프레드 김 회장은 협약하였다. 협약 이후 미국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할 미국 회사를 50:50의 공동투자로 시작하기로 하였고, 이후 사업 비용을 한국과 미국이 50:50으로 부담하여 진행하기로 하였다. 프레드김 회장은 계약에 근거하여 미국의 회사를 설립하였고, 사무실 임대 및 여러가지 미국사업 런칭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였다. 주성진 의장이 수출계약서 작성을 위한 본사의 담당자(황 전무)를 연결하였고, 프레드 김 회장은 황 전무와 수출계약서 작성을 위한 서류작성을 시작하였다.

꼬이기 시작한 계약문제

2024년 1월 6일 시작하여 양사 대표 즉 니시 홀딩스를 대표한 프레드김 회장과 더클라새움을 대표한 김기범 의 서명이 마무리되는 2월 5일 날짜로 수출계약서 작성이 완료되었으며, 그 조건은 계약서에 명시되어진 것과 동일하다.(별첨 수출계약서 참조) 사업을 위한 제품 선적을 위해 Proforma Invoice(PI)를 한국에 요청하였고, 더클라세움 본사에서 선적을 $1,000,000 수준으로 진행하자고 제안하였다. 이에 양사는 지난 2월 28일 시작하여 2개월이 지난 4월 25일 법인 대표인 김기범의 서명된 PI를 완료하였다. 2개월의 시간 동안 애초에 약속한 $1,000,000 초도 물량이 아닌 더클라세움 내부 문제로 인하여 $500,000로 초도 물량이 변경되었다.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최소 $1,000,000의 초도 물량이 필요하였으나, 프레드 김 회장은 더클라세움 본사에서 발행한 내용대로 $491,744의 L/C 초안을 지난 4월 29일 은행을 통하여 발급 받아 한국의 서류 담당자 황전무에게 전달하였으며, L/C는 한번 발행되면 수정의 어려움이 있는 나라간 그리고 은행간의 서류이기 때문에 틀린 곳이 없는지와 수정해야 할 곳이 없는지를 확인 요청 하였으며, 강미자 사장은 4월 30일 이를 확인하여 주었고, 더클라세움 본사는 6월 3일 대표 김기범의 서명과 함꼐 모든 서류 작업을 완결하였다. 이미 사업이 7개월 이상 미루어진 상황이기 떄문에 서류를 기다리며 프레드 김 회장은 강미자 사장에게 서류 완료후 바로 사업 진행이 될 수 있도록 공동부담에 대한 부분을 준비해 달라고 수차례 요청을 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주성진 의장과 강미자 사장은 프레드 김 회장의 전화를 받지 않고 텍스트 메시지 에도 반응을 하루 이틀 후에 미루어 하는 등 사업 파트너로서의 책임을 다하지 않았으며, 본격적인 L/C OPEN을 위한 수수료 공동부담에 대한 것도 차일피일 미루기 시작하였다. 또한 더클라세움 본사 담당자인 황 부장과 통화에서도 서류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주성진 의장과 협의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들었기 떄문에 프레드 김 회장은 사업 파트너인 주성진 의장과 강미자 사장의 성실한 사업 진행을 기다렸다. 프레드 김 회장은 차일피일 미루는 본사 주성진 의장과 강미자 사장을 한국에서 직접 만나야 일이 마무리 되겠다는 판단을 했으며, 비행기를 타고 지난 6월 한국으로 입국하여 6월 26일에 서울의 더클라세움 사업 본부에서 회합을 하였다.

하지만 이 자리에 강미자 사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주성진 의장, 김기범 대표 그리고 황 전무와 함꼐 회의를 하였으며, 이 자리에서 주성진 의장 및 본사 임원들은 계약서에도 없는 조건인 현찰을 주고 물품을 가져가라는 요구를 하는 등 사업 파트너로서의 약속을 저버렸으며, 공동으로 사업 진행을 하겠다는 약속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 이에 프레드 김 회장은 사업에 대해서 진행 의지가 있는지 다음날인 6월 27일까지 회신을 달라고 더클라세움에 요청하였지만, 7월 5일 현재까지 일체 어떠한 회신도 없었다. 프레드 김 회장은 더클라세움 측이 답변을 이유 없이 미루는 사태에 대하여 이는 상호 계약서를 철저히 퍼기하는 행위로 간주하고 민,형사를 통한 법적 행위를 하기에 이르렀다. 더클라세움 측의 계약 불이행으로 인한 피해에 대하여 프레드 김 회장은 다음과 같은 재정적 피해를 입었다고 기술했다.

지난해 8월 이후 더클라세움의 미국 런칭을 위해 시간, 돈 그리고 노력을 계속 하였고, FDA 인증 및 수출입에 관련된 행정적인 부분과 더불어 비용을 지불하였고, 회사 설립 및 유지를 지난 10개월 동안 어떤 도움도 없이 계약서 따라 묵묵히 먼저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초도 물량 최소 $500,000에 대한 제품 판매 손해를 보았으며, 회사 설립 및 유지 비용 $26,000이 소요되어 손해를 보았으며, 더클라세움 해외시장 공동사업을 위해 3차례 중국 출장, 1차례 인도네시아 출장 그리고 지난 6월 27일 한국 출장까지 총 5회로 $25,000 이 소요가 되었다고 밝혔다. 본보는 이 같은 상황을 한국의 더클라세움 측 주성진 의장과 김기범 대표 등에게 질의 했으나 편집 마감일 7월 10일까지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다.

르블렌 화장품 피해자의 하소연

한편 본보가 지난 5월 2일자에 첫 번 보도한 르블렌 화장품 기사는 FDA에서는 제품 라벨에 생산지 주소를 명확히 기재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르블렌 제품 라벨에는 ‘Le-Blen Beauty Inc. Beverly Hills, CA 90210’으로 구체적인 주소가 명기되지 않았다. 한편 르블렌 뷰티회사(Le-Blen Beauty Inc.)에서 제조된 또다른 르블렌 비타민 C세럼(Le-Blen Vitamin C Serum)에 대하여 FDA 보고서에 따르면 “이 약품은 FDA에서 안정성과 효능면에 어떠한 보장도 하지 않은 제품이며, 그 약품에 부착된 라벨의 내용은 FDA에서 허가된 적이 없다.”면서 FDA 불허 규정(FDA unapproved drug)을 유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LeBlen Beauty Inc. Disclaimer: This drug has not been found by FDA to be safe and effective, and this labeling has not been approved by FDA. For further information about unapproved drugs, click here.)

이미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르블렌 제품이 미국산으로 소개하면서 제품에 FDA 로고와 미국 국기까지 부착시겨 놓았다. 그리고 최근에는 우수한 생산자를 직접 만나 고품질 상품을 착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소비자 직거래 장터라고 하는 울타리몰(Wooltari)에서도 르불엔 나노 콜라겐 팹타이드 셀럼을 선전하면서 FDA 로고를 버젓이 사용했다. 이 홍보물에서 황산화 기능으로 피부 보호[Le-Blen] 르블렌 비타민 C세럼을 선전하면서 FDA 로고를 사용했다. FDA는 통상적으로 매년 45~50개 안팎의 신약들을 허가해 왔는데, 지난 2018년에는 59개 신약들이 발매를 승인 받아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고 선전하는 화장품이나 건강기능식품들이 많다. 그러나 모두 근거가 없는 허위광고다.

따라서 화장품에 FDA 승인이나 허가, 그리고 인증됐다는 용어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화장품은 FDA 승인을 받았다” 또는 “FDA에 등록되어 있다”라고 선전이나 알리는 것은 100% 잘못이다. 그런데 대부분 소비자들은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다. 최근 본보에 르블렌 화장품에 대한 불만 제보는 다음과 같다. 지난 2일 ok라는 ID로 “르블렌 화장품의 진실규명”이라는 제보에는 <저는 르블렌 화장품을 써왔던 사람입니다…신문을 보고 너무 화가 나고 분하더라구요… 쓰는 동안에도 이상하다고 느꼈지만 이렇게 쓰레기 화장품인지는 몰랐기에 저 뿐 만이 아니고 아직도 이 화장품을 쓰고 계시는 분들께 알려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더이상 피해 보지 않도록 신문 일면에 다시 내주셨으면 하고 이메일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지난 7월 1일에는 YK라는 ID로 “Le Blen 제품 고발합니다.”라는 글이 접수되었다.
<저는 몇 년 전 엘에이 한남체인 옆 팔레스 뷰티에서 염색약을 사러 갔다가 판매원께서 적극 권하셔서, Le Blen이란 제품을 비싸게 구입을 했었습니다. 사용 후 얼굴에 붉은 레쉬가 많이 생기 고 가려워서, 화장품을 바꿔서 일어나는 일이라 생각하고 몇 일을 더 발랐습니다. 그래도 계속 발진과 가려움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가지고 있었습니다. 단지 저와는 안 맞는 제품이라 생각했고, 사용했던거라 컴플레인도 그 당시엔 못했습니다. 그런데 몇 달전 신문을 통해서(FDA 로고 불법 사용에 관한) 이 제품이 문제가 있다는 걸 읽고, (저와 같은 증상의 소비자가 많았다는걸 알고) 샀던 곳에 가서 어찌된 일이냐고 정중히 물었습니다. 그들이 하는 말로는 검증이 없이도 화장품은 판매 가능하다고 했고, 환불 요청을 했더니 안된다고 했습니다. 내가 가기 전 다른 분들도 왔다 갔다고 했고, 그래서 인지 불친절한 대우를 받고 돌아 왔습니다. 문제가 없다고 분명히 얘기를 했는데, 어디서도 그들의 반박 기사를 못 본거 같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되는데, 그런 부분이 아쉽습니다. 정말 떳떳한 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이 믿을 수 있는 어떠한 조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undayJournalUSA (www.sundayjournalus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뉴스를 공유하기

선데이-핫이슈